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동안거사집 (큰글씨책)

동안거사집 (큰글씨책)

  • 이승휴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20-07-15 출간
  • |
  • 584페이지
  • |
  • 210 X 297 mm
  • |
  • ISBN 9791128854675
판매가

58,000원

즉시할인가

52,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52,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지식을만드는지식 큰글씨책은 약시나 노안으로 독서에 어려움을 겪는 독자를 위해 만든 책입니다. 지식을만드는지식의 책은 모두 큰글씨책으로 제작됩니다.

민족적 격동기의 기록
≪동안거사집(動安居士集)≫은 동안거사 이승휴(李承休)의 문집(文集)이다. 오늘날 수천 종의 문집이 있지만 대부분 조선 시대 것이고, 고려 시대 문집은 30여 종이 채 안 된다. 문집이란 개인의 저작물을 수집해 문체별로 정리한 것이기에 그 저자의 일생이 오롯이 담겨져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시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기본 자료가 된다. 따라서 고려 시대의 사회와 문화를 살필 수 있는 이승휴의 문집은 그만큼 귀할 수밖에 없다.
이승휴가 살아간 시대는 국난의 시대였다. 거듭된 몽고의 침입으로 민중의 삶은 피폐했으며, 고려 왕실은 원나라의 내정 간섭으로 크게 흔들리고 있었다. 이승휴는 과거 급제 후 홀어머니를 뵈러 갔다가 몽고의 5차 침입을 만나 삼척에서 항전했으며, 이때 전쟁의 참상을 목도한다. 전쟁으로 인해 40세가 넘어서야 관직에 들어섰지만 원나라의 간섭과 부원 세력의 발호로 어지러운 정세에서 꾸준히 시정의 폐단을 지적하고 탐관오리를 탄핵하다 1280년 충렬왕의 실정을 간언해 마침내 파직되었다. 그의 글에는 이러한 고려 후기의 시대적 고통과 혼란, 이에 대한 분노와 안타까움이 그대로 드러나 있으며, 이를 통해 고려 고종에서 충렬왕에 이르는 시기의 정치적, 사회적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사행 기록인 〈빈왕록〉은 원나라 수도인 대도의 풍물과 황실의 연회, 사절 접견 의례 등을 알 수 있어 더욱 귀한 자료가 된다.

중국을 감동시킨 문장
이승휴는 강화도 낙성재에서 당대에 문명을 떨치던 최자(崔滋)와 알게 되었으며 이후 최자가 지공거로 주관한 과거에서 급제하면서 그의 문생이 되었다. 1273년 원나라에서 황후와 황태자를 책봉하자 이승휴는 서장관으로 발탁되어 원나라에 가 책봉을 하례하게 되는데, 이때 그가 올린 표문(表文)은 원 세조(世祖)와 문신들의 탄복을 받았으며, 동행했던 송송례도 “문장이 중국을 감동시킨다는 말은 임자를 두고 하는 말이오”라고 탄복했다.

