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다시 쓰는 한국 근대사

다시 쓰는 한국 근대사

  • 이윤섭
  • |
  • 평단
  • |
  • 2009-05-15 출간
  • |
  • 396페이지
  • |
  • 153 X 224 mm
  • |
  • ISBN 9788973433018
판매가

12,000원

즉시할인가

10,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0,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세계사 속에서 바라본 한국 근대사의 진실

19세기부터 서구 열강들은 제국주의의 기치 아래 식민지 쟁탈전을 펼쳐 힘이 없는 나라를 그들의 식민지로 만들었다. 당시 조선도 미국을 비롯하여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열강들의 식민지 그물망에 잡혀 강제적으로 문호를 개방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일본은 적극적으로 문호를 개방하고 메이지유신을 통해 근대사회로 진출했다. 조선은 중국과 사대책봉관계의 틀에 있었기 때문에 조선의 안위는 중국의 입김에 좌지우지되었다. 일본은 임진왜란 때에 ‘정명가도"라는 미명하에 조선을 침략했으며, 러일전쟁 때에도 조선을 발판으로 삼아 만주 대륙을 지배하려는 야욕으로 조선을 짓밟았다. 당시 조선은 중국과 일본이라는 두 제국의 틈바구니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이처럼 19세기부터 조선은 서구 열강과 주변국들에게 맛있는 ‘먹잇감’이나 다름없었다. 하지만 조선은 그에 대응할 힘이나 자존심마저 없었다. 고종은 서구 열강, 특히 러시아와 미국과 독일 등의 원조에만 기댔고, 관리들은 권력에 눈이 멀어 국가의 존망은 안중에도 없었다. 그리고 19세기 말 이후 조선은 바람 앞의 촛불처럼 언제든지 꺼질 수밖에 없는 나약한 나라로 전락해버렸다.
1863년 조선의 제25대 왕인 철종이 사망하자, 고종이 왕위에 올랐다. 이후 1910년 한일합방까지 조선과 대한제국은 숱한 외세의 침략에 시달려야 했으며, 급기야 1910년에 일본에 강제적으로 나라를 빼앗겼다. 그 중간에 외세에 의한 문호 개방이라는 근대화의 시작을 열었지만, 다시 흥선대원군은 쇄국정책으로 세계사의 흐름에 역행하는 과오를 저지르고 말았다. 만약 조선이 개방과 개혁으로 세계사의 흐름에 편승했다면, 지금 21세기의 한국사는 어찌되었을까?
이 책은 조선 후기인 19세기 중엽부터 일본이 대한제국을 병합한 1910년까지의 역사교양서다. 19세기 중엽의 조선은 세도정치가 극에 달해 전국적으로 민란과 변란이 일어났다. 이에 조선은 지금까지 겪어보지 않은 내란으로 인해 극심한 어려움에 직면했다. 현재까지 수많은 역사서들이 출간되었지만, 한국 근대사를 다룬 도서는 그리 많지 않다. 또한 한국 근대사를 세계사의 일부로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일국사’적 역사 서술에 기댄 측면이 많았다. 한국의 근대사를 한국적 처지에서만 바라보았기 때문에 한국 근대사는 실패와 좌절과 열패감이 가득 찬 부끄럽고 가슴 아픈 역사이거나 스스로 자족하는 아전인수식 역사일 수밖에 없었다.
한국 근대사에서 조선 정부와 위정자들은 모두 자신의 이익에만 급급한 나머지 토탄에 빠진 백성들은 염두에 두지 않았다. 자신의 몸을 보전하기 위한 보신주의에 빠진 나머지 서구 열강의 강압적인 압력에 문호를 개방했고, 순식간에 조선은 열강들의 먹잇감이 되었다. 이 책은 세계사의 틀 속에서 한국 근대사를 바라보는 최초의 시도이다. 서구 열강의 입김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한국 근대사가 왜 이렇게 자위와 자학의 그늘에 푹 파묻혀 지냈는지, 세계사의 흐름 속에 한국 근대사를 제대로 평가해보자는 것이다. 그렇게 한다면, 세계사 속에 한국 근대사의 위치를 정치하게 읽어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프롤로그 ‘우물 안 역사 의식’을 벗어나기 위해 8

