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국내외 연료전지 및 수소자동차 시장 분석과 비즈니스 전략

국내외 연료전지 및 수소자동차 시장 분석과 비즈니스 전략

  • 산업경제리서치편집부
  • |
  • 산업경제리서치
  • |
  • 2021-03-02 출간
  • |
  • 675페이지
  • |
  • A4
  • |
  • ISBN 9791185508504
판매가

440,000원

즉시할인가

396,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96,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수소경제로의 대전환과 수소산업의 시장분석

1. 수소 에너지로의 대전환
1) 색깔별 수소의 생산 방식
2) 수소의 다양한 생산 방식 - SMR 공정이 현재 최선의 대안
3) Green 수소 생산은 언제?
(1) Green 수소의 생산방식 수전해(Water Eectrolysis)란 무엇인가?
(2) Green 수소의 시장구조 및 국내와 업체 개발동향
(3) Green 수소의 경제성 분석
4) 수소의 유통, 물량과 거리에 따라 상이
5) 수소의 활용, 발전용 연료전지가 중심
(1) 각국의 수소생태계 육성 방향
(2) 한국의 수소경제, 법제화
(3) 수소연료전지=발전기
(4) 수소연료전지차, 상용차 중심의 발전 전망
(5) 수소연료전지차 Value Chain, 글로벌 독과점 기회

2. 수소경제로의 출발
1) 탄화수소경제애서 수소경제로
2) 더욱 강화되는 환경규제
3) 녹색 수소, 재생에너지와 강력한 시너지
4) 신재생에너지 P2G 연계사업
(1) 독일 사례
(2) 일본 사례
5) 국내 수소경제로드맵, 에너지3020 계획과 맥을 같이함
6) 향후 수소 가격 $3/kg 수준이 글로벌 목표
7) 미드스트림, 일본은 해외 생산과 연결된 대규모 시험 진행 중
8) 수소 운송 방식
(1) 기체운송 및 액체운송
(2) 중장기 수소 저장에 있어 액체 수소 중요성 높아질 것
9) 일본 수소 운송 프로젝트
(1) HySTAR 프로젝트: 갈탄에서 생산한 수소를 액화하여 수입
(2) SPERA 프로젝트: 액상 유기 화학물질인 MCH 구현
(3) 호주로부터 수소의 액상(암모니아) 방식 운송 프로젝트 진행
10) 재생에너지와 수소 기반 섹터커플링으로 에너지 효율 극대화 가능
(1) P2G를 넘어 P2X로 활용되는 수소
(2) 수소와 재생에너지 잉여전력 활용한 섹터 커플링 개념 도입으로 에너지 효율성 높아질 것
(3) 재생에너지의 빠른 성장 및 기술 발전, 수소경제 발전으로 이어질 것
11) 수소수요, 연료전지 활용처 중심 고성장 전망
(1) 수소 수요 고성장 전망. 연료전지 활용처인 운송용과 전력이 성장을 이끌 것
(2) 국내 시장 초기는 발전용 연료전지가 대부분. 2022년 이후 수송용 성장 전망
(3) 연료전지 시장 PEMFC가 비중 압도적, SOFC와 PAFC는 유사한 수준
(4) 향후 PEMFC 및 SOFC 연료전지 수요 급증 전망, 기술 확보 경쟁 격화 전망

3. 연료전지 개념 정의 및 기술 분석
1) 연료전지 개요 및 발전용 연료전지 기술 동향 분석
(1) 연료전지 정의 및 장점
(2) 발전용 연료전지, 고온형/저온형 구분
2) 수소연료전지 원리 및 구조 이해
(1) 수소연료전지 기본원리
(2) 전해질 역할,종류 및 특징
(3) 연료전지 촉매 역할,종류 및 특징
(4) 가스확산총,분리판,가스켓 역할 및 특징
(5) 연료전지 주변기기 점검
3) 국내외 수소ㆍ연료전지 시장 및 기술동향과 전망
(1) 국내외 수소·연료전지 시장 현황 및 전망
(2) 글로벌 수소ㆍ연료전지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3) 수전해 수소의 경제성 전망
(4) 수소ㆍ연료전지 가치사슬 분야별 주요 기술
가. 생산 및 제조분야
나. 저장 및 운송 분야
다. 응용 및 활용 분야
라. 안전ㆍ환경ㆍ인프라 분야

