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에픽 #01

에픽 #01

  • 에픽 편집부 엮음
  • |
  • 다산북스
  • |
  • 2020-10-15 출간
  • |
  • 312페이지
  • |
  • 170x240mm/593g
  • |
  • ISBN 9772733807003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내러티브 매거진 계간 《에픽》은 픽션과 논픽션을 아우르는 신개념 서사 중심 문학잡지다. 기존 문학이 갖고 있던 근엄성에서 탈피해 픽션/논픽션 간, 소설/에세이 간, 순수문학/장르문학 간의 장벽을 허물고 새롭고 산뜻한 문학의 장을 독자와 함께 나누려는 것. 이것이 《에픽》이 탄생한 이유다.

‘에픽(epic)’이라는 단어는, 명사로는 ‘서사시, 서사문학’, 형용사로는 ‘웅대한, 영웅적인, 대규모의, 뛰어난, 커다란, 광범위한’ 같은 뜻을 지녔다. 우리는 이 ‘epic’의 모음 ‘i’에 ‘i’ 하나를 덧붙였다. 이야기란, 서사란, 하나의 내[i]가 다른 나[i]와 만나는 지점에서 비로소 생겨난다고 믿기 때문이다.

논픽션 중심의 part 1에서는 네 편의 크리에이티브 논픽션을 만난다. 창간호 커버스토리인 논픽션 ‘i+i’는 작가 정지향이 KU마음건강연구소 자살유족자조모임 리더인 심명빈을 만나 새롭게 생겨난 세계에 대한 내밀한 기록이다. 또한 ‘고스트라이터’를 주제로 한 김민섭 작가의 글, ‘베트남전 민간인 학살’에 대한 이길보라 작가의 글, ‘코로나19 시대의 삶’에 대해 다룬 김순천 작가의 글을 싣는다.

픽션 중심의 part 3에는 다섯 편의 단편소설과 한 편의 그래픽노블을 싣는다. 김혜진, 이기호, 정지돈의 신작뿐만 아니라, 남다른 SF적 상상력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이산화의 신작, 올해 동아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소설을 발표하기 시작한 신예 작가 서장원의 신작을 만날 수 있다. 또한 그래픽노블에서는 의외의사실 작가의 연재를 만난다.

논픽션과 픽션이 만나는 part 2에서는 버추얼 에세이 ‘if i’와 세 편의 리뷰를 만난다. 가상의 누군가를 만난 자리에서 쓰여진 ‘if I’는 논픽션과 픽션이 결합해 새로운 개념의 장르적 즐거움을 선사한다. 리뷰 역시 한 권이 아닌 서로 연결된 두 권의 책(논픽션+픽션)을 1+1 방식으로 소개한다. 창간호의 ‘if I’는 유재영의 글로, ‘1+1 리뷰’는 손지상, 오혜진, 한설의 글로 채워진다.

 

내러티브 매거진 《에픽》

 

‘에픽(epic)’이라는 단어는, 명사로는 ‘서사시, 서사문학’, 형용사로는 ‘웅대한, 영웅적인, 대규모의, 뛰어난, 커다란, 광범위한’ 같은 뜻을 지녔습니다. 우리는 이 ‘epic’의 모음 ‘i’에 ‘i’ 하나를 덧붙였습니다. 이야기란, 서사란, 하나의 내[i]가 다른 나[i]와 만나는 지점에서 비로소 생겨난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담고 싶은 《에픽(epiic)》은 바로 이 두 겹의 세계입니다.

