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미래사회 with 블록체인

미래사회 with 블록체인

  • 황정훈
  • |
  • 박영사
  • |
  • 2020-09-05 출간
  • |
  • 428페이지
  • |
  • 171 X 245 X 30 mm /767g
  • |
  • ISBN 9791130310824
판매가

22,000원

즉시할인가

21,78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1,78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부
미래사회 With 블록체인
1장 뉴노멀 시대와 블록체인 출현 5
1-1 뉴노멀 시대와 Z세대 5
1-2 미래사회의 디지털 뉴노멀 8
1-3 블록체인의 출현과 변화 14
2장 블록체인이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는 방식 23

2부
보안기술 With 블록체인
1장 블록체인 기술의 이해 45
1-1 블록체인에 사용되는 암호기술 45
1-2 블록체인의 구조 49
1-3 블록체인이 제공해 주는 보안 서비스 56
2장 블록체인 유형 60
2-1 공개 블록체인과 사설 블록체인 60
2-2 합의 알고리즘 65
2-3 코인과 토큰 68
3장 디지털 졸업장 블록체인 시스템 69
3-1 디지털 졸업장 블록체인 시스템 69
3-2 하이퍼레저 패브릭 70
3-3 HyperCert 시스템 구성 72
4장 개인 정보 잊혀 질 권리를 위한 완전 수정·삭제가 가능한블록체인 77
4-1 개인 정보 잊혀질 권리를 위한 완전 수정·삭제가 가능한 블록체인 77
4-2 핵심 기술 78
4-3 연구의 의의 85

3부
비즈니스 With 블록체인
1장 블록체인 기술의 비즈니스 활용 93
1-1 시장 환경의 변화와 블록체인 93
1-2 비즈니스 관점에서 본 블록체인 101
1-3 우리 주변 기술과 블록체인 105
2장 비즈니스 모델로서 블록체인 110
2-1 비즈니스 모델의 이해 110
2-2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서의 블록체인 112
3장 블록체인 도시 128
3-1 중국 128
3-2 독일 132
3-3 미국 135
3-4 영국 140
3-5 일본 144
3-6 스위스 148
3-7 싱가포르 150
4장 블록체인 비즈니스 모델들 156
4-1 Ripple의 지불 시스템 156
4-2 MIT Enigma Computing Sharing Service 158
4-3 Bittunes 저작물 유통 서비스 160
4-4 토지대장 관리 서비스 161
4-5 신원 관리 서비스 163

4부
스마트계약 With 블록체인
1장 블록체인과 스마트계약 175
1-1 블록체인 스마트계약의 도입 175
1-2 블록체인 스마트계약의 개념 177
1-3 블록체인 기술의 진화와 스마트계약 190
2장 스마트계약과 입법화 동향 194
2-1 블록체인 가상통화의 입법화 동향 194
2-2 블록체인 스마트계약의 입법화 동향 198
2-3 국내 블록체인 스마트계약의 입법 방향성 203
3장 스마트계약의 법적 검토 205
3-1 블록체인 스마트계약의 활용 가능성 205
3-2 블록체인 스마트계약의 법적 검토 207
4장 스마트계약 활용 사례(부동산거래) 216
4-1 블록체인을 활용한 부동산거래 216
4-2 부동산 스마트계약의 프레임워크와 자동실행 220
4-3 부동산 스마트계약의 설계와 기술적 검증 227

5부
교육 With 블록체인
1장 블록체인 기술과 교육 243
1-1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교육 분야 연구들 245
1-2 교육 분야의 블록체인 기술 활용 사례 247
1-3 교육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과제 252
2장 블록체인 기반 학습이력관리시스템의 가능성 254
2-1 학습이력관리시스템의 현실 254
2-2 학습이력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들 255
2-3 블록체인 기반 학습이력관리시스템의 가능성 257
3장 교육용 블록체인: 교육성적증명시스템(PESS) 260
3-1 교육성적증명을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의 필요성 260
3-2 교육 분야에서의 블록체인 시스템 262
3-3 고등교육 단계에서의 블록체인 활용 263
3-4 교육용 블록체인 PESS의 교육적 기여도 269
4장 블록체인 기반 대학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 273
4-1 블록체인 기반 대학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요 273
4-2 블록체인 기반 대학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의 배경 기술 274
4-3 블록체인 기반 대학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이 해결하고자 하는과제 277
4-4 블록체인 기반 대학 입시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과 작동 방법 278

