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소설은 그동안 타인의 고통과 슬픔에 대한 성찰을 계속해온 강명희 소설가가 세 번째로 펴내는 작품집이다. 『65세』에는 떠난 여인을 찾아다니는 중장비 기사, 어머니 덕분에 살면서도 어머니를 칼로 찌른 아들, 베이비부머 맏세대 65세 여성, 헤어졌다 다시 합친 노년의 부부, 구두 수선공, 살림 도우미 여자와 이삿짐 도우미 몽골 언니, 70대 택시기사와 그의 형, 히말라야 현지 가이드 만루와 운동권 친구, 유고집으로 남은 소설가 등의 다양한 인물이 등장한다. 그들은 하나 같이 힘들게 살아가는 우리 공동체 안의 타인이자 소외된 자들이다. 그들 가운데는 누구는 열악한 노동과 주거환경으로, 누구는 최소한의 사회안전망에서도 배제된 불안한 삶을 산다. 사는 것이 죽는 것보다 별로 나을 것도 없거나, 살아있어도 산 것이 아닌 바닥을 보아버린 이도 있다.
이들의 삶은 단순한 이해와 분노로 나타나기에는 말할 것이 무수히 남겨져 있다. 우리 공동체 안에서 그들에 대한 충분한 사유의 경험이 축적되지 않은 아픈 현장을 통해 우리가 경계하던 대상의 모습을 새롭게 발견하는 것이 『65세』이다. 그동안 타인의 고통에 천착해온 강명희 작가는 이 소설에서 한층 불행하고 다양해진 그들의 세계를 독자들에게 읽어주면서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의 존재 위치를 확인시키고 있다.
「첫 추위」의 중장비 기사는 서영이와 연애할 때는 세상의 주인인 줄 알았던 자신이 버려진 사람에 불과하다는 것을 깨닫는 순간 ‘아무리 사랑하고 궁합이 좋다고 해도 스펙 앞에서 나는 그저 구질구질하고 초라한 루저일 뿐’이라는 각성을 한다. 「긴 하루」의 아들은 세상에 태어나 스스로 한 일이라고는 아무것도 없이, 그동안 살아온 게 모두 어머니의 작품이라는 것을 알기에 ‘막상 어머니가 가셨다는 생각을 하자 앞으로 어찌 살아야 할지 두렵고’ 점점 더 서러워진다. 「65세」의 여인은 ‘어느 날 할머니가 사라졌듯이 아버지가 사라지고 내가 그 자리를 차지하겠지. 그리고 어느 날 나도 사라지겠지’ 생각하면서도 나라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해주는 65세의 노년을 시작하는 날 ‘나 역시 평생 누구의 딸 누구의 아내 누구의 엄마 누구의 할머니인 이 자리를 퇴직할 것이다. 오롯이 나만을 위해 살 것이다.’ 다짐하면서 자신의 눈 앞에 펼쳐진 노년을 기대한다.
「그녀가 세상을 건너는 법」의 여인은 헤어졌던 남편과 다시 만나면서 자신이 예쁘지 않고 많이 배우지도 않았고 음치에 몸치에 약에 쓰려고 찾아봐도 재주가 없지만 ‘떠난 그를 다시 돌아오게 한 밥상. 이것을 무기로’ 이 험한 세상을 건너가기로 한다. 「아픈 손가락」의 구두 수선공은 자신은 시골 농가 주택에 딸린 조립식 방에 살고, 딸은 도시의 변두리 연립주택 지하방에서 살아가는 것이 부모에게조차 버림받은 사람들의 숙명이라 생각하면서도 ‘부엌에서 아내의 도마질하는 소리가 들리고, 딸은 방에서 공부하고, 자신은 구두 가게 안에서 신나게 구두를 만드는 자신의 모습을 그려본다. 「지난 여름날의 판타지」에서 소설가는 놀러 가는 것보다 하찮게 여겨지는 소설 쓰기를 접고 손자를 돌보며 만난 살림 도우미와 이사 도우미를 통해 비록 막일이지만 자기 분야에서 최선을 다하는 모습에 감동 받는다. 그러면서 소설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이 감동이 아닐까 생각하면서 살림을 하든지, 이삿짐을 나르든지, 소설을 쓰든지, 그 속에는 진정성이 있어야 한다’고 깨닫는다.
「목련꽃 필 무렵」의 오갈 데 없어 시골집에 세든 70대 택시기사의 형은 동생이 밖에서 걸어 잠근 방문을 열지 못하고 코로나19로 사망하지만, 감금되었기에 ‘철저한 거리두기로 대면자 없는’ 확진자가 된다. 「랑탕에서 너를 보내다」의 화자는 ‘소설도 정치와 조금도 다르지 않아. 슬프고 고통받은 사람들의 상처를 어루만져주라’고 한 친구를 히말라야의 랑탕 꼭대기에서 떠나보낸다. 「갓길에서 부르는 노래2」에서 삶이 막막해 결국 죽어야 해결되는 소설을 쓰다 죽은 소설가의 유고집을 읽으면서 ‘대신 K샘 작품 속에 나오는 사람들은 선하잖아요. 뭘 탐하여 쟁취하고자 하지 않고 묵묵히 순응하는 선한 사람들’이라고 주고받는 사람들은 결국 산 자들이다.
이처럼 소설 『65세』는 자신의 마음속에 잠재된 타인의 고통을 깨닫는 과정과 운명의 동질성을 발견하는 과정이 동시에 진행된다. 이 과정은 스스로에 대해 상상했던 이미지를 벗고 자신이 서있는 현실을 발견하는 과정과도 동일하다. 그래서 고통에 대해 스스로를 대상화시키는 소설 언어를 통해 각성과 성찰이 함께 이루어진다. 타인의 주변화된 정체성은 스스로를 돌아보는 거울이기 때문에 그들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매개로 서로 소통하고 연대할 수 있는 근거를 만든다. 그래서 소설 『65세』는 강명희 작가가 타인의 고통과 대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유한 언어이면서, 이 세상 모든 65세에게 바치는 노래이다.
작가의 말
자연의 순환을 느낍니다. 먹던 밥도 이곳에서는 음식물 쓰레기가 아닙니다. 닭이 먹고 새가 먹습니다. 그들이 먹고 배설한 것을 풀이 먹고 그렇게 자란 풀을 내가 뜯어 먹습니다. 배추 뿌리조차 버려지지 않고 두엄더미에서 퇴비로 만들어집니다. 도회에서 산다는 것은 온통 쓰레기를 만드는 일이었습니다. 이곳에서는 누군가와 함께 먹고 살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