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창해시안

창해시안

  • 이경유
  • |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
  • 2020-09-10 출간
  • |
  • 608페이지
  • |
  • 148 X 220 mm
  • |
  • ISBN 9791155504208
판매가

32,000원

즉시할인가

28,8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8,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시안’의 첫 번째 의미
“표절과 위작을 가려내라”

『창해시안』에는 작가론ㆍ작품론ㆍ형식론 등 다양한 양상의 비평이 혼재한다. 얼핏 보기에는 산발적이지만 그 강령은 분명히 존재한다. 그것은 다름 아닌 ‘안목’이다. ‘시안’이라는 서명도 여기서 나온 것이다. 그런데 이경유가 말하는 안목은 단순히 가작(佳作)을 알아보는 감식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여기엔 세 가지 층위가 있다.
첫째는 표절과 위작을 알아보는 안목이다. 이경유는 한위시(漢魏詩)를 배우는 자들이 오로지 표절을 일삼는다고 한탄하며, 이처럼 표절과 위작이 횡행하는 것은 사람들에게 ‘참된 안목[眞眼目]’이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 『창해시안』에는 표절과 위작을 지적하는 기사가 상당하다. 보건대 이경유는 이안중(李安中)이 당시(唐詩)를 표절하고, 조주규(趙胄逵)가 두보와 육유를 표절한 사실을 밝혀냈으며, 채홍리(蔡弘履)가 발굴한 일당시(逸唐詩)가 위작임을 간파했고, 김안국(金安國)이 가짜 일당시에 속지 않았다는 기사도 수록했다. 이경유는 고문사파의 문학론에 기본적으로 찬동하는 입장이었으며, 이들의 시에 대해서도 우호적이었지만 표절은 배격했다. 표절과 위작을 간파하는 것이야말로 그에게는 비평의 우선순위였다.
‘점화(點化)’에 상당한 지면을 할애한 것도 이와 관련이 있다. 점화에 대한 이경유의 견해는 대체로 긍정적이며, 여러 사례를 들어 점화의 선례를 보였다. 특히 『동인시화』에서 인용한 45칙 중 점화에 관한 것이 10여 칙이다. 본디 점화와 표절은 경계가 불분명하다. 표절과 위작을 가려내고, 점화를 능숙히 하기 위해서는 전대의 시에 해박해야 한다는 점도 동일하다. 이경유는 과거의 문학적 성취를 학습함으로써 시를 창작하고 비평하는 안목을 기를 수 있다고 보았다. 이는 『창해시안』에 기존의 문헌이 다량 인용된 이유이기도 하다.

‘시안’의 두 번째 의미
“한두 글자의 절묘한 배치에 주목하라”

시안의 두 번째 의미는 ‘자안(字眼)’이다. 이경유는 “시를 배우는 사람이 옛사람의 힘쓴 부분을 알고 싶으면 글자를 놓은 것을 먼저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창해시안』의 한시 비평은 자(字)와 구(句) 단위에 집중되어 있다. 시 전편을 인용한 사례는 드문 편이며, 전편을 인용한 경우는 대부분 절구이다. 심지어 장편시에서 서로 떨어진 구절을 뽑아 하나의 연으로 구성한 예도 보인다. 이경유가 특히 관심을 기울인 곳은 시 전편의 유기적 구성보다 한두 글자의 절묘한 배치가 자아내는 풍격이었다.
인용한 기사도 자안에 관한 것이 많다. 『당음』에서는 정곡(鄭谷)이 제기(齊己)의 시에서 한 글자를 고친 일화를 인용했고, 『당시품휘』에서는 관휴(貫休)가 왕정백(王貞白)의 시에서 한 글자를 고친 일화를 인용했다. 『동인시화』에서도 소초재(蕭楚材)가 장영(張詠)의 시 한 글자를 고치고, 변계량(卞季良)이 김구경(金久?)의 시 한 글자를 고친 일화와 이색(李穡)이 이종학(李鍾學)의 조언에 따라 한 글자를 고친 일화를 인용했다. 이경유는 “시의 묘리는 한 글자에 있다”라는 서거정(徐居正)의 발언에 깊이 공감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어느 문헌에서 인용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승려가 김창흡(金昌翕)의 시 한 글자를 고쳐주었다는 일화도 보인다. 자안에 관한 기사는 『창해시안』의 상당한 분량을 차지한다.

