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일상이 고고학

일상이 고고학

  • 황윤
  • |
  • 책읽는고양이
  • |
  • 2020-08-15 출간
  • |
  • 222페이지
  • |
  • 113 X 185 X 17 mm / 203g
  • |
  • ISBN 9791186274620
판매가

15,900원

즉시할인가

14,31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4,31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전문가의 전유물이었던 백제를 친근하고 쉽게 풀어내다

비교적 최근인 1993년 부여에서 국보 287호인 금동대향로가 발견되면서 백제 문화의 놀라운 수준은 큰 관심과 희열 속에 공개된 바 있다. 이어 2015년 공주 부여 익산의 백제 유적지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면서 백제 문화에 대한 우수성은 입증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인의 백제에 대한 인식은 별반 달라진 것이 없을 뿐더러 관심조차 얻지를 못하고 있다. 백제를 모르는 이는 없으나, 정작 남아 있는 이미지는 의자왕과 삼천 궁녀, 패배국 등의 부정적인 측면에 치우쳐 있고, 높은 수준의 화려했던 문화, 일본에 문화 전파, 근초고왕의 업적 등 비교적 긍정적 평가는 단편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소수의 역사 덕후 들에게만 관심의 대상이랄까. 그도 그럴 것이 워낙 오래 전 유물인지라 이미 묻히고 사라져 상상력을 더하지 않으면 알아볼 수 없는 것들이 대부분인 것도 무시할 수 없는 원인이다. 또한 역사의 패배자로서 남아 있는 기록이 변변치 않고, 패배자라는 인식의 굴레가 이면을 가린 탓도 크다.

예술을 넘어 혁명적인 디자인으로 탄생한 백제의 탑

중국의 역사서인 주서(周書)에 따르면 “백제에는 승려와 탑이 매우 많다.”라는 기록이 있다. 백제의 탑은 목탑에서 시작하여 석탑으로 변화되었으며, 일본은 물론 이후 통일신라로 이어지는 데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일본의 기록에 백제의 문화와 영향력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 있다.

일본 스이코 여왕 원년(593년) “아스카테라에 찰주를 세우고 법요식이 있었는데 만조백관이 백제 옷을 입고 구경하던 사람들이 기뻐했다.”고 한다. 즉 일본 고위층들이 백제 옷을 입고 사찰의 사리함 위 목탑을 올리는 의식에 모인 것이다. 일본 최초의 사찰인 아스카테라는 583년 시작으로 596년에 완공되었는데, 발굴 조사 결과 절의 가람 배치는 고구려식이나 탑 아래 사리를 보관하는 사리함은 백제식, 기와도 백제식, 초빙되어 일본 내 장인을 지도한 이도 백제인, 절에 모신 부처를 주조한 이도 백제인, 절을 만드는 데 후원한 이도 친 백제계 일본 귀족이었다. 그리고 절의 주지는 백제의 승려 혜총과 고구려의 승려 혜자, 이렇게 2명이 맡는다.(165쪽)

일본 나라에 가면 호류지(法隆寺)라는 절이 있다. 백제식 1탑 1가람을 일본 형태로 받아들인 모습으로 특히 5층 목탑은 “백제가 만든 탑이 이런 모습이겠지” 짐작케 한다. 백제의 목탑은 남은 것 없이 몽땅 사라졌지만, 《일상이 고고학, 나 혼자 백제 여행》은 미륵사지 석탑과 정림사지 5층 석탑 이전에 존재했던 목탑이 어마어마한 크기와 규모로 존재했는지를 보여준다. 나아가 그것이 화재 등으로 소멸되지 않으면서도 사찰의 면적 또한 효율적으로 축소시킴으로써 탑의 혁명적인 디자인이라 할 수 있는 석탑을 탄생시켰고, 나중에 통일신라가 탑과 사찰의 숫자를 비약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어떤 기틀을 제공했는지 그 과정을 고스란히 체험시켜준다.

‘새 보물 납시었네’ 신국보보물전
국보 327호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 감상하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매진 행렬을 이어가는 기획전 ‘새보물 납시었네’ 신국보보물전에 유일한 백제의 보물이 있으니, 국보 327호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이다. 이 사리기는 577년 백제의 위덕왕(554-598재위)이 죽은 아들을 위해 왕흥사를 세우고 봉안한 사리기로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 된 사리기로 알려져 있으며, 수준 높은 백제 예술을 보여주는 보물이다. 본디 사리란 부처나 고승이 열반에 든 후 화장을 하면 나오는 것으로 부처의 사리는 진신사리(眞身舍利)라 하여 고승의 사리에 비해 더 큰 대접을 받는다. 사리함은 반드시 사찰의 탑 아래에 보관되는데. 저자는 그 이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전한다.

