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1 회계감사

2021 회계감사

  • 도정환
  • |
  • 나우 퍼블리셔
  • |
  • 2020-11-14 출간
  • |
  • 759페이지
  • |
  • 190 X 260 mm
  • |
  • ISBN 9791197198335
판매가

37,000원

즉시할인가

35,89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5,89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머리말]

회계감사 강의를 시작한 지 어느덧 10년이 지났다. 그 세월 동안 본인이 집필한 책으로 강의를 한 적도 있었고 훌륭한 교수님들의 여러 저서로 강의를 진행한 적도 있었다. 다양한 책으로 강의를 진행했던 경험 덕분에 감사의 지식뿐만 아니라 책 그 자체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도 큰 깨달음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그 동안 여러 수험생들로부터 수많은 질문을 받았다. 수험생들의 다양한 질문은 수험생들이 감사를 어떻게 이해하는지, 무엇을 어려워하는지 등에 대해 살아 있는 가르침을 주었다. 따라서 수험생들이 감사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관련 내용을 좀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암기할 수 있도록 본서를 다음과 같이 집필하였다.
1. 교재의 목차
감사는 일반적으로 1년간 수행되는 순차적인 절차이므로, 교재의 목차가 그 감사절차를 오롯이 담을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목차를 다음과 같이 총 6편으로 구성하였고, 그 중에서 감사절차의 핵심은 3편(위험평가절차)과 4편(추가감사절차)에 해당한다.

1편 감사의 기초
2편 감사인의 선임과 감사계약
3편 회계감사의 시작과 위험평가절차
4편 위험평가절차에 대한 추가감사절차
5편 감사의견의 형성과 감사보고서
6편 그룹재무제표감사와 기타 인증업무

목차는 가능한 세분화하였고, 수험생들이 관련 내용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목차(차례)를 자세하게 기재하였다. 따라서 목차(차례)만 읽더라도 감사절차가 어떻게 구성되고, 어떤 순서로 수행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2. 내용의 서술방식
감사인이 감사를 수행할 때 따라야 하는 회계감사기준은 국제감사기준을 직역하였기 때문에 그 내용이 매우 추상적이다. 따라서 감사업무를 경험해보지 못한 수험생들이 회계감사기준의 내용을 그대로 읽고 감사절차를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다. 하지만 그 직역된 회계감사기준의 내용이 실제 시험문제의 답안이 되는 경우도 많으므로 그 내용을 의역해서 암기하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서에서는 각 주제의 설명은 쉬운 예와 함께 회계감사기준의 내용을 가능한 풀어서 설명하되, 시험문제로 출제될 수 있는 암기대상 항목들은 별도의 박스로 표시하여 회계감사기준의 내용을 그대로 반영하였다. 또한 관련 기준을 찾아보고자 하는 수험생들을 위해 회계감사기준의 문단 번호를 함께 기재하였다.
3. 2014년 이후 모든 기출문제의 반영
새로운 회계감사기준이 적용된 2014년부터 현재까지 많은 문제들이 출제되었고, 그 양이 방대하여 문제은행이 될 정도가 되었다. 또한 회차를 거듭할수록 중요한 내용은 문제의 구성만 달리하여 반복적으로 출제되고 있고,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내용도 기존의 기출문제와 겹치지 않기 위해서 출제되고 있으므로, 기출문제를 풀어보는 것은 성적향상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서는 2014년 이후의 모든 기출문제를 반영하였고, 일부 개정된 회계감사기준과 관련된 문제는 현재의 회계감사기준에 일치하도록 수정하여 반영하였다.
4. 기출문제와 연습문제의 기재방식
많은 수험서들은 각 장의 마지막에 연습문제를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본서는 관련 주제에 해당하는 기출문제를 각 물음별로 또는 각 요구사항별로 잘게 쪼갠 후 해당 주제의 아래에 배치하여 그 주제와 관련된 내용이 어떤 식으로 출제되는지 바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2014년 이후 출제된 적이 없는 일부 주제에 대해서는 2013년 이전의 기출문제를 반영하거나 별도의 연습문제를 추가하였다.

