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세계가 주체로서의 인간을 압도하는 시대에 우리는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는 자가 강한 것이다”라는 처세 지향적 시쳇말을 금언(金言)으로 여기며 ‘적자(適者) 되기’에 사활을 걸었다. 오직 성장과 발전을 가치의 척도로 삼고 내달려온 근대 이후 인류 문명은 코로나19 팬데믹 사태에 직면하며 비로소 성찰적 계기를 마련하고 있지만, 단기적으로 전 지구적 지상과제는 살아남기가 되었다. 그러는 사이 전 세계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나 마스크 착용에서부터 도시봉쇄, 국경폐쇄에 이르기까지, 비대면 화상회의나 화상수업의 일상화에서부터 비대면 경제활동(ex. 배달)의 폭발적인 성장에 이르기까지 ‘코로나-이후 시대’의 새로운 질서가 속속 가시화되고 새로운 일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지구촌 문명의 변곡점을 만들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이 상황이 금세 끝날 것 같지도 않지만, 설령 치료제가 개발되고 백신이 공급되어 큰 고비를 넘긴다 하더라도 이미 사태 초기에 천명하였듯이 “우리는 코로나19 이전의 세계로 돌아갈 수 없다”는 사실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뼈저리게 경험하고 있다. “과잉생산과 과잉소비로 인한 ‘어머니지구의 죽음의 가속화’”로 요약할 수 있는 ‘코로나19 이전 세계’로의 회귀보다는 돌이킬 수 없는 규모와 정도로 진행되고 있는 새로운 일상에 다시 ‘무심해지는 것’이 더 위험하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우리는 어디로 가야 하는가??는 ‘망각’이 찾아오기 전에 ‘성찰’을 담아낸 글들을 모았다. 그리고 지금 흔들리며 새로운 자세를 잡아가고 있는 인류 문명의 ‘다음’을 위하여, 새로운 길을 찾는 ‘지혜’를 모색하는 글들을 모았다. 그 지혜는 ‘위대한 석학’으로부터 나오는 것이 아니라 ‘지구시민의 마음’으로부터 나온다. ‘지구시민’이란, 코로나19 팬데믹 시대를 맞이하며 새삼스럽게 발견한 인류 존재의 실상을 표현한 말이다.
첫째, 오늘날 인류는 ‘인류세’라는 말의 주체로서, 지구 생태계의 조작자(造作者)로서의 자아를 성찰적으로, 뼈저리게 발견하고 있다. 둘째, 인간은 물론 이 지구상의 생명체는 지구와 일심동체의 관계망 속에서 생성하고 생존하고 생활하는 존재라는 점도 분명해지고 있다. 셋째, 그뿐만 아니라 사회적 동물로서의 인간은 5G 이동통신 등으로 무한연쇄의 연결망 속에 통합되고 있다. 지금의 인류는 99%의 절망에 단 1%의 희망만을 남겨 가지고 있는 상황인데, 그 1%의 희망의 근거는 인간이 늦게나마, 그리고 새삼스럽게 이상과 같은 의미에서 ‘지구시민’이라는 사실을 자각하고, 마음으로부터 참회하기 시작하였다는 점이다.
이 책의 필자 구성은 ‘한·중·일·인도’라는 국적의 다양성, 대학의 총장에서부터 노동자와 자영업자, 대학 학부생에 이르기까지 직업과 전문분야의 다양성,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에 걸친 세대의 다양성, 국가-대학-기업(경영)-심리-종교라는 사회 각 부문의 구성, 청년, 여성, 성소수자 등 각 주체의 입장, 새로운 담론과 새로운 세계관 등에 이르는 다양한 주제와 소재와 형식들을 아우른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세계적 규모를 대변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지만, “코로나 시대를 살아가는 지구시민 마음백서”라는 이 책의 지향을 최대한 충실히 구현하고자 하는 노력의 결실인 것만은 분명하다.
이 책의 담론들 하나하나가 각각의 주제에 대한 최고의 해답이나 대안을 담고 있지 않을 수 있다. 그보다는 현실적이며 실존적인 지구시민들이 각자의 지혜를 풀어놓는 현장성이야말로 이 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독자들이 내가 아는 것들을 이야기하는 이 책 집필자들의 목소리들을 통해서, 내가 아는 것들의 ‘앎의 위상’을 재확인하고, 독자들 자신의 목소리로 화답하게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기획하였다.
■ 집필진
가타오카 류(片岡龍) - 일본 도호쿠대학(東北大學) 교수?일본동아시아실학연구회 회장
김유리 - 서강대학교 철학, 아트&테크놀로지 학과 재학중
민지오 -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 학과 재학중
박길수 -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대표
박맹수 - 원광대학교 총장
박지은 - 서강대학교 철학과 재학중
사사키 슌스케(佐?木?相) - 일본 도호쿠대학(東北大學{) 대학원 일본사상사 박사과정
서만원 - 천도교청년회 집행위원
성민교 - 서강대학교 철학과 석사과정, 『다시개벽』 편집위원
손원영 - 서울기독대학교 신학과 교수, (사)한국영성예술협회 대표
신태섭 - 자동차 공장 노동자
양스판(楊世帆) - 일본 도호쿠대학(東北大學{) 대학원 일본사상사 박사과정
유건재 - 홍익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윤정구 - 이화여자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이무열 - 관계기획자 X 마케팅커뮤니케이션협동조합 ‘살림’ 이사장
이주연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책임연구원
임소당 - 여성학 연구단체 회원
임우남 - 천도교 한울연대 공동대표. 방정환한울어린이집 원장
전희식 - 생태수행자. 마음치유농장 대표
조성환 - 『다시개벽』 편집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책임연구원
주요섭 - 모심과살림연구소 연구위원
최다울 - 일본 도호쿠대학(東北大學) 대학원 일본사상사 석사과정
파드마 남걀 아지타 - 원불교 교무, 원불교 국제부 인도 담당
허남진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연구교수
홍승진 - 『다시개벽』 편집장
황상희 - 독립연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