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청회 자료의 ‘세부 영역별 평가 내용 요소’에 의거한 목차 구성 및 하위 핵심 테마별 정리
* 기출문제의 근거가 된 교육과정을 수록
* 1차 객관식 문항의 정답 및 오답 해설을 수록하여 논리적 근거를 제공
* 동영상 강의 : ssam.willbes.net
이 책은 1998학년도 ∼ 2020학년도까지 출제된 전공 국어 기출문제 언어 기능 영역(‘화법’, ‘독서’, ‘작문’) 과 교과교육론을 해설한 교재입니다.
주지하다시피 2014학년도부터 임용 시험 제도가 개편되었습니다. 1차 객관식 문항 유형 2차 논술 문항 유형으로 나눠 출제되던 기존 체제에서 벗어나, 필기 시험은 1차로 한정하되 ‘서답형’ 문항 즉, 기입(단답형), 서술형, 논술형을 포함한 문항 유형이 A형과 B형으로 나누어 각각 제시되었던 것입니다.
그동안 전공 국어 시험은 두 차례의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먼저 2008년(2009학년도)을 기점으로 하여 출제 유형과 경향이 그간의 경향과 확연하게 달라져, 1차 객관식과 2차 논술형 문항으로 출제되었습니다.
두 번째로 2014학년도에 개편된 ‘서답형’ 유형으로의 변화인데, 이는 ‘기입형’ 및 ‘서술형, 논술형’ 문항으로 출제되어 시행되었습니다. 그로부터 해마다 기입형, 서술형, 논술형 문항수의 변화가 약간씩 있어 왔고, 결국 2020학년도 전공 국어 시험에서는 논술형이 없어지고, 기입형 문항수가 줄어들며, 서술형 문항이 강화되었습니다.
따라서 이처럼 변화된 전공 국어 시험 제도 속에서 수험생들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교과교육론 및 언어 기능 영역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기출문제 해설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공청회 자료에서 제시된 ‘세부 영역별 평가 내용 요소’에 의거하여 목차를 구성하고 하위 핵심 테마별로 정리였습니다. 이를 통해 기출문제의 체계적 분석과 정리가 가능할 것입니다.
2. 기출문제의 근거가 된 교육과정을 수록하였습니다. 개정된 2015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7차, 2007 및 2009, 2012 교육과정에서 관련된 내용을 찾아 근거를 제시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각 문항 출제의 객관적 근거와 기준을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
3. 1차 객관식 문항의 경우, 정답 및 오답 해설을 수록하였습니다. 각 문항에서 되도록 정답인 이유와 오답인 이유를 제공하여 기출 해설의 논리적 근거를 제공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