제1장 세도정치로 요동치는 조선
세도정치가 시작되다 12 | 균역법의 빛과 그림자 15 | “관서는 재부와 화려함이 나라에서 최고다” 17 | 가산 다복동에 모이다 20 | 역사 속의 역사 1 : 세도가의 쌍두마차, 김조순과 조만영 25

제2장 민란과 변란이 일어나다
미곡전 습격사건 28 | 삼남에서 민란이 일어나다 30 | 상민보다 못한 양반 33 | 이필제, 조선을 네 개의 제후국으로 나누려 하다 37 | 엽관적인 변란 39 | 향리들의 신분 상승 운동 41 | 역사 속의 역사 2 : 흥선대원군, 서원을 철폐하다 44

제3장 19세기 동아시아의 풍경
“눈과 같이 흰 은이 10만 냥이 쌓인다” 48 | 아편전쟁, 중국 근대사의 시발점 52 | 미국과 러시아의 일본 문호 개방 전쟁 54 | 220여 년의 쇄국이 무너지다 56 | 역사 속의 역사 3 : 미국과 멕시코의 영토 전쟁 61

제4장 조선이 문호를 개방하다
조선을 노린 미국과 일본 64 | 러시아의 야심 66 | 청과 일본의 동상이몽 70 | 조선을 칠 것인가? 말 것인가? 73 | 유구를 손에 넣고 조선의 문호를 연 일본 74 | 《조선책략》을 건네받다 78 | 서양 세력과 수교하면 금수의 길로 치닫는다 81 | 조선, 열강에 문호를 열다 ? 84 | 역사 속의 역사 4 : 홍수전, 태평천국을 건설하다 ? 88

제5장 임오년에 군인이 난을 일으키다
쌀값이 폭등하다 92 | “일본군이 조선왕을 포로로 잡아 도쿄에 안치할 것입니다” 95 | 조선을 만주에 편입시켜라 100 | 역사 속의 역사 5 : 말단 장교에서 대총통까지, 위안스카이 102

제6장 갑신년에 조선의 근대화를 시도하다
개화파, ‘신서’들을 열독하다 106 | 조선, 러시아를 끌어들이다 109 | 개화파, 갑신년에 정변을 일으키다 111 | “군왕의 의심이 있게 하고 인민의 앙심이 돋게 했다” 114 | 조선이 몰랐던 톈진 조약 118 | 역사 속의 역사 6 : 시대의 풍운아, 김옥균이 스러지다 ? 122

제7장 갑오년에 농민이 새세상을 꿈꾸다
오쓰사건 126 | “뛰어든 여공의 시체로 스와 호수가 얕아졌다” 129 | 조선의 기마병은 판토마임극의 단역이다 132 | 화적이 없는 날이 없고 없는 곳이 없다 138 | 동학, 농민전쟁의 기반이 되다 141 | 동학교도의 교조신원운동 143 | 전봉준의 창의하다 145 | 전주화약을 맺다 ? 147 | “어떠한 수단도 가리지 말고 개전의 구실을 만들도록 하라” ? 153 | 일본이 청에 선전포고하다 ? 157 | “문명의 가면을 벗고 야만의 모습을 드러내다” ? 162 | 동학농민전쟁, 우금치에서 막을 내리다 166 | 역사 속의 역사 7 : 전봉준을 사형에 처하노라 169

제8장 청일전쟁의 후폭풍이 불다
일본이 승승장구하다 174 | 최초의 시가전이 벌어지다 177 | 청이 굴욕적인 강화조약을 맺다 179 | 타이완, 아시아 최초의 공화국을 지향하다 184 | 역사 속의 역사 8 : 빌헬름 2세, 삼국에 선전포고를 하다 186

제9장 을미사변과 아관파천
미우라가 제시한 3가지 방안 190 | 명성왕후를 암살하다 193 | 춘생문 사건 197 | 아관으로 파천하다 201 | 역사 속의 역사 9 : 조선을 근대적인 체제로 개혁하다 204

