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눈부신 경제발전을 이룬 데 비해 정치발전은 그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측면이 있다. 하지만 한국의 정치도 경제발전의 속도만큼은 아니지만 분명 진화하고 있다. 무엇보다 한국만이 가진 독특한 점은 대통령제와 의회제, 변형된 이원집정제 형식의 권력구조, 다양한 선거제도, 독재, 민주주의체제를 모두 경험했다는 것이다. 또한 연방국가도 아니면서 지방차지가 활성화되어 있다. 이러한 경험이 한국정치에는 오히려 발전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독재와 이에 대한 저항을 통해 제고된 한국 국민들의 정치의식도 정치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국의 정치제도, 정치문화, 국민들의 정치의식이 발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정치에 대해 객관적이고 정확한 분석을 위해 이 책이 기획되고 출판되었다. 이 책은 한국정치를 연구·공부하고 이해하려는 독자들이 한국정치의 구조와 정부제도를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동시에 정부정책을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한국정치를 구성하는 다양한 주제에 대해 각 분야의 전문들가들이 집필했으며, 각 주제마다 이론, 역사, 사실,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타 국가와의 비교를 통해 비교정치적 측면을 강조하여 한국만의 독특한 정치와 정부구조를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더불어 한국정치를 정치학·국제정치학·법학·철학·사회학·역사학·정책학·행정학·언론학 등 다양한 학제 간 연구를 통해 한국정치를 분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