또한 각 문제에는 풀이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 부연설명을 추가하여 수험생들이 해당 문제와 답안, 그리고 답안의 작성방법까지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장의 마지막에 연습문제가 없어서 문제가 다소 부족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서에 포함된 기출문제, 연습문제, 적용예제 등의 분량은 수백 페이지에 해당하여 기본서에 포함되는 문제로서 부족함이 없다. 따라서 추가적으로 더 많은 문제를 풀어보고자 할 때에는 다른 연습문제집이나 모의고사문제집을 활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5. 기출연도의 표시
회계감사기준의 중요한 내용들은 반복적으로 출제되고 있고,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항목들은 기존의 기출문제와 겹치지 않기 위해서 출제되고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관련 내용의 기출여부와 기출연도를 이해하게 되면 매우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성적을 높일 수 있으므로 관련 내용별로 기출연도를 표시하였다.
6. 비교하기와 생각하기의 추가
실제 시험에서는 관련 내용이나 절차를 비교해서 출제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감사인이 경영진이 연루된 부정을 발견하였을 경우 회계감사기준의 대응절차와 관련 법률인 외부감사법의 대응절차를 비교하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따라서 서로 비교되거나, 내용이 비슷하여 서로 헷갈릴 수 있는 항목들은 [비교하기]란을 추가하여 관련 항목을 비교하여 동시에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그 동안 수험생들의 중복된 질문들에 대해서는 별도로 [생각하기]란을 추가하여 공부하면서 생길 수 있는 궁금증들을 미리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7. 실무자료의 반영
감사는 이론 중심의 다른 수험과목과는 달리 절차 중심의 수험과목이다. 그러므로 실제 감사절차에서 사용되는 감사자료를 이해하면, 추상적으로 느껴지는 감사절차를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서에서는 수험목적으로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하더라도 감사절차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감사자료를 추가하였다.
예를 들어, 토지나 건물의 적정성을 확인하는 감사절차에서 가장 중요한 절차는 부동산등기부등본을 검토하는 것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수험생들은 부동산등기부등본을 본 적도 없고, 읽는 방법도 모르기 때문에 그 절차가 매우 추상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서에는 부동산등기부등본의 실제 사례를 추가해서 부동산등기부등본의 검토 절차를 보다 구체적으로 기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험생의 필요에 가장 알맞은 최적의 교재를 만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지만, 능력의 부족으로 그것은 늘 진행형이 될 것임을 알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분의 도움으로 본서가 책으로서의 모습을 제대로 갖출 수 있었기에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특히 빠듯한 출간 일정에 주말도 반납하고 본서의 출간과 세련된 편집으로 완성도를 높여주신 나우퍼블리셔의 김대명 대표님과 김주희 실장님, 본서의 오타 뿐만 아니라 본서의 내용에 대해서도 날카롭고 수준 높은 조언을 해 주신 사랑스런 제자 유형록 회계사님, 묵묵하고 꼼꼼하게 교정을 해 주신 이진호 주임님, 늘 강사로서의 성장에 특별한 관심과 애정을 쏟아주시는 우리경영아카데미의 김미희 이사님, 따뜻한 관심과 배려로서 물심양면으로 지원을 해 주신 한서회계법인의 김영린 대표이사님께 이 지면을 빌어 특별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그리고 많은 시간을 함께 하지 못해 늘 미안한 가족에게 그 미안함을 감사의 인사로 대신한다.
또한 본서의 출간 이후에도 본서에 대해 아낌없는 조언을 해 주실 여러 수험생들께도 미리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본서가 아직은 미완이라 하더라도 많은 수험생들이 수험생의 신분에서 공인회계사의 신분으로 거듭남에 있어서 단단한 디딤돌이 될 수 있기를 가슴 가득 바란다.
2020년 11월
공인회계사 도 정 환


목차


Part1
감사의 기초

제1장 감사의 기본개념 2
제1절 감사의 개념과 분류 2
1. 감사의 개념 2
2. 감사의 분류 2
(1) 감사대상별 분류 / 2
(2) 회계감사의 다양한 분류 / 4
제2절 회계감사의 목적과 한계 6
1. 회계감사의 목적 6
2. 회계감사의 필요성과 외부감사법상 감사대상 7
(1) 정보위험과 회계감사의 필요성 / 7
(2) 외부감사법상 감사대상 / 9
3. 회계감사의 효익 11
(1) 재무제표(정보)이용자의 효익 / 11
(2) 감사대상회사의 효익 / 12
4. 회계감사의 고유한계 14
(1) 회계감사의 고유한계 / 14
(2) 회계감사의 고유한계를 일으키는 원인 / 14
제3절 회계감사의 구성요소 18
1. 감사대상과 경영진주장 18
(1) 감사대상기간의 거래 및 사건의 유형에 대한 경영진주장 / 19
(2) 보고기간말 계정잔액에 대한 경영진주장 / 19
(3) 표시와 공시에 대한 경영진주장 / 20
2. 판단기준(준거기준): 재무보고체계 22
3. 행위기준: 회계감사기준 24
(1) 회계감사기준 / 24
(2) 전문가적 의구심 / 27
4. 감사의견과 감사보고서 31
(1) 감사의견의 종류 / 31
(2) 감사보고서 / 31

제2장 감사인의 책임과 자격요건 35
제1절 공인회계사의 제공업무와 조직형태 35
1. 공인회계사의 제공업무 35
(1) 인증업무 / 35
(2) 비인증업무 / 36
2. 공인회계사의 조직형태 37
(1) 회계법인 / 37
(2) 개인사무소와 감사반 / 38
제2절 관련 법규의 준수와 그 책임 39
1. 법규상 손해배상책임과 손해배상책임제도 39
(1) 외부감사법상 손해배상책임 / 39
(2) 기타 법률상 손해배상책임 / 41
(3) 증권집단소송제도 / 44
(4) 감사인의 손해배상책임제도 / 45
2. 법률상 형사적 책임 46
(1) 외부감사법상 형사적 책임 / 46
(2) 공인회계사법상 형사적 책임 / 46
제3절 공인회계사윤리기준의 준수 47
1. 공인회계사윤리기준 47
(1) 공인회계사윤리기준의 구성 / 48
(2) 5가지 윤리강령 / 49
(3) 5가지 위협 / 52
(4) 3단계 윤리강령 준수절차 / 53
(5) 안전장치의 마련 / 54
2. 상황별 윤리기준의 준수 58
(1) 윤리적 갈등 / 58
(2) 이해상충 / 58
(3) 제2의견 / 61
(4) 광고 / 62
(5) 의뢰인 자산의 보관 / 63
제4절 감사인의 범위와 자격요건 65
1. 감사인과 그 범위 65
(1) 감사인의 범위 / 65
(2) 감사반의 감사업무제한 / 65
(3) 주권상장법인의 감사인 등록제도 / 66
2. 감사인의 자격요건 66
(1) 적격성 / 67
(2) 독립성 / 69

