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비상과환상

비상과환상

  • 김소영
  • |
  • 현실문화연구
  • |
  • 2014-10-06 출간
  • |
  • 432페이지
  • |
  • ISBN 9788965641032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6,500원

즉시할인가

14,85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4,8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프롤로그: 영화, 세상을 예지하고 치유하다 _ 11

1장 카타스트로프: 위태로운 희망 정치
21세기 영화가 디지털에 대응/조응하는 방식: <두 개의 문> _ 16
국가 폭력에 대한 영화적 성찰: <지슬>과 <비념> _ 22
2012 부산국제영화제: 귀요미 사회주의 리얼리즘 _ 25
위태로운 희망의 정치학: <플랫폼> _ 28
디아스포라의 출현과 실종의 시대: <예언자> _ 31
대재앙 이후를 영화적으로 목격하는 일의 두려움: <더 로드> _ 36
재앙이 재앙 장르를 먹는 방법: 다리나 몸통 없이 이제 머리뿐인가 _ 41
한국 영화의 비동시적 동시성: <올드보이>와 <지구를 지켜라> _ 44
파편과 잉여: <밀양> _ 52
스릴러에서 공포 그리고 초현실주의로: <살인의 추억> _ 57
인터뷰 │ 봉준호 감독, 영화평론가 김소영과의 대담 _ 64
청춘이라는 미지의 경로: <내 청춘에게 고함> _ 76
무장한 미국 가족: <미션 임파서블 3> _ 81
생태적 사회와 재앙 사회: <반지의 제왕 3> _ 86
감시 사회에 대한 흥미로운 실패작: <썸> _ 89
예외 상태, <터미네이터: 미래 전쟁의 시작> _ 91
저주받은 대지: <알 포인트> _ 96
인간의 메모리는 몇 기가바이트?: <이프 온리> _ 100
세트를 세우듯 과거를 다시 일으켜 세우다?: <효자동 이발사> _ 102
컴퓨터 대신 마술을 배우는 호그와트: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 _ 105
구로사와 기요시 회고전: <도레미파 소녀의 피가 끓는다> _ 108
시각장의 소음: 시미즈 히로시의 <경성> _ 111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그리고 망명: 아모스 기타이 _ 113
‘카페 싱가포르’: 허우샤오시엔의 영화, 역사, 그리고 문화 _ 120
차이밍량이여, 울음을 그쳐라: 2003 대만 영화 국제심포지엄을 가다 _ 126
불가입성 혹은 동방불패: 정치적 가상체로서의 힌디 영화 _ 133
인터-아시아 영화연구: 아시아 지식인들의 대화 _ 141
문화 횡단: 이용민이라는 콘택트 존 _ 146
취향의 과독점과 한국형 블록버스터: 거대한 역설 _ 160
디지털 시네마: 영화제의 문화정치학과 디지털 미디어의 위치 _ 165
악의 진부함 또는 평범함에 대항하는 여성의 말/언어: <한나 아렌트> _ 172

2장 영화의 예지
노인을 위한 사랑은 있다, 없다: <아무르> _ 176
나를 위해 노래 불러줄 수 있어?: <그녀에게>와 <부에노스 아이레스
디그리 제로> _ 179
포스트 셀룰로이드: <인랜드 엠파이어> _ 182
시네필의 귀환 혹은 중국과 세계의 동시성: <여름 궁전> _ 187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두 개의 정글 시네마 _ 193
인터뷰 │ 영화평론가 김소영의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인터뷰 _ 195
솔(발바닥)로 소울(영혼)에 이르는 몸의 약속: <태풍태양> _ 199
전복적 동화의 빛나는 상상력: <연분> _ 203
<일곱 번째 희생자>: 우울 혹은 도시의 숲에 버려지다 _ 206
사랑에 대한 낯선 공포: <사랑니> _ 208
기억 속의 영화: <시벨의 일요일> _ 215
사라졌다 나타난 <꿈>을 보다 _ 219
<말리와 나>: 맬러뮤트 ‘실피드’와 로트바일러 ‘바치’ 기르는 김소영 _ 224
존재성이 드러나는 순간이 삶의 마침표가 되는 때: 에릭 쿠 _ 227
인터뷰 │ 김소영이 만난 에릭 쿠 감독 _ 232
영화와 멜랑콜리아, 빨리 낫기를 바래 _ 246