사리를 두고 그 위에 탑을 올려야 당시 기준으로는 완벽한 탑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즉 탑이라는 형체와 사리라는 영혼이 함께해야 완벽한 사람이 되듯이 탑도 마찬가지라 생각했던 것이다.(159쪽)

그 사리함에 다음과 같은 글귀가 씌어져 있었다. ?정유년 2월 15일(577년) 백제 창왕(위덕왕)이 죽은 왕자를 위하여 사찰을 세울 때 2매였던 사리가 신의 조화로 3매가 되었다(丁酉年二月十五日百濟 王昌爲亡王子立刹本舍利二枚葬時神化爲三)? 즉 2개의 사리가 3개가 되었다는 신묘한 일을 쓴 것이다. 그러나 출토된 기물 안에는 웬걸 사리가 없었다는 사실. 2개의 사리가 3개가 되어 탑 안에 보관하였는데 그 뒤 탑 안에서 어느 시점에 사라져버리는 기적이 생긴 것일까? (159쪽)

백제 시대의 유물인 사리기 자체가 지닌 아름다움을 감상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가치가 있지만, 그것이 지닌 이야기를 알고 본다면 그 의미는 차원이 다른 것이 된다. 위덕왕의 아버지 성왕은 왕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불교를 수호하는 전륜성왕에서 따왔다. 전륜성왕은 인도를 통일하고 전국에 탑을 만들어 부처의 가르침을 알린 아소카왕이 모델인 신으로 성왕 역시 그런 왕이 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국보 287호 금동대향로 또한 아버지 성왕을 위한 사찰을 건립하면서 아버지의 영혼을 위해 향을 피울 때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일상이 고고학, 나 혼자 백제 여행》은 우리를 백제 유물 유적 앞에 세워 순수한 대면의 기회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눈앞에 보이는 유물 유적에 대한 기초 지식은 물론 조각조각 흩어져 있던 백제의 역사를 통찰하여 적재적소에 풀어내줌으로써 백제와 백제 문화를 주변 국제관계사 속에서 또 백제의 통역사 속에서 그 가치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백제 역사 여행의 구성

《일상이 고고학, 나 혼자 백제 여행》은 크게 반나절에 둘러보는 한성백제 여행과 1박 2일로 떠나는 공주, 부여, 익산 백제 여행으로 나뉜다.
한성백제 일정에서는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방이동 고분과 석촌동 고분 일대를 걸으며 백제 시대 당시의 건축물과 고분의 특징, 토성의 규모와 용도는 물론, 중국 청자로 외교적 권위를 유지하는 한편 검은간토기, 특히 금동관과 금동신발을 지방에 하사하는 등 고급 문화를 통한 통치력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고구려와 어떻게 불구대천의 원수 사이가 되었는지 등을 전한다.
1박 2일 공주, 부여, 익산 일정 첫째 날에는 무령왕릉부터 시작하여 국립공주박물관, 그리고 부여 대통사, 관북리 유적, 그리고 백제 유물의 백미라 할 수 있는 백제금동대향로를 만나는 국립부여박물관으로 끝을 맺는다. 다음날 부여에서 1박 후 정림사지 5층 석탑을 들러 익산으로 넘어가 익산의 미륵사와 왕궁리 5층 석탑으로 이어진다. 고구려의 압박으로 퇴진하면서도 계속 힘을 길러 다시 한강을 수복하려는 백제의 안간힘과 외교적 노력 및 화려하고 세련되게 꽃 피운 불교 예술에 관한 이야기를 전한다.


목차


프롤로그 -- 5

1. 한성백제를 찾아서
풍납토성 / 경당역사문화공원 /풍납백제문화공원

빌라 아래 백제 왕국이 있다 -- 15
백제 초기의 성과 건물은 어떻게 생겼나 -- 20
삼국사기보다 일본서기에 더 잘 묘사된 근초고왕 -- 28
고급 문화를 이룬 백제의 비하인드 스토리 -- 33

2. 한성백제박물관
몽촌역사관 / 한성백제박물관

몽촌역사관에서 백제의 민가를 확인한다 -- 43
성을 쌓아올린 기술 -- 48
백제가 이웃 나라에 하사한 물건들 -- 52
한성백제 최고의 아이템, 금동관과 금동신발 -- 59

3. 서울에도 고분이 있네
방이동 고분 / 석촌동 고분

불구대천의 원수가 된 백제와 고구려 -- 69
방이동 고분은 백제, 신라 누구의 것인가 -- 73
83세 장수왕이 백제와의 전쟁을 직접 지휘한 까닭 -- 78
290기 중 8기만 남기고 사라져버린 석촌동 고분-- 82

4. 무령왕릉
수촌리 고분 / 송산리 고분 / 국립공주박물관

수촌리 고분에서 발굴된 유물의 의미-- 93
무령왕 내외가 사후 27개월 뒤에 합장한 까닭 -- 97
무령왕 이전 무려 세 명의 왕이 암살되었다-- 104
유일하게 임무를 다한 무령왕릉의 진묘수 -- 108
무령왕은 천수를 다했을까 -- 112

5. 부여로 가자
대통사 / 관북리 유적 / 국립부여박물관

대통사는 실존하는 최초의 사찰이다 -- 119
왜 이곳에 사찰이 지어진 것일까 -- 123
공주에서 부여로 천도한 까닭은 -- 126
주춧돌 등장! 기와로 수를 놓은 관북리 유적-- 130
한강 수복했다가 다시 빼앗기는 성왕 -- 135
인생에 한 번은 꼭 만나야 하는 백제금동대향로-- 141

6. 정림사지
정림사지 5층 석탑

부여에서 1박 -- 149
여전히 비밀이 많은 국보, 정림사지 5층 석탑-- 153
정림사지 가는 길에 있는 백제 가마터 -- 159
석탑, 혁명적인 디자인 -- 165

7. 익산의 백제
미륵사 / 왕궁리 5층 석탑

유네스코 백제역사유적지구 -- 179
서동요의 주인공, 무왕과 익산 미륵사 -- 184
미륵사지 석탑의 위용 -- 191
왕궁리 유적의 신묘한 이야기 -- 198
백제 탑 안에 통일신라 불상이 어떻게 들어 있나 -- 203

에필로그
백제는 우리에게 어떤 나라였을까 -- 213
참고문헌 -- 219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