‘시안’의 세 번째 의미
“세간의 유행에 흔들리지 않는 독자적 시론을 견지하라”

시안의 세 번째 의미는 독자적인 안목이다. 이경유는 당대 일각에서 유행하던 ‘고원신기(高遠新奇)’한 시풍에 비판적이었으며, 이러한 시를 “시도(詩道)의 일대 액운”이라 했다. 이는 18세기를 풍미한 ‘기궤첨신(奇詭尖新)’의 시풍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이경유는 이러한 시를 두고 “후세에 본받는 사람이 있을까 두렵다”라고 맹렬히 비난했으며, 시선집에 선발한 것도 문제 삼았다. 참신한 시를 선호하지 않았다는 점은 다소 보수적으로 보이지만, 당시 이러한 시가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세간의 유행에 흔들리지 않는 시론을 견지했다고 볼 수 있다.
반박하기 어려운 권위 있는 비평에 대해서도 완곡하게 의문을 제기했다. 이경유는 남인 문단에서 손꼽히는 이서우의 시를 두고 ‘아름다운 시구는 몹시 드물다’ 하고, 최립의 시를 ‘마음에 드는 것이 없다’고 일축했으며, 퇴고(推敲)의 고사로 유명한 가도의 시구마저 ‘놀랍지 않다’고 폄하했다. 안목이 부족해서라고 겸양하는 태도를 보였지만, 문면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기존의 비평에 동의할 수 없다는 완곡한 표현으로 보는 것이 온당하다.
이경유는 『당시품휘』에 수록된 비평을 자주 인용했지만, 자신의 견해와 다르면 반박했다. 『당음』과 『당시품휘』는 좋은 시를 빠뜨리거나 좋지 않은 시를 뽑았으며, 『기아』에 수록된 시는 태반을 산삭해야 한다는 주장 역시 독자적인 안목에서 나온 발언이다. 『동인시화』에서 인용한 기사 중에도 기존의 비평에 의문을 제기하고 독자적인 안목으로 비평한 것이 상당하다.
이경유가 기존 비평의 권위에 얽매이지 않았다는 점은 그의 저술 곳곳에서 드러난다. 『선시보주(選詩補註)』를 읽고는 “편장마다 대략 비평하며 옛사람의 정론에 얽매이지 않고 그저 내 소견을 따랐다”라고 한 점이나 “서가에 있는 옛사람의 시집을 아무렇게나 뽑아 마음대로 점을 찍거나 지웠다”라는 경험을 술회한 것도 그가 항상 독자적인 안목으로 과감한 비평을 시도했다는 증거다.


목차


서설

〈창해시안 권상〉
시는 시대에 따라 변한다|송나라 시의 병폐|명나라 시의 특징|우리나라 시인의 수준|시는 주석이 필요 없다|시는 세 가지에서 나온다|오언절구와 근체시 결구|유장경의 결구|두보와 육유의 결구|두보의 시어|유방평의 시어|유담의 시어|권필의 시어|고원하고 신기한 시|제영시의 어려움|농재 이병연의 제영시|이승연의 만월대 시|사천 이병연의 시(1)|사천 이병연의 시(2)|허혼과 유우석의 회고시|노수신의 시는 두시와 비슷하다|이옥, 권해, 채팽윤의 시|정두경과 채팽윤의 가행장편|문장을 일찍 이룬 사람|고적의 시|잠삼의 시(1)|잠삼의 시(2)|잠삼의 시(3)|강박이 지은 신치근 만시|이병연이 지은 강박 만시|강박이 지은 경종 만시|채제공과 이헌경이 지은 영조 만시|이헌경의 소년작|강박의 송별시|최치원의 시는 거칠다|오언고시 명가|최성대의 오언시|왕유의 시는 그림과 같다|위응물의 시|유종원의 고시|장적의 악부시|왕건의 시|일당시(1)|일당시 (2)|일당시 (3)|임포의 매화시|육유의 매화시|육유의 시는 송시의 으뜸이다|조관빈의 시는 육유와 비슷하다|일자사(1)|왕세정의 시|이반룡의 시|주자의 시|백거이의 시|이승연의 춘첩자|백거이의 곡자시|이경유의 시|원진이 백거이를 전송하며 지은 시|이인복이 이만유를 전송하며 지은 시|신광수, 정범조, 이병연의 시|농재 이병연의 대표작|이승연과 이병연 형제의 명성|신광수와 정범조의 우열|이상은의 시(1)|이상은의 시(2)|이상은의 시(3)|이상은의 시(4)|이상은의 시(5)|노동의 시(1)|노동의 시(2)|노동의 시(3)|이하의 시(1)|이하의 시(2)|이하의 시(3)|이하의 시(4)|온정균의 시(1)|온정균의 시(2)|이하와 온정균의 시