제3장 감사인의 독립성과 품질관리제도 74
제1절 공인회계사법과 공인회계사윤리기준의 독립성 74
1. 독립성에 대한 공인회계사법과 공인회계사윤리기준의 비교 74
2. 공인회계사법의 독립성훼손으로 인한 직무제한 규정의 적용대상 75
제2절 5가지 위협과 독립성 78
1. 이기적 위협이 발생하는 상황 78
(1) 감사업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 78
(2) 감사업무를 수임할 수 있으나 안전장치가 필요한 경우 / 81
2. 유착위협이 발생하는 상황 85
(1) 감사업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 85
(2) 직계존비속이나 측근가족이 감사대상회사의 임직원인 경우 / 86
3. 자기검토위협이 발생하는 상황 87
(1) 감사업무와 비감사업무의 동시수행에 대한 찬반논쟁 / 87
(2) 동일 감사대상회사에 대한 감사업무와 비감사업무의 동시수행 / 87
(3) 전기에 비감사업무를 수행하고 당기에 감사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 89
4. 변호위협이 발생하는 상황 91
5. 압력위협이 발생하는 상황 91
제3절 품질관리와 품질관리제도 96
1. 품질관리 96
2. 회계법인의 품질관리절차와 외부기관의 품질관리제도 96
(1) 회계법인의 자율적 품질관리 / 96
(2) 외부기관에 의한 품질관리제도 / 105

Part2
감사인의 선임과 감사계약

제1장 감사인의 선임 108
제1절 감사인의 선임방식과 독립성 108
1. 감사인의 선임방식 108
(1) 자유수임방식 / 108
(2) 국가배정방식(=감사인 지정) / 108
(3) 우리나라의 감사인 선임방식 / 108
2. 외부감사법상 5가지 독립성 유지제도 110
(1) 감사인의 선임권자와 선임기한 / 110
(2) 주권상장법인 등의 감사인 유지제도 / 113
(3) 감사업무팀 교체제도 / 115
(4) 전임감사인의 의견진술권 / 116
(5) 감사인의 지정(=국가배정방식) / 117
제2절 외부감사법상 감사인의 선임절차 120
1. 감사인의 선임주체와 선임기한 120
2. 감사인의 선임시 문서화할 사항 120
3. 회사와 감사인의 감사인 선임보고(감사계약 체결보고) 121

제2장 감사계약 122
제1절 감사업무의 수임과 유지의 결정 122
1. 감사업무의 수임과 유지 결정시 고려사항 122
2. 감사업무의 수임전 범위제한으로 의견거절 예상시 수임여부 결정 123
제2절 감사업무의 전제조건과 회사의 재무제표 작성책임 125
1. 감사업무 전제조건의 합의 125
2. 외부감사법상 회사의 재무제표 작성책임과 제출의무 128
(1) 외부감사법상 회사의 재무제표 작성책임 / 129
(2) 외부감사법상 회사의 재무제표 제출의무 / 130
제3절 감사계약 131
1. 감사계약서의 포함내용 131
(1) 필수적 기재사항과 보충적 기재사항 / 131
(2) 감사보수의 산정기준 / 133
2. 감사업무조건의 변경요구시 대응 134
3. 감사계약의 해지권 134
(1) 감사인의 해지권 / 135
(2) 감사대상회사의 해지권 / 136

