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교육기초와 교육철학
제1절 교육철학의 기능과 성격
1. 교육철학의 기초 22
제2절 교육정의에 대한 철학적 접근
1. 정범모 교육의 정의
2 피터스 교육의 정의 25
3. 뒤르켐 교육의 정의 28
제3절 교육의 유형
1. 형식적 교육과 비형식적 교육 30
2 전인교육31
3. 인성교육과 선행교육32
4. 가정교육(가정환경) 34
5. 사회교육 35
6. 페다고지와 안드라고지38
7. 평생교육 40
8. 평생학습사회(열린교육사회) 43
제4절 공교육제도와 대안교육
1. 공교육 제도 50
2 학교선택권과 대안교육 55
3. 홈스쿨링 운동 57
4. 대안학교 59
5. 프리스쿨(Free School) 60
제5절 교육목적에 대한 철학적 접근
1. 교육목적론 62
2 교육이념·목적·목표 63
3. 우리나라 교육이념과 교육목적 64
4. 교육목표 66
제6절 교육내용에 대한 철학적 접근
1. 지식과 교육 68
2 객관주의와 구성주의70
제7절 철학의 연구영역과 교육
1. 철학의 연구영역 73
2 실용주의와 스콜라 74
3. 여러 가지 교육철학 77
3.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 79
4. 지식기반사회의 교육 81
제2장 교육사회학
제1절 교육사회학의 기초
1. 교육사회학의 발달 90
2 기능주의 교육사회학 91
3. 갈등주의 교육사회학 98
4. 신교육사회학 113
5. 신교육사회학의 이론적 배경 122
제2절 교육과 선발
1. 교육의 사회평등 기여론(기능주의) 125
2 교육의 사회불평등 기여론(갈등주의) 126
3. 교육의 무효과론 128
4. 교육과 선발 129
5. 고등학교 평준화 131
제3절 교육과 노동시장
1. 단일노동시장 이론과 교육(기능론) 135
2 분단노동시장 이론과 교육(갈등론) 136
제4절 교육평등론
1. 학력상승이론 139
2 교육평등관의 발달 142
3.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147
4. 교육평등지표 149
5. 학업성취 연구 151
6. 단선제와 복선제 154
7. 시험의 기능(영향력)(몽고메리) 157
8. 인간자본과 사회자본 159
제5절 교육인류학과 문화
1. 교육인류학 161
2 문화 162
3. 문화변동과 문화지체 163
4. 문화실조론과 문화다원론165
5. 문화전계와 다문화교육 166
제6절 사회와 교육
1. 사회화 168
2 사회적 지위와 역할 169
3. 유형분류 170
4. 동료 집단(또래집단) 173
5. 사회이동 174
6. 지역사회학교 175
제7절 질적 연구 방법
1. 질적 연구방법의 기초 177
2 질적 연구의 배경과 특징 178
제3장 교육행정
제1절 교육행정의 기초
1. 교육행정의 개념 186
2 교육행정의 기본원리와 성격188
제2절 교육행정이론의 발달
1. 과학적 관리론 190
2 인간관계론 192
3. 행동과학적 접근이론 194
4. 체제이론 195
제3절 교육행정의 과정이론
1. 과정이론의 발달 199
2 과정이론의 구성요소 199
제4절 동기이론
1. 매슬로우의 욕구계층이론 202
2 엘더퍼의 ERG이론 205
3. 맥그리거의 X·Y이론 207
4. 아지리스의 미성숙·성숙이론 208
5. 허즈버그의 동기·위생이론 208
6. 브룸의 기대이론 210
7. 아담스의 공정성 이론 211
8. 로크 목표설정이론 212
9. 직무특성이론 213
10. 몰입 215
제5절 지도성 이론
1. 특성이론(심리학적 입장) 218
2 유형이론(행동과학적 입장) 218
3. 상황이론 221
4. 기타 지도성 223
제6절 조직이론
1. 조직의 기초 229
2 조직의 분류 229
3. 조직이론 244
4. 중앙집권제와 지방분권제 257
제7절 교육재정
1. 교육재정의 원리 259
2 교육비와 교육비 차이도 261
3. 표준 교육비와 경비부담원칙 263
4. 예산제도 264
5. 체제적 예산 편성 방법 265
6. 학교회계제도 269
제8절 장학행정
1. 장학의 기초 274
2 장학의 종류 276
제9절 교육정책
1. 의사결정(정책결정)의 이론적 모형 293
2 의사결정을 보는 네 가지 관점 294
3. 의사소통 295
4. 교육계획 299
제10절 학교와 학급경영
1. 보직교사제301
2 수석교사제302
3. 교과운영 및 학급편성 304
4. 학급경영 306
제11절 교사론
1. 교직의 기초 311
2 교사의 역할 313
3. 교사의 권리와 의무(김종철) 315
4. 교사의 권위 316
5. 교원연수 및 교원능력개발평가 318
제4장 한국교육사
제1절 삼국시대의 교육
1. 고구려의 교육 326
2 백제의 교육 327
3. 신라의 교육 328
제2절 고려시대의 교육
1. 고려시대 관학333
2 고려시대 사학 335
3. 고려의 과거제도 336
4. 교육사상가 337
제3절 조선시대의 교육
1. 성리학의 도입과 교육적 영향 340
2 주희의 교육사상 342
3. 조선시대 관학344
4. 조선시대 사학 350
5. 과거제도 355
6. 교육사상가 360
7. 실학 363
8. 실학 교육사상가 364
제4절 근대의 교육
1. 우리나라의 최초의 근대학교 369
2 동학의 교육사상 371
3. 개화기의 교육(1880~1906) 373
4. 독립협회와 독립신문 374
5. 학교제도의 설립 375
6. 통감부하의 교육(1906~1911) 378
제5절 일제시대의 교육
1. 일제시대의 개관(1911~1945) 380
2 제1차 조선교육령 381
3. 제2차 조선교육령 383
4. 제3ㆍ4차 조선교육령 384
5. 교육사상가 389
제6절 현대교육
1. 미군정기 교육 391
2 제1공화국의 교육 394
3. 1960년대의 교육 395
4. 1970년대의 교육 397
5. 1980년대의 교육 398
제5장 서양교육사
제1절 고대의 교육
1. 그리스의 교육 406
2 로마의 교육 418
제2절 중세의 교육
1. 중세의 시대구분 423
2 기독교 교육 423
3. 기사도 교육 425
4. 칼대제와 교육 426
5. 스콜라 철학과 교육 426
6. 대학교육 428
7. 시민교육 429
제3절 문예부흥기의 교육
1. 문예부흥 431
2 인문주의 교육의 유형 433
3. 인문주의 교육사상가 434
1. 종교개혁 436
2 교육사상가 438
1. 실학주의의 기초 440
2 실학주의의 유형 441
3. 교육사상가 443
제6절 18세기의 교육
1. 18세기의 시대배경 445
2 계몽사상과 교육 445
3. 자연주의와 루소의 교육사상 447
5. 범애주의 교육 452
제7절 19세기의 교육
1. 신인문주의 454
2 계발주의 교육 455
3. 국가주의 교육 461
4. 과학적 실리주의 교육 462
5. 19세기의 교육사상가 463
제8절 신교육운동
1. 신교육운동 464
2 듀이 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