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0년 고효율 중대형 이차전지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전망

2020년 고효율 중대형 이차전지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전망

  • 씨에치오얼라이언스
  • |
  • 씨에치오 얼라이언스
  • |
  • 2020-07-13 출간
  • |
  • 577페이지
  • |
  • A4
  • |
  • ISBN 9791186934425
판매가

380,000원

즉시할인가

342,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42,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글로벌 전기자동차(xEV) 시장 및 정책 동향 35

1. 전기자동차 시장 개요 및 주요 이슈 35
1-1. 전력기반차(xEV) 종류 35
1) 전력기반차(xEV)의 종류 및 특징 35
(1)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36
(2)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 37
(3) 배터리 전기자동차(BEV) 38
(4) 수소연료 전기자동차(FCEV) 39
2) 모터 사용 정도에 따른 HEV 분류 39
(1)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Micro/Mild HEV) 39
(2) 소프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Soft/Power Assist HEV) 39
(3) 하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ard/Full HEV) 40
1-2. 최근 전기자동차 시장 주요 이슈 42
1) 친환경 자동차 시장 성장세 확대 42
(1) 내연기관 자동차 판매 금지 42
(2) 전기자동차 시장 급성장 43
2) 완성차 업체와 배터리 업체 협력 강화 45
3) 배터리 원자재 수급 이슈 48
(1) 리튬 공급망 다각화 48
(2) 배터리 원자재 수급 전략 49
4) 중국 전기차 보조금 이슈 51
(1) 전기자동차 보조금 제도 연장 51
(2) 한국산 배터리 탑재차에 보조금 지급 52
5) 전기기반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 확대 53

2. 글로벌 전기자동차 시장 및 정책 동향 56
2-1. 글로벌 전기자동차 시장 동향 56
1) 글로벌 자동차 시장 판매 동향 56
2) 지역별 전기자동차 판매 현황 58
3) 업체별 전기자동차 판매 현황 59
4) 글로벌 전기자동차 시장 전망 61
5) 글로벌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 시장 동향 62
(1)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 정의 62
(2)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 범위 및 분류 64
(3)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 시장 동향 66
2-2. 국내 전기자동차 시장 및 정책 동향 72
1) 국내 전기자동차 관련 시장 동향 72
2) 국내 전기자동차 관련 정책 동향 73
(1)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 73
(2) 친환경 자동차 보급 목표 82
(3) 전기자동차 및 충전인프라 구축사업 보조금 83
2-3. 해외 주요국 전기자동차 시장 및 정책 동향 85
1) 중국 85
(1) 신에너지 자동차 지원 정책 및 사업 85
(2) 톈진시 전기자동차 보급 정책 86
(3) 중국 전기자동차 시장 현황 88
(4) 중국 전기자동차 수출입 동향 89
(5) 중국 전기차 배터리 업체 동향 90
2) 일본 91
(1) 일본 친환경 자동차 보급 정책 91
(2) 전기자동차 배터리 연구개발 지원 92
(3) 일본 자동차 업계 최신 기술 동향 및 이슈 92
(4) 일본 자동차 산업 유망 분야 93
(5) 일본 친환경 자동차 시장 현황 94
(6) 일본 전기차 배터리 업체 동향 95
3) 미국 96
(1) 미국 연비 규제 기준 96
(2) 미국 친환경차 보급 촉진 정책 99
(3) 뉴저지주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 추진 정책 101
(4)?미국 전기자동차 시장 현황 및 전망 102
(5)?미국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 106
4) 독일 107
(1) 유럽그린딜(European Green Deal) 정책 107
(2) 독일 전기자동차 시장 현황 및 전망 107
(3) 독일 완성차 업체별 전기자동차 출시 전략 109
5) 프랑스 110
(1) EU 환경 규제 강화 110
(2) 프랑스 친환경 에너지 정책 111
(3) 프랑스 전기자동차 보급 정책 112
(4) 프랑스 자동차 시장 현황 및 전망 113
(5) 프랑스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 115
6) 영국 118
(1) 영국 친환경 자동차 정책 118
(2) 영국 전기자동차 시장 현황 119
7) 이탈리아 120
(1) 이탈리아 자동차 시장 현황 120
(2) 이탈리아 전기차 시장 동향 122
(3) FAC의 친환경차 개발 전략 123
8) 스위스 124
(1) 스위스 친환경 정책 동향 124
(2) 스위스 전기자동차 보급 정책 125
(3) 스위스 친환경 자동차 시장 현황 126
9) 덴마크 127
(1) 덴마크 전기자동차 보급 정책 127
(2) 덴마크 전기자동차 시장 현황 128
(3) 덴마크 전기자동차 업체 동향 129
10) 벨기에 131
(1) 벨기에 전기자동차 보급 정책 131
(2) 벨기에 전기자동차 시장 현황 131
11) 폴란드 133
(1) 폴란드 자동차 시장 현황 133
(2) 폴란드 전기자동차 시장 전망 135
12) 크로아티아 136
(1) 크로아티아 전기자동차 보급 정책 136
(2) 크로아티아 전기자동차 시장 현황 138
(3) 크로아티아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 139
13) 러시아 142
(1) 러시아 전기자동차 보급 정책 142
(2) 러시아 전기자동차 시장 현황 142
(3) 러시아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 144
14) 이집트 145
(1) 이집트 전기자동차 보급 정책 145
(2) 이집트 자동차 산업 수급 현황 146
(3) 이집트 주요 자동차 관련 기업 현황 147
15) 캐나다 149
(1) 캐나다 유망산업 분야 투자 동향 149
(2) 캐나다 자동차 시장 현황 151
(3) 캐나다 전기차 시장 현황 152
16) 에콰도르 153
(1) 에콰도르 자동차 시장 현황 153
(2) 에콰도르 전기차 시장 현황 153
17) 호주 155
(1) 호주 자동차 시장 현황 155
(2) 호주 전기자동차 시장 현황 및 전망 156
18) 인도 157
(1) 인도 전기자동차 보급 정책 157
(2) 인도 전기 자동차 시장 현황 159
(3) 인도 전기자동차 배터리 시장 전망 160