Part3
회계감사의 시작과 위험평가절차

제1장 회계감사수행을 위한 기초지식 138
제1절 회계감사의 업무흐름 138
제2절 감사증거와 요건 139
1. 감사증거의 의의 139
2. 감사증거의 2가지 요건 139
(1) 충분성(감사증거의 양) / 139
(2) 적합성(감사증거의 질) / 140
3. 감사증거의 문서화(감사조서, 감사문서) 143
(1) 감사조서의 작성목적 / 143
(2) 감사조서의 형식, 내용 및 범위 / 145
(3) 감사조서와 관련된 기타사항 / 147
제3절 감사증거의 입수방법(감사기술) 150
1. 분석적절차 150
(1) 분석적절차의 종류 / 150
(2) 분석적절차가 수행되는 3단계 / 157
(3) 위험평가절차로서의 분석적절차 / 158
(4) 실증절차로서의 분석적절차: 실증적인 분석적절차 / 160
(5) 전반적인 결론형성단계의 분석적절차 / 162
2. 질문 162
3. 검사(문서검사, 실물검사) 163
(1) 문서검사 / 163
(2) 실물검사 / 166
4. 재계산 168
5. 재수행 168
6. 관찰(입회) 168
7. 외부조회 168
(1) 개요 / 168
(2) 외부조회의 2가지 종류 / 171
(3) 외부조회의 수행절차 / 173
제4절 전문가와 내부감사인이 수행한 업무 185
1. 회사가 경영진측 전문가를 활용한 경우 감사절차 185
(1) 개요 / 185
(2) 회사가 경영진측 전문가를 활용한 경우 감사절차 / 186
2. 감사인측 전문가의 활용 191
(1) 개요 / 191
(2) 감사인측 전문가의 활용절차 / 191
3. 내부감사기능이 수행한 업무의 활용 195
(1) 개요 / 195
(2) 내부감사기능이 수행한 업무의 활용절차 / 196
제5절 중요성 199
1. 재무회계와 회계감사에서의 중요성 199
(1) 재무회계에서의 중요성 / 199
(2) 회계감사에서의 중요성 / 200
2. 중요성과 감사범위계획간의 관계 201
3. 중요성의 4가지 종류 203
(1) 재무제표 전체에 대한 중요성 / 203
(2) 재무제표 전체에 대한 수행중요성 / 204
(3) 특정항목에 대한 중요성 / 205
(4) 특정항목에 대한 수행중요성 / 207
(5) 명백하게 사소한 금액 / 207
4. 중요성 설정시 고려요소 209
5. 중요성의 수정 211
제6절 감사위험 212
1. 감사위험과 구성요소 212
(1) 감사위험 / 212
(2) 감사위험의 구성요소(발생원인) / 212
2. 감사위험의 감사계획과 감사증거량간의 관계 215
(1) 감사위험과 감사계획간의 관계 / 215
(2) 감사위험과 감사증거량간의 관계 / 216

제2장 위험평가절차와 계획수립 218
제1절 업무팀의 구성과 위험평가절차 218
1. 업무팀의 구성과 토의 218
2. 위험평가절차의 개요 219
(1) 중요왜곡표시위험과 유의적 위험 / 219
(2) 위험평가절차시 사용되는 감사증거입수방법(감사기술) / 222
(3) 중요왜곡표시위험을 식별하고 평가하기 전에 완료되어야 하는 계획사항 / 226
(4) 중요왜곡표시위험의 식별과 평가 수준 / 226
(5) 4단계의 중요왜곡표시위험의 식별과 평가 순서 / 227
3. 기업과 기업환경의 이해를 통한 위험평가절차 228
(1) 기업과 기업환경의 이해 목적 / 228
(2) 기업과 기업환경의 이해 내용 / 229
4. 평가된 중요왜곡표시위험의 수정 234
제2절 평가된 위험에 대한 대응과 계획수립 235
1. 평가된 위험에 대한 대응 235
(1) 재무제표 수준의 대응 235
(2) 경영진주장 수준의 대응 237
(3) 실증절차만으로 충분하고 적합한 감사증거를 제공하지 못하는 위험에 대한 대응 / 242
2. 계획수립 243
(1) 계획수립의 기본개념 / 243
(2) 전반감사전략의 수립과 (세부)감사계획의 개발 / 245
제3절 지배기구와의 커뮤니케이션 255
1. 개요 255
2. 지배기구와 커뮤니케이션할 사항과 절차 256
(1) 지배기구와 커뮤니케이션할 사항 / 257
(2) 지배기구와의 커뮤니케이션 절차 / 258
3. 지배구기구와 커뮤니케이션의 효익 259
4. 지배기구 내의 하위그룹과의 커뮤니케이션 261

