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쉽고! 재미있게! 우리 고전 문학 읽기
송언 선생님이 들려주시는 재밌는 책가방고전
《송언 선생님의 책가방고전》은 우리 전통의 숨결이 담긴 고전을 통해 새로운 책 읽기의 즐거움을 맛볼 수 있도록 기획된 시리즈입니다.
우리 어린이들은 《반지의 제왕》 《해리포터》 등 서양의 고전문학과 판타지에 너무나 익숙합니다. 그에 반해 우리 고전문학은 서양 고전문학의 명성에 가려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어요. 우리 고전 문학 속에는 무궁무진한 가능성과 가치가 담겨 있습니다. 서양의 판타지에는 없는 한국의 멋과 얼이 가득한 보물 창고이지요. 《송언 선생님의 책가방고전》은 바로 이 보물 창고에서 꺼낸 멋진 이야기들로 가득합니다. 이 책은 우리 전통의 가치관과 재미를 어린이들이 직접 맛보게 해 주고, 우리 문학의 뿌리에 다가가도록 도와줄 거예요.
이 책의 중요한 특징은, 우리 고전문학의 대중화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오신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현설 교수님의 풀이가 곁들여져 있다는 것입니다. 조현설 교수님은 우리 고전문학 작품에 담긴 중요한 주제를 어린이들이 이해하기 쉽게 다각도로 풀이해 주셨어요. 조현설 교수님의 풀이 덕분에, 단지 작품을 읽고 감동하는 차원에서 한발 더 나아가 이 책은 통해 우리 고전의 의미를 깊이 있게 배우게 해 줍니다.
저자 송언 선생님은 평생을 교단에서 아이들과 함께 눈을 맞추며 살아오셨습니다. 아이들을 가르친 경험을 살려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딱 맞춘 구수한 입담으로 이야기를 써 주셨지요. 송언 선생님의 마법 같은 입담에 어린이들은 우리 고전의 세계로 푹 빠져들게 될 거예요. 자, 그럼 《송언 선생님의 책가방고전》으로 제대로! 쉽게! 재미있게! 우리 고전에 퐁당 빠져 보세요!
책가방고전 마지막 이야기, 《콩쥐팥쥐전‧장화홍련전》
콩쥐와 장화, 홍련 자매를 통해 경청의 힘을 배워 보세요
송언 선생님이 들려주는 마지막 책가방고전은《콩쥐팥쥐전‧장화홍련전》입니다. <콩쥐팥쥐전>, <장화홍련전>은 모두 주인공들이 불행한 가정에서 고난을 겪는 이야기입니다. 당시 조선시대에는 벼슬 할 수 없는 이들의 이야기는 누구도 들어주지 않았어요. 특히 어린이, 청소년, 여성들은 억울한 일을 감내해야만 했죠. 그래서 억울한 일을 당한 이들이 귀신이 되어서 복수한다는 얘기는 오래 전부터 내려온 전래동화의 단골소재이기도 했답니다. 이번에 읽을 <콩쥐팥쥐전>, <장화홍련전>도 이러한 이야기입니다. 이중 <장화홍련전>은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어쩌면 <콩쥐팥쥐전>, <장화홍련전>이라는 이야기가 많은 이들의 바람을 충족시켜주는 게 아닐까요?
그렇다면 우리는 이 이야기에서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요? <콩쥐팥쥐전>, <장화홍련전>에는 고난당하는 주인공, 주인공을 괴롭히는 가족만 등장하는 게 아닙니다. 바로 주인공을 도와주는 조력자가 나타난다는 겁니다. 주인공들의 억울한 이야기를 들어주는 누군가가 있었기에 주인공들은 도움을 받아 억울함을 풀 수 있었죠. 주인공들이 누구에게나 자신의 힘든 이야기를 하지 않았다면 상황이 절대 해결되지 못했을 겁니다. 누구나 힘들고 어려운 상황은 다가옵니다. 그때 누군가에게 자신의 힘든 상황을 이야기하는 것도 용기입니다. 우리 모두에게는 그런 권리가 있습니다. 대신 우리도 누군가의 이야기를 잘 들어줘야겠죠? 이제 우리 함께 콩쥐와 장화, 홍련 자매의 이야기를 들어봅시다.
아쉽게도 책가방고전은 이번 이야기로 마무리합니다. 하지만 송언 선생님이 들려줄 이야기는 아직도 가득 쌓여 있답니다. 곧 송언 선생님이 더 재미있는 이야기로 찾아올 예정이니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구수한 입담, 우리 민족의 슬픔과 기쁨이 아름답게 표현된 그림
서양 문학과 비교할 수 없는 우리 고전의 재미
시중에 수많은 고전집이 있지만 《송언 선생님의 책가방고전》에는 특별함이 있습니다. 이 책은 자칫 어려울 수 있는 고전을 어린이가 재미있고 흥미진진하게 읽을 수 있도록 구성돼 있습니다. 동화 작가로, 학교 선생님으로 한평생을 지내 오신 송언 선생님 특유의 입말체 문장이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추어 글 전체에 구수하게 녹아 있어요. 그래서 눈으로 읽어도, 소리 내어 읽어도 책 읽는 재미가 절로 샘솟지요. 거기에 양상용 화백의 생동감 넘치는 장면 묘사는 마치 당시의 전쟁판 한복판에 가 있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