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조야첨재 2 (큰글씨책)

조야첨재 2 (큰글씨책)

  • 장작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20-11-28 출간
  • |
  • 530페이지
  • |
  • 210 X 297 mm
  • |
  • ISBN 9791128855696
판매가

43,000원

즉시할인가

38,7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8,7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지식을만드는지식 큰글씨책은 약시나 노안으로 독서에 어려움을 겪는 독자를 위해 만든 책입니다. 지식을만드는지식의 책은 모두 큰글씨책으로 제작됩니다.

조야에서 보고 들은 것을 모두 기록했다
≪조야첨재≫는 당나라의 문인 장작(張?)이 지은 역사쇄문류 필기문헌이다. 총 6권에 371조의 고사가 수록되어 있다.
≪조야첨재≫에 수록된 고사의 시대 범위는 대부분 수나라 말부터 당나라 현종 개원 연간 초기까지이며, 남북조 시대의 고사가 일부 들어 있다. 그중에서 측천무후 집정시기(950∼705)의 고사가 150조 가까이 되어 전체 고사의 약 3분의 1 이상을 차지한다. 고사의 내용은 ‘조야에서 보고 들은 것을 모두 기록했다’는 서명처럼 상당히 광범위한데, 이를 크게 조정의 고사와 재야의 고사로 개괄해 볼 수 있다.
먼저 조정의 고사는 정치에 대한 풍간(諷諫)이 주를 이룬다. 특히 측천무후 집정 시기를 중심으로 당시 정치의 암흑상과 부패상, 간신배와 아첨배의 음험한 모략과 전횡, 혹리들의 잔인하고 가혹한 형벌, 전체 관료 집단의 나약함과 무능함, 관리 선발의 난맥상, 잔혹한 권력 투쟁 등에 대해 풍자하고 비판했다. 반면에 근검을 실천하고 선정을 베푼 청렴한 관리들에 대해서는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장작은 인물을 품평하길 좋아하고 시정을 규탄하길 즐겨 당시 사인들에게 경박하다고 미움을 받았는데, 그의 평소 생각과 성격이 이러한 고사들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현실 정치에 대한 그의 이러한 비판 정신은 매우 귀중한 시대적 의미를 지닌다.
다음으로 재야의 고사는 굉장히 다양하다. 여러 계층의 인물의 특이한 언행과 일화, 부인들의 투기, 환술·인요(人妖)·귀신·요괴·정령·재생(再生)·무덤·명기(銘記) 등에 관한 괴이한 고사, 불교와 도교에 관한 고사, 방사와 무당에 관한 고사, 참어(讖語)·징조·점복·해몽에 관한 고사, 민간 풍속과 전설, 민간 가요, 여러 지방의 특이한 풍물, 천문과 의약 등 실로 광범위하다. 이 같은 특징은 당시 사회 전반의 다양한 특성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조야첨재≫의 문헌적 가치
이 책의 문헌적 가치는 크게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후대 사서 편찬에 사료를 제공하거나 정사에 기술되어 있지 않은 사료적 가치가 높은 자료들이 들어 있다. 고종·측천무후·중종·예종·현종 때의 고사가 270여 조에 달해 전체 고사의 절반이 훨씬 넘는데, 이는 당시 사람이 당시의 일을 기록한 것이므로 그만큼 고사의 사실성과 신빙성이 높다. 그래서 오대에 ≪구당서≫를 편찬하고 송대에 ≪신당서≫를 편찬할 때, ≪조야첨재≫의 고사 중에서 각각 30여 조와 50여 조를 사료로 활용했다. 고종 때의 고구려 정벌, 측천무후 때 거란·돌궐과의 전쟁, 재상 배염(裴炎)의 피살, 중종과 예종 때 발생한 궁중 정변 등 다양한 사건들을 엿볼 수 있다.
둘째, ≪조야첨재≫는 그 자체로 당대 역사쇄문류 필기문헌의 대표작으로서 후대 소설과 희곡 창작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청대 포송령(蒲松齡)의 ≪요재지이(聊齋志異)≫, 명대 풍몽룡(馮夢龍)의 ≪유세명언(喩世明言)≫, 풍몽룡의 ≪경세통언(警世通言)≫ 등에 원형 고사로 인용된 이야기들을 살펴볼 수 있다.
셋째, 생동감 넘치는 구어를 활용해 언어 운용 면에서도 주목할 만한 특징을 보이며, 당나라 때 새롭게 등장한 어휘 자료가 많이 들어 있어서, 중고시기 한어(漢語)를 연구하는 데 참고 가치가 높다. 이 책에 보이는 새로운 어휘는 대부분 인물에 대한 품평어인데, 단전사(端箭師 : 애꾸눈)와 합초한(?醋漢 : 먼 곳을 바라보는 남자)[<장원일>(4-5)], 고수필(高手筆 : 글을 너무 늦게 짓는 사람)과 안공자(按孔子 : 글씨를 자주 지우는 사람)[<진희민>(6-4)], 걸조대(乞措大 : 관직을 구걸하는 서생)[<성도의 거지>(보-58)], 청전학사(靑錢學士 : 시험을 볼 때마다 붙는 사람)와 백랍명경(白蠟明經 : 시험에 자주 떨어지는 사람)[<백랍명경>(보-72)], 오금(烏金 : 돼지의 별칭)[<오금>(보-73)] 등이 그 예다.
국내는 물론이고 중국을 비롯한 해외에서도 ≪조야첨재≫에 대한 번역이 아직까지 나오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이 책은 초역이자 완역으로서도 의미를 지닌다.