Part4
위험평가절차에 대한 추가감사절차

제1장 통제테스트와 위험평가의 확정 267
제1절 회사의 내부통제 267
1. 내부통제의 의의 267
(1) 내부통제의 정의 / 267
(2) 내부통제와 내부회계관리제도 / 267
(3) 내부통제의 고유한계 / 268
2. 내부통제의 구성요소 269
(1) 통제환경 / 269
(2) 기업의 위험평가절차 / 272
(3) 재무보고에 관련된 정보시스템과 커뮤니케이션 / 274
(4) 통제활동 / 275
(5) 통제의 모니터링 / 277
제2절 내부통제의 이해와 통제테스트 280
1. 내부통제의 이해와 통제테스트 280
2. 통제테스트의 수행 280
(1) 통제테스트를 수행하는 상황 / 280
(2) 통제테스트에 사용되는 감사증거수집방법 / 283
(3) 통제테스트의 구체적인 수행절차 / 283
(4) 통제테스트의 수행시기 / 284
(5) 전기이전에 입수한 통제테스트의 감사증거 이용 / 287
(6) 내부통제의 미비점에 대한 경영진과 지배기구와의 커뮤니케이션 / 289
제3절 거래유형별 통제 294
1. 매출과 대금회수거래 294
(1) 영업부서 / 295
(2) 신용조사부서 / 295
(3) 창고부서 / 295
(4) 선적부서 / 295
(5) 회계부서 / 295
(6) 대금청구부서 / 296
(7) 자금부서 / 296
2. 매입과 대금지급거래 299
(1) 구매요청부서 / 299
(2) 구매부서 / 299
(3) 검수부서 / 300
(4) 창고부서 / 300
(5) 회계부서 / 300
(6) 지급결의부서 / 300
(7) 자금부서 / 300
제4절 정보시스템환경하에서의 통제테스트 303
1. 정보기술이 내부통제에 미치는 영향 303
(1) 정보기술이 내부통제에 미치는 효익 / 303
(2) 정보기술이 내부통제에 미치는 위험 / 304
2. 정보시스템과 관련된 내부통제 305
(1) 일반통제와 응용통제 / 305
(2) 일반통제와 관련된 업무분장 / 306
3. 정보시스템환경하에서 통제테스트 310
(1) 컴퓨터 주변감사 / 310
(2) 컴퓨터 자체감사 / 310
제5절 외부서비스조직을 이용하는 회사에 대한 통제테스트 316
1. 개요 316
2. 서비스조직을 이용하는 회사에 대한 위험평가절차 317
(1) 서비스조직의 서비스 및 통제와 관련하여 이해할 사항 / 317
(2) 이용자기업을 통해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경우 추가수행절차 / 318
3. 서비스조직을 이용하는 회사에 대한 통제테스트 320
(1) 서비스조직의 통제에 대한 통제테스트 수행방법 / 320
(2) 통제테스트로서 유형 2 보고서를 이용할 경우 추가절차 / 321
(3) 유형 2 보고서가 제공하는 증거의 충분성과 적합성 결정시 만족하여야 할 사항 / 322
제2장 실증절차의 기초 323
제1절 개요 323
1. 실증절차의 분류 323
(1) 실증절차의 일반적 분류 / 323
(2) 실증절차의 수행목적별 분류 / 324
2. 실증절차의 수행순서 327
(1) 총괄표(Lead Sheet)의 작성 / 327
(2) 실증적인 분석적절차의 수행 / 327
(3) 세부테스트의 수행 / 328
제2절 실증절차의 수행시기와 적용방법 330
1. 실증절차의 수행시기 330
(1) 원칙: 재무제표일 이후 / 330
(2) 예외: 중간기간 / 330
2. 계정별 실증절차의 적용방법 332
(1) 재무상태표 계정 중심? 손익계산서 계정 중심? / 332
(2) 재무상태표 계정만으로 관련된 손익계산서의 계정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을까? / 333
(3) 실재성 중심? 완전성 중심? / 334

제3장 기초잔액과 거래유형별 실증절차 335
제1절 초도감사시 기초잔액 335
1. 개요 335
2. 기초잔액에 대한 감사목적별 감사절차 336
(1) 감사목적: 기초잔액에 왜곡표시의 포함여부를 확인하는 감사절차 / 336
(2) 감사목적: 기초잔액에 적합한 회계정책이 당기에도 일관되게 적용되고 있는지 여부 / 339
3. 기초잔액과 관련된 감사보고 339
(1) 상황별 감사의견 / 339
(2) 감사의견의 분리 / 340
제2절 현금및현금성자산 342
1. 총괄표의 작성 342

2. 실증적인 분석적절차의 수행 342
3. 세부테스트의 수행 343
(1) 계정잔액에 대한 세부테스트 / 343
(2) 거래유형에 대한 세부테스트 / 352
(3) 표시와 공시에 대한 세부테스트 / 352
제3절 매출채권과 매출 353
1. 총괄표의 작성 353
2. 실증적인 분석적절차의 수행 353
(1) 추세분석 / 353
(2) 재무비율분석 / 354
3. 세부테스트의 수행 355
(1) 계정잔액에 대한 세부테스트 / 355
(2) 거래유형에 대한 세부테스트 / 357
(3) 표시와 공시에 대한 세부테스트 / 361
제4절 재고자산과 매출원가 362
1. 직접 보관시 362
(1) 수량과 상태를 확인하는 감사기술 / 362
(2) 실사입회 계획시 고려사항 / 363
(3) 실사입회 관련 2가지 절차 / 364
(4) 실사(기준)일과 재무제표일이 다른 경우 / 367
(5) 실사입회의 생략 / 370
2. 제3자 보관시 372
제5절 유형자산과 감가상각비 374
1. 총괄표의 작성 374
2. 실증적인 분석적절차의 수행 374
3. 세부테스트의 수행 376
(1) 계정잔액에 대한 세부테스트 / 376
(2) 거래유형에 대한 세부테스트 / 380
(3) 표시와 공시에 대한 세부테스트 / 380
제6절 매입채무와 차입금 384
1. 매입채무 384
2. 차입금 386
(1) 총괄표의 작성 / 386
(2) 실증적인 분석적절차 / 386
(3) 세부테스트의 수행 / 387