 

논픽션 중심의 part 1에서는 네 편의 크리에이티브 논픽션을 만납니다. 《에픽》의 커버스토리이기도 한 이너 내러티브 ‘i+i’와, 르포르타주·메모어·구술록 등의 세부 장르를 기반으로 한 세 편의 크리에이티브 논픽션을 싣습니다. 창간호의 ‘i+i’는 작가 정지향이 KU마음건강연구소 자살유족자조모임 리더인 심명빈을 만나 새롭게 생겨난 세계에 대한 내밀한 기록입니다. 또한 ‘고스트라이터’를 주제로 한 김민섭 작가의 글, ‘베트남전 민간인 학살’에 대한 이길보라 작가의 글, ‘코로나19 시대의 삶’에 대해 다룬 김순천 작가의 글을 싣습니다. 이 글들은 ‘나’와 ‘너’, 혹은 ‘나’와 ‘또 다른 나’가 만난 자리에서 표출된 기록의 문장이자 대화의 문학입니다.

 

픽션 중심의 part 3에서는 다섯 편의 단편소설과 한 편의 그래픽노블을 만납니다. 김혜진, 이기호, 정지돈 작가의 신작뿐만 아니라, 남다른 SF적 상상력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이산화 작가의 신작, 올해 동아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소설을 발표하기 시작한 신예 서장원 작가의 신작을 만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래픽노블에서는 의외의사실 작가의 연재를 만납니다. 그래픽노블은 《에픽》 각 권의 제호에서 비롯된 또 다른 상상력을 살펴봅니다.

 

논픽션과 픽션이 만나는 part 2에서는 버추얼 에세이 ‘if i’와 세 편의 리뷰를 만납니다. 가상의 누군가를 만난 자리에서 쓰여진 ‘if I’는 논픽션과 픽션이 결합해 새로운 개념의 장르적 즐거움을 선사합니다. 리뷰 역시 한 권이 아닌 서로 연결된 두 권의 책(논픽션+픽션)을 1+1 방식으로 소개합니다. 창간호의 ‘if I’는 유재영의 글로, ‘1+1 리뷰’는 손지상, 오혜진, 한설의 글로 채워집니다.

 

에픽 #01: 이것은 소설이 아니다

 

《에픽》 창간호의 제호 ‘이것은 소설이 아니다’는 18세기의 프랑스 소설가 드니 디드로(Denis Diderot)의 소설 제목에서 가져왔습니다. 대화체로 전개되는 이 소설에서 가장 흥미로운 것은 제목 그 자체입니다. ‘이것은 소설이 아니다(Ceci n'est pas un conte).’ 그렇다면 이것은 무엇일까요? 아니, 소설이란 대체 무엇일까요? 허구로 쓰인 재미있는 이야기, 그게 전부일까요?

 

질문에 대한 답은 영국의 소설가 J. G. 밸러드(James Graham Ballard)의 말에서 찾는 편이 좋겠습니다. "우리는 거대한 소설 속에 살고 있다. 특히 작가에게 있어, 소설의 허구적 내용을 만들어내는 것은 점점 더 불필요하다. 소설은 이미 거기에 있다. 작가의 임무는 현실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그는 우리가 모든 종류의 소설이 지배하는 세계 속에 이미 살고 있기 때문에, 작가의 임무는 소설(fiction)을 창조해내는 것이 아니라 거꾸로 현실(reality)을 발명하는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이야기는 ‘이미 거기에’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해야 할 일은 그것을 가지고 와서 나의 세계와 만나는 어떤 중층의 세계를 만든 다음, '이것은 소설이 아니다'라고 말하는 일일 것입니다.

 

《에픽》의 글들은 픽션이면서 픽션이 아닙니다. 논픽션이면서 논픽션이 아닙니다. 이것은 이야기이며, 새롭게 발명한 현실이며, 그러므로 끝내 어떤 이야기로 남을 수밖에 없는 우리 자신입니다. 디드로의 문장 하나를 빌려, 두 겹의 세계가 만들어내는 ‘에픽’의 중력장 속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그럼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 에픽 #01 필진 소개

 

김민섭 : 작가. 지은 책 『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 『대리사회』 『훈의 시대』 『아무튼, 망원동』 『고백, 손짓, 연결』이 있고, 기획하고 만든 책으로 『회색 인간』 『삼파장 형광등 아래서』 『내 이름은 군대』 등이 있다.