제10장 대한제국이 수립되다
윤정효의 상소문 ? 208 | “서양 신사들은 참으로 짐승 같은 자들이로다” 211 | 못된 당나귀 같은 이홍장 213 | 외국인 호위병에게 보호를 구걸하다 216 | 조선군, 러시아식 군사교육을 받다 220 | 칭제건원을 상소하다 222 | 역사 속의 역사 10 : 러시아의 마지막 황제, 니콜라이 2세 228

제11장 독립협회와 의회 설립 운동
자주독립에 대한 열망 232 | “시랑을 사오십 마리 대궐 내에 두는 것보다 위태하다” 236 | 김홍륙 독다?L 사건 238 | 프랑스혁명 같은 의회 설립 운동 240 | ‘익명서’를 내다 붙이다 246 | 국왕의 국민에 대한 배신 249 | 수구파와 보부상이 권력과 금력을 독점하다 253 | 역사 속의 역사 11 : 황국협회와 보부상 255

제12장 독일의 식민지 전쟁
식민기지를 물색하다 258 | 자오저우만을 점령하다 261 | 열강, 청의 영토를 조차하다 264 | 역사 속의 역사 12 : 캉유웨이, 청을 개혁하다 268

제13장 중국의 의화단 운동과 러시아의 만주 점령
의화단의 반기독교 운동 272 | 의화단과 연합군이 다구에서 만나다 275 | 만주, ‘제2의 부하라’가 되다 278 | 러시아, 대한제국의 중립화안을 제안하다 281 | 역사 속의 역사 13 : 보어인들이 영국에 맞서다 284

제14장 영국, 러시아 그리고 일본
영국과 일본이 손을 잡다 288 | ‘탐학’이 ‘화적’보다 심하다 291 | 조선 문제 해결에 관한 의견서 295 | 알렌, 러시아를 지지하다 297 | 역사 속의 역사 14 : 전쟁 영웅, 시어도어 루스벨트 301

제15장 러시아와 일본의 전쟁
“일본은 사활을 걸고 싸우고 러시아는 저녁식사를 위해 싸운다” 304 | 일본의 선전포고 308 | 한일의정서로 을사조약의 발판을 마련하다 310 | 유대인 병사들은 일본군의 총알 세례를 받았다 312 | 폴란드 독립운동가, 일본에 접근하다 316 | “우리는 인간이 할 수 있는 것은 다했다” 319 | 일본, 강화 협상을 바라다 321 | 러시아 발트 함대의 궤멸 324 | 역사 속의 역사 15 : 러시아의 무적함대, 발트 함대 328

제16장 러시아와 일본의 뒤바뀐 운명
러시아와 일본, 포츠머스 군항에 도착하다 330 | “배상금과 영토를 모두 단념한다” 333| “조기를 들고 맞아들이자” 336 | 역사 속의 역사 16 : 러시아와 일본의 쿠릴열도 분쟁 338

제17장 일본이 대한제국의 주권을 강탈하다
외부인 탈취하여 조인한 을사조약 342 | 공식 기록에는 빠진 수많은 전쟁 346 | 역사 속의 역사 17 : 일제의 파수꾼, 일진회 350

제18장 비운의 대한제국
“일체의 통치권을 영구히 일본국에 양여한다” 354 | “문명한 새 정치에 복종하여 행복을 함께 받도록 하라” 357 | 지배층의 파렴치한 행태 360 | “그들이 당신들을 소화하지 못하게 할 수는 있다” ? 363 | “주여, 여러 민족의 자유를 위해 큰 전쟁을 내려주소서” ? 365 | 폴란드, 독립을 위해 싸우다 ? 369 | “우리는 사회주의 열차를 타고 왔지만, 나는 ‘독립’이라는 역에서 내렸다” ? 372 | 윤치호의 조선관 J?? 374| “조선을 망하게 한 것은 조선이었지 일본이 아니다” 380 | 역사 속의 역사 18 : 순종이 일본을 방문하다 384

에필로그 한국 근대사의 ‘진실’을 찾아서 386

참고문헌 389
찾아보기 392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