제4장 특정항목별 감사절차 390
제1절 부정 390
1. 개요 391
(1) 부정에 대한 경영진과 감사인의 책임 / 391
(2) 부정적발의 고유한계 / 393
(3) 부정의 2가지 종류 / 395
(4) 부정의 3가지 구성요소 / 395
2. 부정에 대한 감사절차 400
(1) 업무팀 토의 / 400
(2) 위험평가절차 / 401
(3) 부정으로 인한 중요왜곡표시위험의 식별과 평가 / 403
(4) 부정으로 인한 중요왜곡표시위험에 대한 대응 / 405
(5) 감사증거의 평가 / 413
(6) 부정 또는 의심중인 부정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 415
(7) 서면진술의 수령 / 419
(8) 부정으로 인하여 감사업무를 계속할 수 없는 경우 / 421
제2절 회계추정치 423
1. 개요 423
2. 회계추정치에 대한 감사절차 425
(1) 위험평가절차로서 이해할 사항 / 425
(2) 전기회계추정치의 검토 / 428
(3) 중요왜곡표시위험에 대한 대응절차 / 429
(4) 감사증거의 평가와 왜곡표시의 결정 / 432
(5) 서면진술의 수령 / 432
제3절 특수관계자 거래 438
1. 개요 438
2. 특수관계자 거래에 대한 감사절차 440
(1) 업무팀 토의 / 440
(2) 특수관계자 거래에 대해서 이해할 사항 / 440
(3) 특수관계자 거래의 식별절차 / 441
(4) 새로운 특수관계자나 그 거래의 식별시 대응절차 / 442
(5) 정상적인 사업과정이 아닌 거래를 식별한 경우 대응절차 / 443
(6) 서면진술의 수령 / 444
제4절 소송과 배상청구 445
1. 개요 445
2. 소송과 배상청구에 대한 감사절차 445
(1) 소송과 배상청구의 식별 / 445
(2) 외부법률고문과 직접 커뮤니케이션(변호사조회서) / 446
(3) 외부법률고문과 직접 만남 / 448
(4) 소송의 진행경과 파악 / 448
(5) 서면진술의 수령 / 448
제5절 회사의 법규준수 449
1. 개요 449
2. 회사의 법규준수에 대한 감사절차 449
(1) 법규준수와 관련하여 이해할 사항 / 449
(2) 법규의 2가지 유형과 감사절차 / 450
(3) 법규위반 또는 의심되는 위반사례에 대해서 정보를 알게 된 경우 수행절차 / 450
(4) 서면진술의 수령 / 451
제6절 부문정보의 공시 452
1. 개요 452
2. 부문정보의 공시에 대한 감사절차 454

제5장 테스트항목의 범위와 표본감사 455
제1절 테스트항목의 추출범위 455
1. 전수조사 455
2. 일부조사 456
(1) 특정항목의 추출 / 456
(2) 표본감사 / 457
제2절 표본감사와 표본위험 461
1. 표본위험 461
2. 비표본위험 463
제3절 통계적 표본감사 464
1. 표본의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465
(1) 허용이탈율과 허용왜곡표시 / 465
(2) 예상이탈율과 예상왜곡표시 / 466
(3) 확신의 수준 / 466
(4) 모집단의 표본단위의 수 / 467
(5) 위험평가시 통제의 고려정도와 중요왜곡표시위험 / 467
(6) 대체적 절차 / 468
(7) 모집단의 계층화 / 468
2. 표본추출방법 470
제4절 통제테스트로서의 속성표본감사 473
1. 표본의 설계 473
2. 표본규모의 결정 474
(1) 조견표를 이용하는 방법 / 474
(2) 신뢰계수를 이용하는 방법 / 475
3. 테스트항목의 추출 476
4. 감사절차의 수행 476
5. 이탈의 성격과 원인에 대한 조사 및 평가 477
6. 표본감사결과의 평가 477
(1) 조견표를 이용하는 방법 / 478
(2) 신뢰계수를 이용하는 방법 / 479
(3) 추정이탈상한율과 허용오류율의 비교를 통한 결과평가 / 480
제5절 세부테스트로서의 금액비례확률본감사 484
1. 표본의 설계 485
2. 표본규모의 결정 486
3. 테스트항목의 추출 488
4. 감사절차의 수행 489
5. 왜곡표시의 성격과 원인에 대한 조사 및 평가 489
6. 왜곡표시의 투영: 모집단투영왜곡표시의 계산 490
7. 표본감사결과의 평가 494
제6절 세부테스트로서의 전통적 변량표본감사 502
1. 표본규모의 결정 502
(1) 복원추출 / 502
(2) 비복원추출 / 503
2. 표본감사결과의 평가 503
(1) 모집단의 점추정치 / 504
(2) 정도 / 506