4. 국내외 철강업체들의 수소 관련 사업 분석
1) 국내 철강업체 사업 현황
2) 해외 철강업체들 사업 현황

5.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 한국이 전세계 선도
1)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은 전세계 시장 50% 수준
2) 초기 LNG 활용한 연료전지발전도 복합화력발전 대비 장점이 큼
3) 중장기 재생에너지와 연계 및 연료가격 하락으로 경쟁력 높아질 것
4) 다양한 정책으로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 빠르게 규모의 경제 확보해 나갈 것

6. 에너지저장의 미래, 그리고 스마트시티
1) 에너지저장 활용에 강점을 지닌 완성차 업체들의 사업 영역 확장
2) 국내에서도 연료전지는 스마트시티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을 것

7. 자동차 관점의 수소 용용 분석
1) 수소의 용용분야, 자동차/운수 산업
2) 자동차 산업의 수소 활용 경쟁력 분석
3) 주요국 수소연료전지차 관련 정책
4) 수소 산업에서의 도요타 vs. 현대차 : FCEV에서 에너지 사업, 스마트시티까지

8.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분석
1) 수소 모빌리티 : 수소차 620만대 생산 및 수소충전소 1,200개소 구축
2) 에너지 분야 : 연료전지 발전용 15GW, 가정·건물용 2.1GW 보급
3) 수소 생산 : 그린수소 확대로 공급량 526만톤/年, 가격 3,000원/kg 달성
4) 저장ㆍ운송 : 안정적이고 경제성 있는 수소유통체계 확립
5) 전주기 안전관리 체계 확립 및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

9. 「수소경제 표준화 로드맵」분석

Ⅱ. 수소 경제 핵심분야 분석

1. 에너지 분야 : 연료전지
1) 연료전지의 개념
2) 연료전지의 발전원리
(1) 연료전지에 대한 이해
(2) 연료전지에 대한 이해 - PAFC(인산형 연료전지)
(3) 연료전지에 대한 이해 - SOFC(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
(4) 연료전지에 대한 이해 - PEMFC(고체고분자형 연료전지)
3)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 현황
4) 연료전지 활용도
5) 국내외 연료전지 시장규모 및 전망
6) 연료전지가 갖는 한국에서의 특별한 위상
(1) 탈탄소를 위한 기회의 산업
(2) 탄소 기반 에너지 구조 변화의 선결 과제는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3) 순서가 바뀐 수소경제(연료전지)와 에너지전환(재생에너지)
7) 국내 REC는 넘쳐나고 있는데
(1) 설비공급 증가로 REC 공급과잉 고착화
(2) 현물시장 REC 가격 약세는 기준가격 하락으로 연결
(3) 수급 불균형이 지속되면 RPS 제도는 유지되기 어려움
8) 훨씬 충격이 큰 연료전지가 대기 중
(1) 연료전지의 압도적인 REC 생산능력
(2) 연료전지 100MW가 갖는 위력
9) 공급과잉 국면에서도 연료전지는 늘어날 것
(1) 가성비가 좋아졌음에도 공급과잉은 어쩔 수 없음
(2) 연료전지가 마지막 남은 대규모 REC 조달 수단이라는 점이 핵심
(3) 한국전력은 어쩔 수 없는 발전용 연료전지 수요자
10) 시장 정상화 vs. 전기요금 정상화
(1) 두 마리 토끼 한 번에 놓치기
(2) 모순된 정책. 덜 아픈 손가락을 찾아야 할지도
(3) 둘 다 가지고 가려면 한국전력 정상화 필요
11) 연료전지 관련 국내 개발 로드맵
12) 수소연료전지 관련 국내 정책 및 특허 동향
(1) 미래를 선도할 친환경 전기/수소차와 자율주행차 분야 2021년도 R&D 본격 지원
(2) 융합신제품 신속 인증으로 가정용 수소 연료전지 시장을 열다
(3) 수소차 핵심부품「수소연료전지」최초 수출
(4) 수소경제의 첨병 수소 가스터빈 특허출원 기지개
(5) 자동차 업계, 전기차 배터리 및 수소차 연료전지 출원 활발
(6) 그린 수소 생산 물분해 촉매 분야 특허출원 급증