Ⅱ. 고효율·중대형 이차전지 시장 동향 및 전망 165

1. 고효율·중대형 이차전지 개념 및 시장 동향 165
1-1. 고효율·중대형 이차전지의 개념 및 종류 165
1) 전지의 정의 및 분류 165
(1) 전지의 정의 165
(2) 전지의 분류 167
2) 이차전지의 개념 168
(1) 이차전지 개념 168
(2) 이차전지 생산 공정 171
(3) 이차전지 산업 분류 172
3) 이차전지의 분류 174
(1) 이차전지 물질별 구분 174
(2) 이차전지 형태별 구분 177
1-2. 고효율·중대형 이차전지 시장 동향 178
1) 이차전지 시장 환경 변화 178
2)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 동향 178
(1) 글로벌 리튬이온 이차전지 시장 전망 178
(2) 주요 기업별 리튬이온 이차전지 시장 동향 181

2. 고효율·중대형 이차전지 소재 시장 및 기술 동향 185
2-1. 이차전지 소재 시장 동향 185
1) 이차전지 소재 시장규모 및 전망 185
2) 이차전지 소재 시장 주요 이슈 186
(1) 소재업체 생산능력 경쟁과 서플라이 체인(공급망) 전략 186
(2) 유럽 내 배터리 출하량 증가 189
(3) 니켈 영향력 증가 190
2-2. 이차전지 핵심 4대 소재 동향과 전망 192
1) 양극재 194
(1) 종류 및 특징 194
(2) 이차전지 양극재 기술 동향 195
(3) 이차전지 양극재 시장 현황 199
2) 음극재 202
(1) 종류 및 특징 202
(2) 이차전지 음극재 기술 동향 205
(3) 이차전지 음극재 시장 현황 211
3) 전해액 214
(1) 종류 및 특징 214
(2) 이차전지 전해액 기술 동향 215
(3) 이차전지 전해액 시장 현황 217
4) 분리막 219
(1) 종류 및 특징 219
(2) 이차전지 분리막 기술 동향 220
(3) 이차전지 분리막 시장 현황 222
2-3. 이차전지 생산 장비 시장 동향 224
1) 이차전지 생산 공정별 장비 동향 224
(1) 전극 공정 장비 224
(2) 조립 공정 장비 225
(3) 활성화 공정 및 기타 장비 226
2) 이차전지 생산 장비 시장전망 227