제6장 실증절차의 마무리절차 507
제1절 후속사건의 검토 507
1. 개요 507
(1) 후속사건의 정의 / 507
(2) 재무제표 (발행)승인일과 재무제표 발행일 / 508
(3) 감사보고서일 / 508
(4) 후속사건의 2가지 유형 / 511
2. 감사보고서일까지 발생한 후속사건의 식별절차 514
3. 감사보고서일 이후에 알게 된 경우 대응절차 516
(1) 기본수행절차 / 516
(2) 새로운 감사보고서일까지의 후속사건 감사절차의 연장과 새로운 감사보고서일의 기재방법 / 516
(3) 경영진의 반영여부에 따른 시기별 대응절차 / 521
제2절 계속기업전제의 검토 525
1. 개요 525
(1) 계속기업전제에 대한 경영진의 책임 / 525
(2) 계속기업전제에 대한 감사인의 책임 / 525
2. 계속기업전제에 대한 감사절차 526
(1) 경영진의 예비평가 수행여부에 따른 위험평가절차 / 526
(2) 경영진의 평가에 대한 감사인의 평가 / 528
(3) 계존유의사상 식별시 감사절차 / 530
(4) 평가기간 이후의 감사절차 / 533
(5) 감사결과의 평가 / 533
(6) 서면진술의 입수 / 535
3. 계속기업전제와 관련한 감사보고 535
(1) 계속기업전제에 대해 충분하고 적합한 감사증거를 입수하지 못한 경우 / 535
(2) 계존유의사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 537
(3) 계속기업전제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 / 537
(4) 계존유의사상이 존재하지만 중요한 불확실성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론을 내리는 경우: Close call / 538
(5) 중요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경우로서 주석기재가 적절한 경우 / 540
(6) 중요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경우로서 주석기재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 / 543
제3절 서면진술의 수령 547
1. 개요 547
(1) 감사증거로서의 서면진술 / 547
(2) 서면진술의 요청대상과 대상기간 / 548
(3) 서면진술의 기타고려사항 / 549
2. 서면진술의 내용과 미제공시 대응절차 551
(1) 서면진술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과 미수정왜곡표시에 대한 서면진술 / 551
(2) 서면진술 미제공시 대응절차와 감사의견 / 554

Part5
감사의견의 형성과 감사보고서

제1장 미수정왜곡표시의 평가와 감사의견의 형성 558
제1절 발견된 왜곡표시의 집계와 미수정왜곡표시 558
1. 왜곡표시의 개요 558
(1) 왜곡표시의 정의 / 558
(2) 왜곡표시의 발생원인 / 558
(3) 왜곡표시의 분류 / 559
2. 사례를 통한 식별된 왜곡표시의 집계와 수정권고 559
(1) 식별된 왜곡표시 / 560
(2) 식별된 왜곡표시의 집계와 추가 수행절차 / 560
(3) 경영진에게 수정권고 / 562
(4) 경영진의 미수정왜곡표시와 추가 수행절차 / 563
(5) 공표용 재무제표의 수령 / 567
제2절 미수정왜곡표시가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의 고려와 감사의견의 형성 568
1. 미수정왜곡표시가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전 수행절차 568
(1) 중요성의 수정 필요성 고려 / 568
(2) 전반적인 결론을 내리기 위한 분석적절차의 수행 / 568
2. 감사의견의 형성 568
(1) 적정의견의 표명 / 568
(2) 감사의견의 변형 / 569

제2장 감사보고서의 작성과 보고 577
제1절 감사보고서의 구성요소 577
1. 감사보고서의 기본적인 구성요소 577
(1) 감사보고서의 형식과 관련된 구성요소 / 577
(2) 감사보고서의 내용과 관련된 구성요소 / 581
2. 핵심감사사항의 커뮤니케이션과 감사보고 588
(1) 개요 / 588
(2) 핵심감사사항의 결정방법 / 590
(3) 핵심감사사항의 감사보고서 기재방법 / 592
3. 강조사항과 기타사항 599
(1) 강조사항과 기타사항의 정의 / 599
(2) 강조사항의 세부사항 / 599
(3) 기타사항의 세부사항 / 603
(4) 강조사항 또는 기타사항의 기재가 예상되는 경우 수행절차 / 605
제2절 변형된 감사의견의 감사보고서 606
1. 변형사유별 감사보고서의 내용과 관련된 구성요소의 수정여부 606
(1) 감사의견 관련 / 606
(2) 감사의견근거 관련 / 607
(3) 핵심감사사항 관련 / 607
(4) 재무제표에 대한 경영진과 지배기구의 책임 관련 / 607
(5) 재무제표감사에 대한 감사인의 책임 관련 / 608
2. 감사범위제한으로 감사의견 변형시 감사보고서 사례 608
(1) 한정의견 / 608
(2) 의견거절 / 610
3. 재무제표의 왜곡표시로 감사의견 변형시 감사보고서 614
(1) 한정의견 / 614
(2) 부적정의견 / 615
제3절 비교정보에 대한 감사보고 617
1. 개요 617
2. 비교재무제표에 대한 감사보고 617
(1) 계속감사시 감사보고 / 617
(2) 초도감사시 감사보고 / 620
(3) 초도감사시 전기재무제표의 중요한 왜곡표시 발견시 대응절차 / 621
제4절 기타정보에 대한 감사보고 626
1. 기타정보에 대한 감사인의 책임 627
2. 감사받은 재무제표와 기타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응절차 628
(1) 기타정보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 628
(2) 감사받은 재무제표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 630