〈창해시안 권중〉
근세 영남의 시|권만의 결구|신유한의 촉석루 시|이단의 시|대숙륜과 맹호연의 우열|두순학의 시|이몽양의 시|진여의의 시(1)|진여의의 시(2)|『당시품휘』와 『당음』|『기아』|이만부의 시(1)|이만부의 시(2)|김이만의 시|강박의 오언절구|채팽윤의 시|이만유와 채팽윤의 시|강필신의 시|최광악의 시|담용지의 시|후학을 망친 시|황정견의 매화시|진여의의 시(3)|진여의의 시(4)|조영의 변새시|오도일의 시|홍면보의 시|홍한보의 시|조주규의 시|강세백의 결구|이안중의 시|노비 시인 정일|이지정의 시|임제와 기생 자고|이만유와 기생 천금환|채유후의 시|채유후와 이민구의 시(1)|채유후와 이민구의 시(2)|채유후와 이민구의 시(3)|맹교의 시(1)|맹교의 시(2)|맹교의 시(3)|왕유의 시(1)|왕유의 시(2)|초당사걸|맹호연의 시|두심언의 시|황정견이 두보를 배우다||이반룡의 시|하경명의 시|왕안석의 시|소정석의 시|장손좌보의 시|이창정의 시|형숙의 시|왕지환과 창당의 시|경위와 노륜의 시|두상과 방택의 시|이만달의 시(1)|이만달의 시(2)|이만달의 시(3)|강빈의 시(1)|강빈의 시(2)|읍청옹의 시|이성유의 시(1)|이성유의 시(2)|강필공의 시|조진택의 시|이경일의 시|정영방의 시(1)|정영방의 시(2)|송환경의 시(1)|송환경의 시(2)|송환경의 시(3)|강필교의 시|이계의 시|도한의 시|유신허의 시|설거의 시|장순의 시|맹교와 가도의 가난|가도의 시|엄유의 시|하경명의 시어|육유의 시어|우리나라 시는 중국만 못하다|오국륜의 시|정백창과 채유후가 노비와 주인 행세를 하다|채유후의 절구|김창흡의 시(1)|김창흡의 시(2)|김창흡의 시(3)|홍성의 시|홍한보의 시|김창협의 시|이천보의 시|신광하의 시(1)|신광하의 시(2)|옹도의 자부|옹도의 시|사마례의 시|조하의 시|이만부의 시(1)|이만부의 시(2)|소옹의 『격양집』|서응과 장호가 장원을 다투다|전기가 귀신의 시를 얻다|서산사와 금산사 시|오광운의 시|오대익의 시|이학원의 시(1)|이학원의 시(2)|이용휴의 시(1)|이용휴의 시(2)|이가환의 명성|정란의 백두산 시|정범조의 만폭동 시|이희사의 시|홍수보의 시|홍화보의 시|최학우의 시|남태제의 시|김택동의 시(1)|김택동의 시(2)|설능의 궁사|전기의 시|소식의 시|이몽양의 시|진여의의 시(5)|진우의 시(5)|저자미상의 시|소식의 시|두상과 두공의 시|오희창이 최립을 흉내내다|이제화의 시|채응일의 시|고적의 시(1)|고적의 시(2)|석우풍|회파악|홍세태의 시|최성대의 시(1)|최성대의 시(2)|왕유의 육언시|육언시는 짓기 어렵다|농재 이병연과 사천 이병연|김창협의 시|신경천과 정석유의 시|남극관의 시|홍봉한의 시|이천보의 시(1)|이천보의 시(2)|박손경의 시|정종로의 시(1)|정종로의 시(2)|이경유의 낙화시|권사언의 시|박천건의 시|김이주가 육유를 표절하다|성정진의 시|정경순, 채득순, 노긍이 기생을 읊다|채제공이 신광수의 운명을 예견하다|최경창 시의 문제점|정철의 시|박지화의 시|최립의 시|우리나라 시는 만당 시절이 낫다|이달의 시|이정귀의 시|소응천의 시|소응천이 여인과 수창하다(1)|소응천이 여인과 수창하다(2)|윤영의 시|홍서봉이 지은 이원익 만사|오도일이 홍만수를 인정하다|홍영의 시|천하를 유람하는 사람|이서우의 시|김시습의 동몽시|홍낙명의 동몽시|박은의 시|김정의 시|정사룡의 시(1)|정사룡의 시(2)|노수신의 시(1)|노수신의 시(2)|유영길의 시|신응시의 시|조주규가 당시를 표절하다|왕유가 옛시를 활용하다|진계의 시|고경명의 시|최립의 고목시|신광수가 이병연에게 준 시|농재 이병연의 시|신광수의 우스개 시|백광훈의 시|차천로와 차운로의 시|이수광의 시(1)|차천로의 시|이수광의 시(2)|김류의 시|정두경의 시|충휘의 시|지책의 시(1)|탄일의 시|지책의 시(2)|이제현이 두시를 답습하다|정지상의 시|이백이 최호의 시를 답습하다|최호의 시|이백의 시|이중환의 시|정범조의 시