6부
리브라 프로젝트 With 블록체인
1장 리브라(libra)는 무엇인가? 299
1-1 리브라와 페이스북의 영향력 299
1-2 리브라의 등장 302
2장 리브라 백서 분석 306
2-1 리브라의 사명 306
2-2 리브라 결제 시스템 308
2-3 리브라 블록체인 310
2-4 스테이블 코인과 리브라 리저브 313
2-5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와의 관계 317
3장 리브라 참여자 322
3-1 리브라 네트워크의 참가자들 322
3-2 리브라 협회 325
4장 리브라 블록체인과 트랜잭션 333
4-1 트랜잭션과 상태 333
4-2 계정(Account) 335
4-3 증명(Proof) 336
4-4 트랜잭션의 여정 337

7부
지역화폐 With 블록체인
1장 지역화폐운동으로 보는 지역화폐의 이해 351
1-1 화폐의 원리와 역사 351
1-2 지역화폐와 지역화폐운동의 역사 355
1-3 국내 지역화폐의 현황 363
2장 블록체인과 지역화폐의 접목 369
2-1 지역화폐의 방향성 369
2-2 신뢰기술로서의 블록체인 373
2-3 지역화폐 with 블록체인 380
3장 우리나라 블록체인 지역화폐 383
3-1 블록체인 기반 지역화폐 사례 383
3-2 블록체인 기반 지역화폐 모델 390
3-3 블록체인, 지역화폐를 넘어서 393

부록1 397
부록2 400

표 목차

〈표 1-1〉 산업혁명의 변화 9
〈표 1-2〉 블록체인의 세대별 발전 양상 16
〈표 1-3〉 블록체인 적용 분야 24
〈표 2-1〉 블록체인의 분류 62
〈표 3-1〉 온라인 기반의 시장 환경 발달 과정 95
〈표 3-2〉 블록체인의 일반적인 개념적 접근 100
〈표 3-3〉 글로벌 IT 기업의 플랫폼 비즈니스로서 블록체인 활용 사례 120
〈표 3-4〉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서의 블록체인 127
〈표 3-5〉 중국 블록체인 기반의 산업별 현황 130
〈표 3-6〉 독일의 블록체인 정책 추진 동향 및개요 134
〈표 3-7〉 연방정부의 블록체인 행동목표와구체적 조치 135
〈표 3-8〉 일본의 블록체인 활용 현황 146
〈표 3-9〉 해외 블록체인 정책적 시사점 154
〈표 3-10〉 해외 블록체인 도입 사례 154
〈표 4-1〉 스마트계약의 정의와 구분 178
〈표 4-2〉 블록체인 스마트계약의 장점 185
〈표 4-3〉 금융권의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 188
〈표 4-4〉 가상통화 위반 사례에 따른 적용법률 195
〈표 4-5〉 블록체인 속성 레지스트리 채택 수준 222
〈표 5-1〉 대학별 블록체인 교육과정 운영현황(2018년도) 248
〈표 7-1〉 화폐의 4가지 기능 352
〈표 7-2〉 354
〈표 7-3〉 일반화폐와 지역화폐의 차이점 362
〈표 7-4〉 우리나라 지역화폐운동 현황 364
〈표 7-5〉 발행주체에 따른 지역화폐의 특징 367
〈표 7-6〉 지역화폐와 법정화폐의 주요 차이점 374
〈표 7-7〉 노원(NW)의 적립금액 384