구성과 내용
≪동안거사집≫은 〈잡저(雜著)〉와 〈행록(行錄)〉 4권으로 구성되었다.
〈잡저〉의 첫머리는 1359년에 목은(牧隱) 이색(李穡)이 쓴 서문이 붙어 있다. 〈잡저〉는 한문 문체의 하나로 일정한 체제가 없는 것이 특색이지만, 그렇다고 잡동사니 글이라는 뜻은 아니다. 문체는 다르지만 논리가 타당하고 정연하며 저자의 성정(性情)이 잘 나타나 있다. 문집에서 잡저는 저자를 평가하는 가름대라고 할 수 있다. 〈잡저〉에는 기(記)·계(啓)·서(書)·법어(法語) 등 10편의 산문이 실려 있다. 특히 그중 사륙문은 이승휴 만년의 글들로, 그의 뛰어난 문장과 고전에 대한 해박한 지식이 잘 드러난다.
〈행록〉 1, 2, 3권은 모두 시집으로, 권1에는 19수, 권2에는 23수, 권3에는 16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시 가운데는 문인들과의 교유시도 있고 기행시도 있고 감흥을 읊은 시도 있지만, 특징적인 것은 관로(官路)에 있는 사람들에게 준 시다. 당시 과거에 합격해도 권력가의 추천 없이는 임용되기 어려운 관로의 모습과 먹고사는 문제 앞에서는 나약해질 수밖에 없는 인간의 단면을 여실히 보여 준다.
권4는 〈빈왕록(賓王錄)〉이다. 내용은 이승휴가 서장관(書狀官)으로 원나라 수도 대도(大都, 지금의 베이징)에 다녀온 후 남긴 사신록(使臣錄)이라 할 수 있다. 1273년 원(元)이 황후·황태자를 책봉하면서 그 사실을 고려에 알려오자, ㅣ원종(元宗)은 아들 순안공 왕종(順安公王悰)을 하진사(賀進使)로 삼고 송송례(宋松禮)·이분성(李汾成)·정인경(鄭仁卿) 등을 수행 관원으로 삼아 원나라에 파견했다. 서장관인 이승휴는 1273년 윤 6월 9일 고려를 출발해 7월 29일 원도(元都)에 도착했다. 〈빈왕록〉은 바로 이 사행(使行) 길 연도(沿道)의 풍물을 시로 읊으면서 자세한 서문을 붙였고, 대도(大都)에 도착해서는 원 황제와 황후를 만나는 사절의 행차를 기록했기 때문에 보기 드문 사료(史料)적 가치를 지닌다.

옮긴이 진성규 교수는 1995년 김경수 교수와 함께 ≪제왕운기≫를 첨부해 ≪동안거사집(動安居士集)≫을 간행한 바 있으며, 이로부터 13년 후인 2008년, 전문을 새로 번역해 ≪동안거사집≫을 출간했다. 이번에 12년 만에 다시 출간하는 ≪동안거사집≫은 진 교수의 수십 년간의 연구 결과를 집대성한 완결본이라 할 수 있다. 2008년 출간한 지만지 클래식 ≪동안거사집≫을 바탕으로 그간 발견한 오류들을 바로잡고 번역을 새로이 했으며, ≪동안거사집≫에는 실려 있지 않은 이승휴의 시 두 수를 부록으로 추가했다.


목차


동안거사이공문집서

동안거사 잡저 1부
촌거자계문
보광정기
간장사기
승제 윤보에게 올리는 계
진양목백 상서 이산에게 보내는 편지
진양서기 정소에게 보내는 편지
단모부
공이 보내 준 답서
전 중봉대부 도원수 추충정난정원공 광정대부 삼중대광첨의중찬…
불호혜화상에게 보내는 편지
몽산화상이 법어를 내려 준 데 대해 사례해 올림
화상이 보낸 법어
두타산 간장암 중창기
원나라 구양 승지의 제

동안거사 행록 권 제1
강릉 전 사또가 가지고 있는, 명황이 늦게 일어나는 그림
전 사또 갱화시
무릉도 가는 길을 바라보다
전 사또 갱화시
병과시
구관시
경원 이 시중
시령 유 평장
또 읊다
최 판추에게
한 추밀원사에게
유 내상
최 직강
원 소경
허 소경
한림 박항에게 주다
태부 최수황, 사관 김승무·홍저에게 주다
안집사 김 중서가 죽헌에 쓴 제액에 차운하다
11월 3일에 동지·팔관·원정과 폐하께서 황제 처소에…
수다사에서 머물러 짓다
서울에 들어와 다시 행자 운을 쓰다
눈 속에 봉암상국께서 좋은 음식을 내린 것에 사례한다
최 직강이 눈을 읊은 시 30운에 차운하다
전별에 사례하는 시