3.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 및 시장 동향 229
3-1. 차세대 이차전지의 부상 229
1) 리튬이온전지 안전성 문제 229
2) 배터리 용량 증대 요구 230
(1) 주행가능거리 상승 230
(2) 자율주행차량 등장 231
3-2.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 및 시장 동향 232
1) 전고체전지 232
(1) 전고체전지 기술 동향 232
(2) 전고체전지 시장 동향 240
2) 리튬공기전지 242
(1) 리튬공기전지 기술 동향 242
3) 리튬황전지 246
(1) 리튬황전지 기술 동향 246
(2) 리튬황전지 시장 동향 248
4) 플렉시블전지 249
(1) 플렉시블전지 기술 동향 249
(2) 플렉시블전지 시장 동향 250
5) 프린터블전지 252
(1) 프린터블전지 기술 동향 252
6) 레독스 흐름전지 254
(1) 레독스 흐름전지 기술 동향 254
(2) 레독스 흐름전지 시장 동향 254
7) 소듐이온전지 255
(1) 소듐이온전지 기술 동향 255
(2) 소듐이온전지 시장 동향 256
8) 아연공기전지 257
(1) 아연공기전지 기술 동향 257
(2) 아연공기전지 시장 동향 257
3-3. 주요국 차세대 이차전지 개발 동향 259
1) 일본 차세대 이차전지 개발 동향 259
(1) 일본 이차전지 생산 규모 259
(2) 일본 전고체전지 개발 259
2) 중국 차세대 이차전지 개발 동향 261
(1) 중국 배터리 기술 강화 261
3) 국내 차세대 이차전지 개발 동향 262
(1) 전기차-이차전지 융합 단체 262
(2) 배터리 업체 3사, 차세대 전지 공동 연구개발 262
(3) 리튬금속 개발 프로젝트 263
3-4. 주요 기업별 전고체전지 개발 동향 264
1) 자동차 업체 전고체전지 개발 동향 264
2) 배터리·소재 업체 전고체전지 개발 동향 265
(1) 일본 업체 차세대 배터리 개발 동향 265
(2) 유럽 업체 차세대 배터리 개발 동향 266
(3) 중국 업체 차세대 배터리 개발 동향 266
(4) 미국 업체 차세대 배터리 개발 동향 267

4.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과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동향 268
4-1.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및 기술 동향 268
1) 에너지저장장치(ESS) 정의 및 구성 268
2) 에너지저장장치(ESS) 종류 269
3)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현황 271
(1) 에너지저장장치(ESS) 해외 시장 현황 271
(2) 에너지저장장치(ESS) 국내 시장 현황 272
4) 국내외 에너지저장장치(ESS) 업체 동향 274
(1) 해외 에너지저장장치(ESS) 업체 동향 274
(2) 국내 에너지저장장치(ESS) 업체 동향 280
5) 에너지저장장치(ESS) 기술 동향 285
(1) 에너지저장장치(ESS) 기술 필요성 285
(2) 에너지저장장치(ESS) 기술 분류 286
(3) 에너지저장장치(ESS) 기술개발 동향 288
4-2.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과 시장 현황 295
1)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295
(1) 폐배터리 재활용의 필요성 295
(2) 폐배터리 재활용 방안의 종류 296
(3)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297
2) 국내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 현황 301
(1) 국내 폐배터리 배출 전망 301
(2) 국내 폐배터리 Re-Use 및 Re-Cycling 사례 302
3) 해외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 현황 303
(1) BMW의 전기자동차 폐배터리 관련 사업 303
(2) Daimler의 전기자동차 폐배터리 관련 사업 305
(3) Renault의 전기자동차 폐배터리 관련 사업 306
(4) General Motors의 전기자동차 폐배터리 관련 사업 308
(5) Nissan의 전기자동차 폐배터리 관련 사업 309
(6) Toyota의 전기자동차 폐배터리 관련 사업 311
4) 국내외 폐배터리 관리제도 및 법안 현황 313
(1) 한·중·일 법률 현황 313
(2) 국내 폐배터리 관리 현황 317