3장 내가 여자가 된 날
위대한 아버지의 미친 딸: <아델 H 이야기> _ 256
여성적 숭고미: <내가 여자가 된 날> _ 259
루쉰의 시선: <두 명의 무대 자매들> _ 261
여성의 몸에 관한 유령학: 프란체스카 우드먼 _ 264
소녀들, 몸을 숨겨라. 전쟁이다! _ 269
여성환상도래: 그녀는 내 안의 말 없는 질문에 대답했어! _ 271
인디아라는 이름의 소녀: <스토커> _ 280
외상 속에 웅크리고 있는 피로 물든 무엇: <인 더 컷> _ 282
외상을 진단하고 위무하는 ‘정동의 정치학’?: <친절한 금자씨> _ 285
인터뷰 │ 김소영이 만난 <친절한 금자씨> 박찬욱 감독 _ 288
나이든 여자의 섹스: <마더> _ 294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를 해석하는 두 가지 키워드 _ 299
부산국제영화제의 한국 영화들: <여자 정혜>, <귀여워> _ 305
엄마의 처절한 정의 구현: <오로라 공주> _ 307
외계인 나영: <아는 여자> _ 313
앎에 대한 사랑: <다빈치 코드> _ 315
평범 소녀의 백일몽, 미소년들의 판타지: <늑대의 유혹>, <그놈은 멋있었다> _ 319
“희망이 지도를 만든다”: 아시아 여성영화 포럼에 관한 보고서 _ 324

4장 영화와 재난 사회: 남자의 몸은 부서지고, 하늘은 무너지고
영화와 재난 사회: 남자의 몸은 부서지고, 하늘은 무너지고 _ 328
기독교와 자본주의가 서로를 끝장내다: <데어 윌 비 블러드> _ 331
멀어지는 ‘시대적 공포’: <반 헬싱> _ 337
103분간의 영화 운동: 개인과 사회의 윤리, <아들> _ 340
<강적>이라는 부동산 활극 _ 343
액션 영웅들의 찢겨진

도서소개

김소영의 [비상과 환상]. 저자만의 앵글을 통해 80편의 영화를 들여다보며 블록버스터 관객과 시네필들의 지적 호기심을 한껏 충족시켜준다. 우리가 손쉽게 접하는, 혹은 드물게 발견하게 되는 80편의 영화가 어떤 말해지지 않은 질문에 응답하고 있는지 풀어내고 있다.
위태롭게 환상을 꿈꾸는 시대의 영화 읽기
영화평론가 김소영이 들려주는 80편의 영화 이야기
그녀의 평론을 읽으면, 그 영화가 보고 싶다!

영화평론, 정치적인 영화적 순간들에 대한 공감을 언어화하는 작업
지금은 이미 세계적인 유명세를 떨치고 있는 한국의 여러 영화감독의 가능성을 1990년대 초부터 일찍이 알아보고 평론해온 영화평론가 김소영이 10여 년간 여러 매체에 발표한 대중적 영화평들을 집대성했다. 재난이 일상화된 ‘파국’의 시대에 세계 각국에서 벌어지는 정치, 사회, 문화적 움직임을 영화적으로 예견하고 기록하는 방식을 주의 깊게 살피고, 아시아 영화 연구의 역할과 의미, 나아갈 방향과 함께 영화가 여성을 보여주는 방식을 모색하는 등 아시아 여성 영화인으로서 세계의 동시대 영화 80편에 관한 이야기를, 봉준호, 박찬욱, 허진호,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에릭 쿠 등 유명 감독과의 인터뷰 5편과 함께 방대하게 엮어나간다. 영화를 통해 한국사회의 감정구조를 탐구한 비평집 『파국의 지도: 한국이라는 영화적 사태』와 함께 출간되는 이 평론집을 통해 독자는 이미 알고 있는 영화를 새로운 시각에서 다시 볼 수 있게 되며, 치열하게 세계와 관계 맺는 각국의 귀한 영화들을 소개받을 수 있을 것이다. 봉준호 감독의 <살인의 추억>의 장르를 스릴러에서 공포로 바꿔 읽으면 달리 보이는 것, 다큐멘터리 <두 개의 문>이 지니는 편집·구성상의 묘, 자크 오디아르 감독의 <예언자>가 드러내는 인종주의적 허세 등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가는 김소영은 자신만의 앵글을 통해 80편의 영화를 들여다보며 블록버스터 관객과 시네필들의 지적 호기심을 한껏 충족시켜준다.