2. 수소 모빌리티 : 수소차
1) 그린산업으로 산업구조 재편 시작
(1) EU, 그린딜 중심으로 산업구조 재편
(2) EU, 재생에너지 및 수소, 전기차 육성에 방점
(3) 미국 바이든 당선으로 그린산업 빅뱅 올 것
(4) 한국 그린뉴딜에 동참
(5) 수소차 및 해상풍력 관련업체들 주목
2) 수소자동차 시장 분석
(1) 국내외 시장 분석
가. 2020년 수소차 판매 현황
나. 현대차/기아 친환경차 출하 현황(2020년 12월 기준)
다. 세계 시장 분석
라. 해외업체 동향
마. 국내 시장 분석
바. 국내 업체 동향
(2) 국내외 기술 분석
가. 해외 기술 동향
나. 국내 기술 동향
다. 주요 업체 동향
(3) 국내외 정책 분석
가. 해외 정책 동향
나. 국내 정책 동향
(4) 국내 기술개발 전략
가. 연구개발 추진전략
나. 전략제품
3) 현대차의 수소차 성장 스토리
(1) 수소차 비전 2030
(2) 2030년 유럽 대형트럭 시장 12~15% 점유율 목표
(3) 2030년, 연 50만대 생산 목표
(4) 현대모비스, 연료전지스택 및 친환경차 핵심 부품 공급
(5) 전동화 부문 매출액, 2025년 14.5조원 2030년 24.5조원 달성 전망

3. 인프라 분야 : 수소 충전소
1) 수소충전소는 On-site형과 Off-site형으로 구분
2) 규제완화,경제성 개선과 힘께 건설 활성화 기대

4. 수소생산 분야: 부생수소, 개질수소, 그린수소
1) 부생수소
2) 천연가스 개질수소
3) 그린 수소(수전해)

5. 수소 저장 및 운송분야 : 저장 탱크에서 수소 선박까지
1) 수소 저장: 고압, 액체, 화학적 저장 기술
(1) 고압기체 저장기술
(2) 액화 저장 및 수송
(3) 또 다른 수송/저장 매체: LOHC
2) 수소 선박: 수소 추진선? 수소 운반선!

6. 수소 경제 분야별 전망
1) 수소연료전지차
(1) 수소차의 역사 및 현황
(2) 국가별 로드맵
(3) 그린 뉴딜 기대감, 현대차그룹의 방향성에 대한 선행점검 필수
(4) 국내 정부 지원정책
(5) 강화되는 규제
(6) 수소 모빌리티 종류
(7) 단계별 필요 기술
2) 연료전지
(1) 연료전지 성장 가능성
3) 수소충전소
4) 수소 생산
5) 수소 저장, 운송, 판매 인프라
(1) 수소 파이프라인 : 기존 천연가스 인프라와의 연계가 필요
(2) P2G: 차기 ESS로서 새로운 가능성을 엿보다
(3) 전력망 연결: 가스 그리드 인젝션
(4) CCU와의 연계 가능성

Ⅲ. 수소차 관련 핵심사업 및 부품ㆍ소재 시장분석

1.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동향
가. 해외 업체 동향
나. 국내 업체 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핵심기술
(2) 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기술개발 중기 종합 계획안
(4) 기술개발 목표