Ⅲ. 이차전지 관련 기술개발 동향과 연구테마 323

1. 이차전지 관련 기술 특허 동향과 기술개발 로드맵 323
1-1. 배터리 관련 기술 특허 동향 323
1) 모바일 기기용 소형 리튬이온전지 특허동향 323
(1) 개요 323
(2) 특허 출원동향 323
2) 수송기계용 중형 리튬이온전지 특허동향 327
(1) 개요 327
(2) 특허 출원동향 327
3) 대용량 전기저장장치용 대형 리튬이온전지 특허동향 330
(1) 개요 330
(2) 특허 출원동향 330
4) 초고용량 슈퍼커패시터 특허동향 333
(1) 개요 333
(2) 특허 출원동향 333
5) 배터리 제조장비 및 측정장치 특허동향 336
(1) 개요 336
(2) 특허 출원동향 336
6) 이차전지 분리막 특허동향 339
(1) 개요 339
(2) 특허 출원동향 339
7) 이차전지용 바인더 특허동향 342
(1) 개요 342
(2) 특허 출원동향 342
8) 이차전지 전해액 첨가제 특허동향 345
(1) 개요 345
(2) 특허 출원동향 345
9) 이차전지용 파우치 특허동향 348
(1) 개요 348
(2) 특허 출원동향 348
1-2. 배터리 기술분야 중소기업형 기술 로드맵(2020-2022) 351
1) 모바일 기기용 소형 리튬이온전지 351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351
(2) 기술로드맵(2020-2022) 352
(3) 핵심요소기술 연구목표 353
2) 수송기계용 중형 리튬이온전지 354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354
(2) 기술로드맵(2020-2022) 354
(3) 핵심요소기술 연구목표 355
3) 대용량 전기저장장치용 대형 리튬이온전지 356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356
(2) 기술로드맵(2020-2022) 356
(3) 핵심요소기술 연구목표 357
4) 초고용량 슈퍼커패시터 358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358
(2) 기술로드맵(2020-2022) 358
(3) 핵심요소기술 연구목표 359
5) 배터리 제조장비 및 측정장치 360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360
(2) 기술로드맵(2020-2022) 361
(3) 핵심요소기술 연구목표 362
6) 이차전지 분리막 364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364
(2) 기술로드맵 365
7) 이차전지 전극/전해액 첨가 소재 366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366
(2) 기술로드맵 368
8) 이차전지용 파우치 369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369
(2) 기술로드맵 369