목차


권5
5-1(253) 왕경
5-2(254) 이걸
5-3(255) 배자운
5-4(256) 위창
5-5(257) 장초금
5-6(258) 동행성
5-7(259) 장작
5-8(260) 장송수
5-9(261) 원가
5-10(262) 모준의 아들
5-11(263) 누사덕
5-12(264) 이적
5-13(265) 이일지
5-14(266) 주전의
5-15(267) 나흑흑
5-16(268) 왕기
5-17(269) 혜범
5-18(270) 사숭현
5-19(271) 영남의 부정한 제사
5-20(272) 하현경
5-21(273) 영주의 부인
5-22(274) 설회의
5-23(275) 호승 보엄
5-24(276) 호초승
5-25(277) 고양이와 앵무새를 길들이다
5-26(278) 낙빈왕
5-27(279) 풍칠이
5-28(280) 고유지
5-29(281) 풍도의 무덤
5-30(282) 번흠분
5-31(283) 과보산
5-32(284) 달리는 바위
5-33(285) 석교
5-34(286) 날아간 비탈
5-35(287) 추낙타
5-36(288) 낙하 사람
5-37(289) 수 문제의 사자총
5-38(290) 장눌지
5-39(291) 송찰
5-40(292) 뱀 언덕
5-41(293) 원수 갚는 뱀
5-42(294) 녹색 뱀
5-43(295) 독사
5-44(296) 종서래사
5-45(297) 수제가
5-46(298) 마령산
5-47(299) 필건태
5-48(300) 보관사
5-49(301) 낙안전
5-50(302) 화용현 농장의 코끼리
5-51(303) 정음
5-52(304) 설직
5-53(305) 조이온
5-54(306) 장급
5-55(307) 길욱
5-56(308) 종초객
5-57(309) 최융
5-58(310) 최식
5-59(311) 장열
5-60(312) 정백헌
5-61(313) 왕경융