〈창해시안 권하〉
진자앙의 시|옛 시인의 답습|박인량의 구산사 시|가도가 뱃사람 흉내를 내다|김황원과 가도의 시|시는 마음으로 이해해야 한다(1)|시는 마음으로 이해해야 한다(2)|성대중의 시|아전 최씨의 시|왕세무, 원굉도, 전겸익의 시|왕세무의 시|원굉도의 시|당나라 시가 가장 공교롭다|강위의 시(1)|강위의 시(2)|나은이 처묵의 시를 가로채다|육유의 매화시|하송의 시|강일용의 백로시|소덕조의 백로시|모란봉에서 지은 대우|이광덕과 기생 가련|오상렴의 시(1)|오상렴의 시(2)|오상렴의 시(3)|강세백의 추수사 시|이광려가 지은 영조 만시|채희범의 시|김성구의 시(1)|김성구의 시(2)|신순악의 시|김이탁의 시|소리와 경치|김인후의 시|최사립과 백원항의 우열|이규보와 죽림칠현|중복 압운(1)|중복 압운(2)|고려 시인의 답습|최해의 시|일자사(2)|이인로, 이혼, 이규보의 우열|김약수의 시|정윤의의 시|고사를 사용한 대우|낙화시|도잠의 시|악부는 짓기 어렵다|유승단의 시|시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고윤의 자화자찬|경전의 말을 사용한 시||정도전이 이숭인의 시를 혹평하다|이색의 시와 쌍계루 기문|이승휴의 풍자시|시 비평의 어려움|이규보의 시(1)|이규보의 시(2)|새 이름을 사용한 시|정포가 축간의 시를 답습하다|용사는 출처가 있어야 한다|남자보다 나은 부인의 시|이민보의 시|조영석의 시|정범조의 시|전겸익의 시|조변의 시|허혼의 시|정조의 시|건륭제의 시|두보의 시는 쉬운 듯하지만 어렵다|일자사(3)|정지상과 진화의 시|이규보의 시(3)|이제현의 시|이백, 소식, 인빈의 시|낙제시|곤궁한 선비들의 시|이규보의 시(4)|이색이 최해의 시를 칭찬하다|두견새 시|전유의 시|영일의 시|교연의 시|눈을 읊은 시|이승연의 시|농재 이병연의 시|채제공의 시|목만중의 칠언절구|이용휴의 오언절구|이안중이 당시를 표절하다|최위의 시|육유의 강개한 시|이몽양과 하경명의 시(1)|이몽양과 하경명의 시(2)|이희지의 시|정홍조의 시|정범조가 지은 정홍조 만사|영철의 중양절 시|영철의 풍자시|무가의 시|이지존의 절구|강세문의 절구|농재 이병연의 오언절구|송지문의 오언절구|장구령의 여산 폭포 시|진여의의 섣달그믐 시|신후담의 시(1)|신후담의 시(2)|이재후의 시|신광수의 시|강세백의 시|이원상의 시|최학우의 시|강빈의 시|김득신이 대구를 찾다|허공의 시

원문/ 찾아보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