2. 이차전지 관련 핵심 기술 개발 연구테마 370
2-1. 2020년 리튬기반 차세대 이차전지 성능고도화 및 제조기술개발 370
1) 전고체전지용 6mAh/cm2 이상급 고성능 양극 전극 제조기술 개발 370
2) 50cm2 이상급 전고체전지 셀 제조장비 개발 371
3) 고효율/저비용 고체전해질 대량 합성 공법 개발 374
4) 전고체전지용 저저항 양극-전해질 복합전극 최적화기술 개발 376
5) 전고체전지용 탄소-금속 복합음극 시스템 개발 378
6)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용 저가화 원료제조 공정기술 개발 380
7) 고이온 전도성 신소재 설계 및 제조기술 개발 382
8) 30㎛ 이하의 고체전해질 막 제조기술 개발 384
9) 리튬황전지용 고에너지밀도 황전극 제조기술 개발 386
10) 고에너지밀도형 극박 음극전극 제조기술 개발 389
11) 차세대 이차전지 상용화 기술 R&D를 통한 IP 확보 391
2-2. 2020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전략 핵심소재 자립화사업 392
1) (총괄) 350Wh/kg급 세라믹 이차전지 제조를 위한 핵심 소재 개발 392
2) (1세부) 세라믹 이온전도체 기반 멀티 코어쉘 구조 650Wh/kg급 양극활물질-이온전도체 복합분말 제조 기술 개발 394
3) (2세부) 세라믹 이차전지용 7mAh/cm2급 고에너지밀도 전극 극판제조용 복합 소재 및 전극 부품 제조 기술 개발 396
4) (총괄) 중대형 이차전지용 고안전, 고신뢰성 분리막 제조기술 및 장비개발 397
5) (1세부) 리튬이온전지 안전성 개선을 위한 열파단온도 200도 이상의 다공구조 고신뢰성 분리막 제조기술 개발 399
6) (2세부) 중대형 이차전지용 고신뢰성 분리막 동시이축연신 장비 개발 및 실증 401
7) (총괄) 중·대형 폐리튬이차전지의 고효율/친환경 자원 재활용 기술 및 이차전지 원료화 기술개발 403
8) (1세부) 회수자원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습식제련 고도화기술 개발 405
9) (2세부) 중대형 폐리튬이차전지 내 유가금속 회수를 위한 고온환원용융 기술 및 농축/분리기술개발 407
10) (3세부) 회수된 유가금속을 이용한 고성능 양극소재용 물성 제어형 전구체 이차전지 원료화 기술 개발 409
11) (총괄) 미래 친환경 수송기기용 230Wh/kg 고출력 고밀도 배터리팩 개발 411
12) (1세부) 8C-RATE급 고출력(고방전율) 리튬이온이차전지 개발 413
13) (2세부) 230Wh/kg급 고출력 고밀도 배터리 패키징 기술 개발 414
14) (3세부) 배터리팩 통합설계 및 시험평가 기술개발 415
15) (총괄) 고전도성 전극용 카본소재 제조 및 응용기술 개발 416
16) (1세부) 천연가스로부터 고결정성/전도성 흑연구조를 갖는 탄소소재 개발 417
17) (2세부) 리튬이차전지용 바인더/도전재 일체형 석유계 피치 전극 제조 공정 기술 개발 419
18) (3세부) 저급염호 및 공정폐수로부터 리튬이차전지 양극재 원료용 리튬 회수를 위한
MCDI(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용 피치계 전극 소재 420
19) (총괄) 극한환경용 고기능 탄성소재 421
20) (5세부) 급속충전 이차전지용 아크릴계 전극 바인더 탄성소재 422
2-3. 2020년 시장자립형 3세대 xEV 산업육성사업 423
1) 고효율 방열/단열 열관리 소재 및 부품 적용 배터리 팩 개발 423
2) 배터리 팩 고도화를 위한 부품 경량/소형화 및 시스템 기능 통합기술 개발 426
3) xEV용 배터리시스템 충전출력 향상을 위한 충전수입성 개선 기술 개발 429
4) xEV 가격 경쟁력 및 전비 향상을 위한 용량 가변형 배터리시스템 개발 432
2-4. 2020년 기타 사업(이차전지 관련 기술) 435
1) 개인이동수단용 전기차 배터리 및 개방형 충전용 전력분배를 위한 표준화 기반조성 435
2) 레독스 흐름 전지 시스템의 선박 적용 기술 개발 438
3) 전기자동차용 냉각채널 일체화(열전도도 130W/m·k급) 배터리 모듈 케이스 주조기술 개발 441
4) 전기자동차 배터리/인버터 냉각용 전동펌프 구동모듈 다중사출 금형기술 개발 444
5) 리튬이온 기반 ESS 안전성 요구사항 및 시험방법 국제표준 개발 447
6) 전기차(eV)용 리튬이온 배터리의 무선 배터리 관리 시스템 SoC 개발 448
7) 대용량 에너지 저장용 지지체 강화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해질막 소재 개발 450
2-5. 2020년 에너지기술개발사업 453
1) 대용량 이차전지 화재안전성 시험평가 기술개발 및 검증센터 구축 453
2) ESS용 2MW급 전력변환시스템 KC 인증 기반 구축 455
3) 안전강화를 위한 EES 운전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플랫폼 개발 및 운전실증 457
4)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를 활용한 신남방국가형 ESS 제품개발·실증운영 459
5) ESS 안전 확보를 위한 실증 기반의 안전성 평가지표 개발 및 시설기준 제시 460