2. 중소형 수소 액화 저장시스템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동향
가. 해외 업체 동향
나. 국내 업체 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핵심기술
(2) 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기술개발 중기 종합 계획안
(4) 기술개발 목표

3. 고효율 수소생산 시스템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동향
가. 해외 업체 동향
나. 국내 업체 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핵심기술
(2) 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기술개발 중기 종합 계획안
(4) 기술개발 목표

4. 인휠 모터 시스템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동향
가. 해외 업체 동향
나. 국내 업체 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핵심기술
(2) 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기술개발 중기 종합 계획안
(4) 기술개발 목표

5. 전장시스템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동향
가. 해외 업체 동향
나. 국내 업체 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핵심기술
(2) 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기술개발 중기 종합 계획안
(4) 기술개발 목표

6. 건물용 연료전지 MEA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개발 동향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기술 동향
가. 해외업체
나. 국내업체
3) 국내외 기술개발 전략
(1)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국내 기술개발 중기 종합 계획안

7. 연료전지용 열교환기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동향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동향
가. 해외 업체 동향
나. 국내 업체 동향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국내 기술개발 중기 종합 계획안

8. 수소자동차 부품 국산화 분야
1) 국산화 필요성 및 범위
2) 국산화 범위
(1) 가치사슬
(2) 용도별 분류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동향
가. 해외 업체 동향
나. 국내 업체 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4)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핵심기술
(2)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기술개발 중기 종합 계획안
(4) 기술개발 목표

9. 수소 저장 및 운반용 복합소재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개발 동향
(2) 국내외 기술 동향
가. 해외업체
나. 국내업체
3) 국내외 기술개발 전략
(1)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국내 기술개발 중기 종합 계획안

10. 수소충전용 장비 및 부품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동향
가. 해외 업체 동향
나. 국내 업체 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핵심기술
(2) 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기술개발 중기 종합 계획안
(4) 기술개발 목표

11. 수전해용 차세대 핵심 소재/부품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개발 동향
(2) 기술 개발 이슈
(3) 국내외 기술 동향
가. 해외업체
나. 국내업체
3) 국내외 기술개발 전략
(1)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핵심기술
(3) 국내 기술개발 중기 종합 계획안

Ⅳ. 연료전지 및 수소자동차 연구개발 과제

1. 연료전지 관련 연구개발 테마
1) 발전용 고분자 연료전지용 고효율 스택 기술 개발
2) 공공건물 대상 수소추출기 연계형 연료전지 안전실증
3) SOFC 스택 품질 향상 및 양산 자동화를 위한 검수 기준 및 검수 프로토콜 개발
4) 발전용 고분자 연료전지의 고효율화를 위한 핵심 소재 기술 개발

2. 수소산업 관련 연구개발 테마
1) 해외 CO2-free 수소공급망 구축을 위한 핵심 기술 개발 및 검증 연구
2) 수소전기차 다차종 동시충전을 위한 광역수소충전소 핵심기술 개발
3) 액화수소 충전소용 100 kg/h급 고압 액화수소 펌프 개발
4) 수소 전주기(생산, 저장/이송, 활용) 경제성, 환경성 평가 기술 개발
5) 수소 최적 공급 경로 설계를 위한 수소 생산기지 및 충전소 배치 모델 개발
6) 재생에너지연계 그린수소생산 기술을 활용한 수소(600 kg) 및 배터리(2MWh) 저장 시스템 기술개발 및 실증