그림 목차

[그림 1-1]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 분야 25
[그림 1-2] 제20대 국회 당선 횟수별 재석률현황 27
[그림 1-3] 정규분포와 팻테일 분포의 비교 34
[그림 2-1] 해시 함수 45
[그림 2-2] 암호학적으로 안전한 해시 함수 47
[그림 2-3] 전자서명 48
[그림 2-4] 블록체인 구조 49
[그림 2-5] 비트코인 블록 헤더 51
[그림 2-6] 트랜잭션 구성 55
[그림 2-7] 중앙집중형 네트워크vs 망형 네트워크 58
[그림 2-8] 하이퍼레저 패브릭 1.0 구조 71
[그림 2-9] 하이퍼서트 구성 72
[그림 2-10] Hash-and-OTP StorageStructure 76
[그림 2-11] 다계층 공개/비공개 블록체인 구조 80
[그림 2-12] 차일드 블록 생성 및 암호화 키 삭제를통한 비공개 블록 완전 삭제 81
[그림 2-13] 다계층 블록체인 구조 82
[그림 2-14] 다계층 블록체인의 아키텍처 84
[그림 2-15] 타인이 올린 정보 주체의 삭제요구와 처리 방법 85
[그림 3-1] 핀테크(Fintech)의 다양한 영역 및주요 기업 97
[그림 3-2]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 104
[그림 3-3] 블록체인의 주요 기술적 특징과활용 영역 105
[그림 3-4] 블록체인 기술 접목 제품 및 서비스 107
[그림 3-5] 시장 경제 패러다임의 진화 113
[그림 3-6] 블록체인 기반의 농산물 유통플랫폼 개념도 117
[그림 3-7] Steemit 블록체인 구성도 122
[그림 3-8]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경제 모델: BeeNest 아키텍쳐 126
[그림 3-9] 미국 버지니아주 블록체인 기반의투표시스템 139
[그림 3-10] 영국의 ARCHANGEL 제안 프로세스 143
[그림 3-11] 일본의 블록체인 기반의 와인모니터링 시스템 147
[그림 3-12] 스위스 블록체인 생태 지형도 150
[그림 3-13] 블록체인 기반의 송금 시스템(리플) 158
[그림 3-14] Enigma’s decentralized 플랫폼개요 159
[그림 3-15] Bittunes 플랫폼 개요 161
[그림 3-16] 에스토니아 전자시민증과 전자 ID카드 예시 167
[그림 4-1] 블록체인 스마트계약(이더리움) 177
[그림 4-2] 이더리움 스마트계약의 구성 184
[그림 4-3] 블록체인 기술의 진화와 스마트계약 191
[그림 5-1] Actors in the proposed PESSmodel 265
[그림 5-2] Proposed PESS architecturalmodel 266
[그림 5-3] Proposed PESS architecture 268
[그림 5-4] Deployment view in theeducation sector 270
[그림 5-5] 블록체인 기반 대학 입시정보 제공시스템 개념도 274
[그림 5-6] 블록체인 기반 대학 입시정보 제공시스템의 배경 기술 275
[그림 5-7] 블록체인 기반 대학 입시정보 제공시스템 277
[그림 5-8] 블록체인 기반 대학 입시정보 제공시스템 구성 279
[그림 5-9] 코인을 공급하는 방법 283
[그림 5-10] 공급된 코인을 활용하는 방법 285
[그림 6-1] SNS별 사용 인구(적어도 한 달에한 번은 활성화되는 유저) 300
[그림 6-2] 국가별로 주로 사용하는 메신저앱 301
[그림 6-3] 샌프란시스코의 옛 조폐국 건물 303
[그림 6-4] 리브라 로고 304
[그림 6-5] 금융에 소외된 국가별 인구 비율 307
[그림 6-6] 리브라 리저브 자산, 스테이블 코인,?LBR의 개념도 315
[그림 6-7] 바콩의 지불 흐름 318
[그림 6-8] 디지털 달러 개념도 320
[그림 6-9] 중국인민은행 DCEP 개념도 321
[그림 6-10] 리브라 네트워크 구조 개념도 324
[그림 6-11] 리브라 트랜잭션 타입 개념도 325
[그림 6-12] 리브라 협회 멤버 328
[그림 6-13] 노비(novi) 지갑의 활용 예시 329
[그림 6-14] 리브라 블록체인 트랜잭션의상태 변화 334
[그림 6-15] 트랜잭션의 여정 338
[그림 7-1] 353
[그림 7-2] 354
[그림 7-3] 356
[그림 7-4] 358
[그림 7-5] 361
[그림 7-6] 한밭레츠의 순환 366
[그림 7-7] 지역경제의 선순환 370
[그림 7-8] 거버넌스 주체 372
[그림 7-9] 375
[그림 7-10] 377
[그림 7-11] 378
[그림 7-12] 379
[그림 7-13]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지역화폐노원(NW)의 시스템 체계도 384
[그림 7-14] 한국조폐공사 ‘Chak’ 386
[그림 7-15] 387
[그림 7-16] ‘신뢰 기반 공유 생태계의 Enabler’블록체인 플랫폼 ‘모나체인’ 388
[그림 7-17] 389
[그림 7-18] 혁신도시형 지역화폐 모델 391
[그림 7-19] 공동체형 지역화폐 모델 392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