Part6
그룹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와 기타인증업무

제1장 인증업무개념체계와 특정목적재무보고체계 632
제1절 인증업무개념체계 632
1. 인증업무의 정의 632
2. 인증업무의 형태 632
(1) 합리적 확신업무 / 632
(2) 제한적 확신업무 / 633
3. 인증업무의 범위 634
4. 인증업무의 5가지 구성요소 634
(1) 공인회계사, 인증대상업무 책임자 및 의도된 이용자로 구성되는 삼자관계 / 634
(2) 적절한 인증대상 635
(3) 적절한 준거기준 635
(4) 충분하고 적합한 증거 635
(5) 합리적 확신업무와 제한적 확신업무 각각의 성격에 적합한 형태의 인증보고서 / 635
제2절 특정목적 재무보고체계에 따라 작성된 재무제표의 감사 637
1. 개요 637
2. 업무수임시의 고려사항 637
3. 감사의 계획수립 및 수행시의 고려사항 637
4. 의견형성 및 보고시의 고려사항 638

제2장 그룹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절차와 보고 640
제1절 개요 641
1. 그룹재무제표감사의 의의 641
2. 그룹업무팀과 부문감사인의 책임과 감사보고서상 부문감사인의 언급 642
(1) 그룹업무팀과 부문감사인의 책임 / 642
(2) 감사보고서상 부문감사인의 언급 / 643
제2절 그룹감사업무의 수용ㆍ유지 결정과 계획수립 645
1. 그룹감사업무의 수용ㆍ유지 결정 645
2. 그룹, 부문 및 그 환경의 이해를 통한 위험평가절차 646
3. 전반감사전략 수립시 업무유형과 중요성의 결정 647
(1) 업무유형의 결정 / 647
(2) 중요성의 결정 / 654
제3절 부문감사인의 활용에 대한 감사절차 657
1. 부문감사인에 대한 이해 657
2. 부문감사인의 업무수행 전 그룹업무팀의 부문감사인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659
3. 부문감사인의 위험평가절차에 관여 660
4. 부문에서 유의적인 중요왜곡표시위험 식별시 수행절차 661
5. 업무수행후 부문감사인의 그룹업무팀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662
6. 커뮤니케이션 평가후 수행절차 663
7. 부문감사인의 업무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수행절차 664
제4절 연결절차에 대한 감사절차 666
1. 연결절차와 그룹차원의 통제에 대한 이해 666
2. 그룹차원의 통제테스트 666
3. 연결조정에 대한 실증절차 667
(1) 실증절차전 수행절차 / 667
(2) 연결조정사항에 대한 실증절차 / 668
제5절 기타 감사절차 669
1. 후속사건에 대한 감사절차 669
2. 그룹경영진과 그룹지배기구와의 커뮤니케이션 670
(1) 그룹경영진과의 커뮤니케이션 / 670
(2) 그룹지배기구와의 커뮤니케이션 / 671
3. 문서화 671

제3장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감사와 검토 674
제1절 내부회계관리제도의 기본개념 674
1. 개요 674
2.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정의와 범위 674
(1)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정의 / 674
(2) 내부회계관리제도의 범위 / 675
제2절 외부감사법의 내부회계관리제도 관련 규정 676
1.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설계하고 운영하여야 하는 회사의 범위 676
2. 대표자와 감사의 책임 676
제3절 회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과 자체 평가 및 보고 678
1.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설계 및 운영 678
(1) 준거기준 / 678
(2) 효과적인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요건 / 678
(3) 내부회계관리제도의 5가지 구성요소와 17가지 원칙 / 678
(4) 5가지 구성요소에 17가지 원칙을 달성하기 위한 중점 고려사항과 통제 / 680
2.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자체 평가 및 보고 681
(1) 평가 및 보고기준 / 681
(2) 내부회계관리제도의 미비점 / 682
(3)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설계와 운영에 대한 자체 평가 및 보고 / 683
제4절 외부감사인의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감사와 검토 688
1. 개요 688
2. 외부감사인의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감사 689
(1) 내부회계관리제도감사의 목적 / 689
(2) 내부회계관리제도감사의 전제조건 / 689
(3) 감사접근법 / 690
(4) 중요성과 수행되는 감사기술 / 694
(5) 미비점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 695
(6) 서면진술의 수령 / 697
(7) 감사의견의 형성 / 698
(8) 운영실태보고서의 필수요소에 대한 평가 / 702
(9) 감사보고서 / 703
3. 외부감사인의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검토 710
(1) 검토목적과 인증대상 / 710
(2) 회사의 준거기준과 외부감사인의 업무수행기준 / 711
(3) 검토절차 / 711
(4) 검토의견과 검토보고서 / 712
(5) 검토보고서 사례 / 713

제4장 중간재무제표에 대한 검토 721
제1절 개요 721
1. 중간재무제표가 첨부된 분ㆍ반기보고서 제출대상 721
2. 분ㆍ반기보고서에 포함된 중간재무제표의 검토 721
3. 재무제표감사인의 중간재무제표 검토업무 수행기준 722
제2절 연간재무제표 감사와 중간재무제표 검토의 비교 723
1. 연간재무제표 감사와 중간재무제표 검토의 차이점 723
2. 연간재무제표 감사와 중간재무제표 검토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사항 723
(1) 중요성의 설정기준 / 724
(2) 기업과 기업환경에 대한 이해 / 724
(3) 서면진술 / 724
(4) 검토의견의 종류 / 724
제3절 중간재무제표에 대한 검토보고서 727
1. 검토보고서 구성요소의 특징 727
2. 검토보고서 사례 727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