3. 수소차 관련 연구개발 테마
1) 수소차용 차세대 연료전지시스템기술 개발
(1) (총괄) 수소차용 차세대 연료전지시스템 기술 개발
(2) (1세부) 수소차용 연료전지 스택 고도화 기술 개발
(3) (2세부) 경량화 대체소재 기반 고성능 분리판 기술 개발
(4) (3세부) 연료전지 스택용 체결 및 패키징 부품 경량/소형화 기술 개발
(5) (4세부) 연료전지 시스템 효율 향상을 위한 단위 셀 핵심기술 개발
2) 수소트럭 개조기술 개발 및 실증
(1) 대형 수소트럭 기반 특장차용 요소부품/시스템 기술개발 및 실증
(2) (총괄) 대형 수소트럭 기반 특장차용 요소부품/시스템 기술개발 및 실증
(3) (1세부) 대형 수소트럭 개조용 특장 요소부품 및 차량적용 기술 개발
(4) (2세부) 공항특수차용 연료전지시스템 및 차량장착 기술 개발
(5) (3세부) 대형 수소특장차 실도로 검증을 위한 운영 및 실증 기술 개발
3) 전기차 플랫폼 공용화기반 수소차용 비정형 수소저장장치 개발
(1) (총괄) 전기차 플랫폼 공용화기반 수소차용 비정형 수소저장장치 개발
(2) (1세부) 수소전기차 공간 활용성 제고를 위한 비정형 수소저장용기 기술개발
(3) (2세부) 수소전기차용 비정형 수소저장용기 모듈 및 시스템 기술개발
(4) (3세부) 비정형 수소저장장치 평가절차 및 검증 기술 개발
4) 수소트럭 전기동력 부품 국산화 기술 개발
(1) (총괄) 대형 수소전기트럭용 400KW급 다단 전기구동시스템 및 차량적용 기술 개발
(2) (1세부) 대형 상용차용 다중 모터 기반 400KW급 전기구동장치 기술 개발
(3) (2세부) 다중 입력 기반 전달토크 18,000Nm 이상 다단 동력전달장치 기술 개발
(4) (3세부) 다중모터 기반 400KW급 고출력 다단 전기구동시스템 수소전기트럭 적용기술 개발

Ⅴ. 연료전지 및 수소자동차 관련 특허동향

1. 고효율 수소생산 시스템 분야
1) 특허출원 동향
2)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1) 해외업체
(2) 국내업체
3) 기술 집중도 및 특허소송 동향

2. 수소 연료전지시스템 분야
1) 특허출원 동향
2)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1) 해외업체
(2) 국내업체
3) 기술 집중도 및 특허소송 동향

3. 수소차 부품 국산화 분야
1) 특허출원 동향
2)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1) 해외업체
(2) 국내업체
3) 기술 집중도 및 특허소송 동향

4. 중소형 수소 액화 저장 시스템 분야
1) 특허출원 동향
2)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1) 해외업체
(2) 국내업체
3) 기술 집중도 및 특허소송 동향

5. 인휠 모터 시스템 분야
1) 특허출원 동향
2)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1) 해외업체
(2) 국내업체
3) 기술 집중도 및 특허소송 동향

6. 전장시스템 분야
1) 특허출원 동향
2)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1) 해외업체
(2) 국내업체
3) 기술 집중도 및 특허소송 동향

7. 연료전지용 열교환기 분야
1) 국내외 주요 업체 특허동향
(1) 해외업체 출원 동향 및 특허 분석
(2) 국내업체 출원 동향 및 특허 분석
2) 특허기반 기술이슈

8. 수소충전소 핵심부품 분야
1) 국내외 주요 업체 특허동향
(1) 해외업체 출원 동향 및 특허 분석
(2) 국내업체 출원 동향 및 특허 분석
2) 특허기반 기술이슈

9. 건물용 연료전지 MEA 분야
1) 국내외 주요 업체 특허동향
(1) 해외업체 출원 동향 및 특허 분석
(2) 국내업체 출원 동향 및 특허 분석
2) 특허기반 기술이슈

10. 수전해용 차세대 핵심소재부품 분야
1) 국내외 주요 업체 특허동향
(1) 해외업체 출원 동향 및 특허 분석
(2) 국내업체 출원 동향 및 특허 분석
2) 특허기반 기술이슈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