재앙의 스펙터클은 어떻게 관객을 현실로부터 눈멀게 하는가?
‘카타스트로프: 위태로운 희망 정치’라는 제목을 단 1장과 4장 ‘영화와 재난 사회: 남자의 몸은 부서지고, 하늘은 무너지고’에서 조명하는 영화들은 세계가 위기 상황에 봉착했음을 알린다. 미국의 9?11, 일본의 3?11, 아이티 대지진, 한국의 용산 참사, 세월호 참사 등 너무 자주 일어나는 재앙에 우리는 어떤 면에서 익숙하다. 함께 출간된 저자의 비평집 『파국의 지도: 한국이라는 영화적 사태』가 박정희 정권으로부터 비롯한 한국의 특수한 맥락에서 비상사태가 국가의 통치 수단으로 연출되었음을 진단했다면, 이 평론집에 등장하는 영화들에서는 좀 더 경고성이 강한 위기 상황을 읽어낼 수 있다. 그 위기는 전쟁, 테러, 기상이변, 국가폭력, 강력범죄 등과 관련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더 로드>에서처럼 뚜렷한 원인이 없더라도 “어떤 식으로든 재앙은 일어날 것”이다. 지금까지와는 다른 삶의 방향을 상상해내지 못할 때 재앙영화는 이미 현실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영화에서 자주 보는 재앙의 스펙터클은 영화가 현실에 관한 이야기로 인식되기 어렵게 만든다. 저자는 전쟁영화를 통해 위기 상황이 잠재되어 있는 사회에서 재난이라는 비상(非常)은 어떻게 환상과 만나는지 분석한다. 가령 <터미네이터: 미래 전쟁의 시작>에서 직립 병기 T-800과 같은 판타스틱한 SF적 구성요소를 이용해 벌어지는 참상은 또다시 초현실적일 정도로 파괴적인 장관을 펼쳐놓는데, 관객은 곧장 이 환상적인 스펙터클에 눈멀어 재앙을 현실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래서 저자는 재난영화의 클라이맥스에 해당하는 결정적인 파괴적 장면이 존재할 필요가 있는지를 근본적으로 의심하는 다큐멘터리 <두 개의 문>을 호평하며, 그것이 매체를 통한 2차적 폭력이라는 또 하나의 참사를 막기 위해 어떤 전략을 사용했는지 분석한다. <두 개의 문>은 경찰이 철거민들과 협상을 시도할 수도 있었던 곳에서 마치 테러 상황, 전시 상황과 같은 비상사태가 ‘연출’되고 사고의 책임이 거꾸로 철거민들에게 부과되는 과정을 증언한다. 다른 재난영화들과 달리 <두 개의 문>은 관객에게 스펙터클을 안겨주기 위해 사건의 피해자에게 2차 폭력을 가하는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한다는 것이다.

‘서구 vs 비서구’ 구도를 벗어나 아시아 영화의 지도 그리기
‘트랜스:아시아 영상문화연구소’의 소장으로서 아시아의 인식론적 지도를 그리는 연구활동을 활발히 해오고 있는 저자는 아시아 영화, 그리고 아시아의 여성 영화에 대해서도 책의 많은 장을 할애한다. 아시아인인 우리에게 ‘아시아 영화’는 그 이름 때문에 익숙한 것처럼 여겨지기도 하며, 동시에 바로 우리가 이미 알고 있으리라는 추정 때문에 오히려 서구인이 아는 만큼조차 아시아를 모르고 있기도 하다. 국경을 넘어 아시아를 사유하는 영화연구를 통해 서구중심주의로부터 탈식민화할 가능성을 펼쳐놓는 글들이 이 책의 또 한 가지 주된 줄기다. 저자는 대만영화 국제심포지엄, 싱가포르에서 열린 허우샤오시엔 학술회의, 서울국제여성영화제의 해외 영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