 

김순천 : 작가. 르포문학 강사. 작가들과 함께 작업한 저서 『부서진 미래』 『금요일엔 돌아오렴』 『우리의 소박한 꿈을 응원해 줘』 등이 있다.

 

김혜진 : 작가. 소설집 『어비』 『너라는 생활』 장편소설 『중앙역』 『딸에 대하여』 『9번의 일』이 있다.

 

서장원 : 작가. 2020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며 소설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손지상 : 작가. 만화평론가. 번역가. 장편소설 『우주아이돌 배달작전』 『우주아이돌 해방작전』 『죽은 눈의 소녀와 분리수거 기록부』가 있고, 비평서 『서브컬처계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가이드』가 있다.

 

오혜진 : 문학평론가. 비평집 『지극히 문학적인 취향』이 있다.

 

유재영 : 작가. 소설집 『하바롭스크의 밤』 『우리가 주울 수 있는 모든 것』과 에세이집 『한 줄도 좋다, SF영화―이 우주를 좋아하게 될 거예요』가 있다.

 

의외의사실 : 만화가. 만화 『마루의 사실』과 그림 에세이집 『퇴근길엔 카프카를』이 있다.

 

이기호 : 작가. 소설집 『최순덕 성령충만기』 『갈팡질팡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지』 『김박사는 누구인가?』 『누구에게나 친절한 교회 오빠 강민호』, 장편소설 『사과는 잘해요』 『차남들의 세계사』 『목양면 방화 사건 전말기』 등이 있다.

 

이길보라 : 작가. 영화감독. 저서 『길은 학교다』 『로드스쿨러』 『반짝이는 박수 소리』 『우리는 코다입니다』 『해보지 않으면 알 수 없어서』가 있고, 연출한 영화 「로드스쿨러」 「반짝이는 박수 소리」 「기억의 전쟁」이 있다.

 

이산화 : 작가. 소설집 『증명된 사실』과 장편소설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밀수: 리스트 컨선』이 있다. SF어워드 중·단편소설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정지돈 : 작가. 소설집 『내가 싸우듯이』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기억에서 살 것이다』 『농담을 싫어하는 사람들』과 중편소설 『작은 겁쟁이 겁쟁이 새로운 파티』 『야간 경비원의 일기』, 에세이집 『영화와 시』가 있다.

 

정지향 : 작가. 장편소설 『초록 가죽소파 표류기』, 소설집 『토요일의 특별활동』이 있다.

 

한설 : 문학평론가. 2016년 대산대학문학상 평론 부문을 수상했다.

목차

 

epigraph

문지혁 · 이미 거기에 있는 004

 

part1

 

i+i

정지향 · 지극히 남은 사람의 마음 023

 

creative nonfiction

김민섭 · 연구실의 공모자들 051

이길보라 · 할머니, 베트남전쟁, 그리고 나 075

김순천 · 이끼, 벌레, 바이러스, 인간의 새로운 관계 맺기 101

 

part2

 

virtual essay

if I

유재영 · 둘은 하나의 단단한 단위 135

 

1+1 review

손지상 · SF를 읽기 전까지 우리가 미처 생각지 못한 것들 145

오혜진 · 삼켜진 문장들, 곱씹어진 행간들 155

한설 · 환생의 선(線) 163

 

part3

 

fiction

김혜진 · 목화맨션 173

서장원 · 해피 투게더 197

이기호 · 중족골은 어디인가? 217

이산화 · 관광객 문제와 그 대책 247

정지돈 · 그 아이는 아주 귀여웠고 어렸기 때문에 인형을 보면 눈 뒤에 무엇이 있는지 보기 위해 눈알을 빼려고 했다 269

 

graphic novel

의외의사실 · 이것은 소설이 아니다 300

도서소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