동안거사 행록 권 제2
관사로 돌아와 다시 앞 시의 운을 써서…
황려북루의 판상시에 차운하다
안집사인 병부 진 시랑을 모시고 진주부 서루에 올라 판상시에…
6월 안집사 진 시랑을 모시고 정선현을 구경 갔는데…
등명사 판상에 차운하다
8월 상순에 대산 절정에 올라, 재미로 한 수 짓다
후죽 붓대를 관한의 제공에게 부쳐 주며
서기 관아의 정원에 잣나무를 심고, 한 수를 쓰다
11월 초하루 동지와 팔관의 두 표문을 받들고…
황·이 두 영공이 주고받은 시에 차운하다
12월 상순에 다스리는 곳으로 돌아가려 하면서…
다시 전운을 사용해 동년 국자박사 최수황과…
한림 안유가 보내 준 이별시에 차운해 답하다
병인 정월 큰 눈이 열흘 넘게 왔다. 안집사…
(1266년) 2월 3일에 부에서 출발해…
국박 최수황의 희우시에 차운하다
경원 이 시중이 어가를 모시고 삼랑성을 구경하며…
유 내상의 장미연ㅣ시에 차운하다
사업 허공이 사물에 부쳐 육예시를 지었는데…
우물
거문고
바둑
글씨
그림
활쏘기
말 몰기
이·유 두 영공이 주고받은 시에 차운하다
유 내상에게 바치는 시
백 중서가 지공거가 된 김 좨주를 축하한 시에…
앞 시의 운을 빌려 써서 기사 박항에게 주다

동안거사 행록 권 제3
단양 홍 승제의 석상가에 차운하다
직강 정과 시랑 박이 승선에 임명되어…
사관 이인정이 임 태사를 애도한 시에 차운하다
상국 김이 중서성의 채 피지 않은 작약꽃을 두고…
김 시어를 애도하다
시어 김승무를 다시 애도하다
박 승제에게 올리다
다시 정 직강의 축하시 운자를 써서 박 승제에게 올리다
다시 전운을 써서 죽당의 세 학사에게 올리다
이 시랑
김 대제
정 직강
우제
김 상국의 퇴조시에 차운하다
퇴조시의 운자를 다시 써서 박 승제에게 올리다
박 승제의 시에 화답하다
상서 김정이 박 승제에게 올린 시에 차운하다
국학박사 이필이 상서 김정의 시에 차운해…
관장 최곡이 방문을 와서 써 준 시에 차운하다

동안거사 행록 권 제4
빈왕록
(1273년) 이달(6월) 11일 패강 도중 바로 읊다
(1273년 6월) 12일 금암으로 가는 길에…
길은 분수령으로 지나기에 한 수 남겨 두다
(1273년) 이달(6월) 29일에 비로소 동경에 …
(1273년) 7월 9일 사로에서 길을 떠나…
(1273년) 이달(7월) 16일 악두참에 도착해…
(1273년) 이달(7월) 29일 신산현에 이르러…
(1273년) 이달(7월) 그믐날 병풍산을 경유해…
(1273년) 8월 4일 연경에 들어가려고…
차운해 봉답하다
(1273년) 중추절 이튿날 정 시랑의 기신재에…
(1273년) 이달(8월) 21일 후저를 모시고…
(1273년) 이달(8월) 24일 황제 폐하께서…
(1273년) 이달(8월) 28일은 바로 황제의 성절이다…
(1973년) 9월 1일 중서성이 강 선사를 시켜…
(1273년) 이달(9월) 7일 중서성이…
(1273년) 그 이튿날(9월 8일) 후저께서…
행차가 소문의 동쪽 교외로 나오니…
즉석에서 차운해 답하다
이달(9월) 25일 압록강까지 돌아와서…
10월 2일 행차가 흥의역에 이르니…
편집 후에 우연히 씀

부록
하운
경진년(1280, 충렬왕 6) 간쟁으로 파직되었는데 중찬 유경이 병중에도 위로하러 옴을 사례함

원문
찾아보기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