권6
6-1(314) 한조종
6-2(315) 신정
6-3(316) 공여선사
6-4(317) 진희민
6-5(318) 이응도
6-6(319) 요군경
6-7(320) 소영사
6-8(321) 고최외
6-9(322) 적인걸
6-10(323) 이안기
6-11(324) 윤신동
6-12(325) 안남의 코끼리
6-13(326) 말하는 성성이
6-14(327) 왕의방
6-15(328) 투녀묘
6-16(329) 두붕거
6-17(330) 시소의 동생
6-18(331) 이해고
6-19(332) 송영문
6-20(333) 팽박통
6-21(334) 이굉
6-22(335) 신승사
6-23(336) 팽달과 고찬
6-24(337) 유신
6-25(338) 노조린
6-26(339) 난릉왕
6-27(340) 유교
6-28(341) 장숭
6-29(342) 십이진거
6-30(343) 구리 술통
6-31(344) 은문량
6-32(345) 양무렴
6-33(346) 왕거
6-34(347) 설신혹
6-35(348) 주자공
6-36(349) 장역지
6-37(350) 이승가
6-38(351) 태주 사람
6-39(352) 양재언
6-40(353) 수안현의 남자
6-41(354) 유숭
6-42(355) 장작
6-43(356) 서경업
6-44(357) 두경전
6-45(358) 흑치상지
6-46(359) 고종
6-47(360) 장역지
6-48(361) 최현위
6-49(362) 송선위
6-50(363) 이처감
6-51(364) 국선충
6-52(365) 원건요
6-53(366) 보지
6-54(367) 위징
6-55(368) 누사덕
6-56(369) 왕현
6-57(370) 이순풍
6-58(371) 왕무애

보집(補輯)
보-1 노반
보-2 잠군모
보-3 원사중
보-4 소정
보-5 지선사
보-6 양 무제
보-7 장손무기
보-8 왕진
보-9 강융
보-10 이소덕
보-11 궁사업
보-12 주흥
보-13 어사훤
보-14 색원례
보-15 장초금
보-16 최일지
보-17 학처준
보-18 반언
보-19 장승요
보-20 비고
보-21 장조택
보-22 유계지
보-23 종현성
보-24 맹신상
보-25 비기
보-26 한영규
보-27 이굉
보-28 장손흔
보-29 장역지 형제
보-30 권회은
보-31 송지손
보-32 팽선각
보-33 영천현령
보-34 마추
보-35 고예의 부인
보-36 왕담
보-37 서작
보-38 이덕림
보-39 학처준
보-40 서적
보-41 풍목인
보-42 삼릉초
보-43 남주
보-44 여우 신
보-45 장간
보-46 비단뱀 쓸개
보-47 위영
보-48 동화조
보-49 진랍국의 낭조
보-50 백설
보-51 나주의 붉은 자라
보-52 장사공
보-53 누리 떼
보-54 유구국
보-55 곽무정
보-56 천후
보-57 배면
보-58 성도의 거지
보-59 후미허
보-60 노씨 부인
보-61 옥영
보-62 왕효걸
보-63 내준신
보-64 돌궐
보-65 주인궤
보-66 위월장
보-67 왕거
보-68 예약수
보-69 배율
보-70 마주
보-71 서언백
보-72 백랍명경
보-73 오금
보-74 작미표
보-75 육여경
보-76 은안
보-77 호랑이 점
보-78 소미도
보-79 방상시의 조카
보-80 맹홍미
보-81 사대부의 숲과 못
보-82 장씨
보-83 후사지
보-84 유형
보-85 사면될 징조
보-86 비 올 징조
보-87 삼백
보-88 재상의 직분
보-89 당검
보-90 왕구례
보-91 배비서
보-92 장이섭
보-93 장역지
보-94 상관소용
보-95 장창령
보-96 울지경덕
보-97 위원충
보-98 삼구·오후
보-99 태세
보-100 유인궤
보-101 최혼
보-102 배최
보-103 제갈앙
보-104 등왕
보-105 적인걸
보-106 장구아
보-107 서리 내리는 날
보-108 장회숙·임정명
보-109 곽무정
보-110 의성공주
보-111 화앙
보-112 내관
보-113 삼족우
보-114 동귀부
보-115 조태

부록
장작전(張?傳)
역대저록(歷代著錄)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