Ⅳ. 이차전지 주요 업체 사업 동향 465

1. 이차전지 업체 사업 동향 465
1-1. 국내 이차전지 업체 사업 동향 465
1) LG화학 465
(1) 회사 현황 465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466
2) 삼성SDI 469
(1) 회사 현황 469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469
3) SK이노베이션 473
(1) 회사 현황 473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473
1-2. 해외 이차전지 업체 사업 동향 477
1) (중국) CATL 477
(1) 회사현황 477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477
2) (중국) BYD 480
(1) 회사현황 480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480
3) (중국) Gotion High-tech 482
(1) 회사현황 482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482
4) (중국) Lishen 484
(1) 회사현황 484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484
5) (중국) EVE 486
(1) 회사현황 486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486
6) (중국) CALB 488
(1) 회사현황 488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488
7) (중국) FARASIS 490
(1) 회사현황 490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490
8) (중국) BAK 491
(1) 회사현황 491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491
9) (중국) SUNWODA 493
(1) 회사현황 493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493
10) (일본) Panasonic 495
(1) 회사현황 495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495
11) (일본) AESC 497
(1) 회사현황 497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497
12) (일본) PEVE 499
(1) 회사현황 499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499
13) (일본) LEJ 501
(1) 회사현황 501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01
14) (일본) Murata Manufacturing 503
(1) 회사현황 503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03
15) (일본) Vehicle Energy Japan 505
(1) 회사현황 505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05
16) (일본) Blue Energy 507
(1) 회사현황 507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07

2. 이차전지 소재 업체 사업 동향 509
2-1. 국내 이차전지 소재 업체 사업 동향 509
1) 포스코케미칼 509
(1) 회사 현황 509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09
2) 에코프로비엠 512
(1) 회사 현황 512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12
3) 엘앤에프 514
(1) 회사 현황 514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14
4) 코스모신소재 516
(1) 회사 현황 516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16
5) 대주전자재료 518
(1) 회사 현황 518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18
6) 천보 519
(1) 회사 현황 519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19
7) 후성 521
(1) 회사 현황 521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21
8) 솔브레인 523
(1) 회사 현황 523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23
9) 대한유화 525
(1) 회사 현황 525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25
10) 일진머티리얼즈 526
(1) 회사 현황 526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26
11) SKC 528
(1) 회사 현황 528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28
12) 엔켐 530
(1) 회사 현황 530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31
13) 피엔티 533
(1) 회사 현황 533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33
14) 디에이테크놀로지 535
(1) 회사 현황 535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35
15) 씨아이에스 538
(1) 회사 현황 538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38
16) 상아프론테크 540
(1) 회사 현황 540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40
17) 스카이이앤엠 542
(1) 회사 현황 542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42
2-2. 해외 이차전지 소재 업체 사업 동향 544
1) (벨기에) Umicore 544
(1) 회사현황 544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44
2) (중국) Beijing Easpring 547
(1) 회사현황 547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47
3) (중국) Ningbo Shanshan 549
(1) 회사현황 549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49
4) (중국) Shenzhen Capchem 550
(1) 회사현황 550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50
5) (중국) Huayou Cobalt 552
(1) 회사현황 552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52
6) (중국) BTR Energy 554
(1) 회사현황 554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54
7) (중국) SEMCORP 556
(1) 회사현황 556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56
8) (중국) Senior 557
(1) 회사현황 557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57
9) (일본) SUMITOMO METAL MINING 559
(1) 회사현황 559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59
10) (일본) NICHIA 561
(1) 회사현황 561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61
11) (일본) Toda Kogyo 562
(1) 회사현황 562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62
12) (일본) Hitachi Chemical 564
(1) 회사현황 564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64
13) (일본) JFE Chemical 566
(1) 회사현황 566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66
14) (일본) Nippon Carbon 568
(1) 회사현황 568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68
15) (일본) MITSUBISHI CHEMICAL 569
(1) 회사현황 569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69
16) (일본) Tomiyama Pure Chem 570
(1) 회사현황 570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70
17) (일본) Ube Industries 571
(1) 회사현황 571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71
18) (일본) Asahi Kasei 573
(1) 회사현황 573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73
19) (일본) TORAY 575
(1) 회사현황 575
(2) 이차전지 사업 동향 575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