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시대를 극복할 지혜를
의학사에서 찾는다!”
‘글 쓰는 의사’ 이재담 서울 아산 병원 교수가
3개의 키워드, 217편의 에피소드로
풀어낸 의학의 역사
손 가는 대로만 읽어도 어느새 의학의 역사에 정통해지는
새로운 형식의 의학사
2019년 12월 31일, 중국 후베이 성 우한에서 처음 보고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 ‘치료법 없는 전염병’은 지금(2020년 6월 17일)까지 누적 확진자 수 800만 명, 사망자 44만 명을 넘어서며 전 세계적으로 유행(pandemic)하고 있다.
다대한 희생을 치른 후 집단 면역 형성되는 것이 먼저일지, 아니면 백신 개발이 먼저일지 인류의 집단 지성이 시험대에 오른 ‘코로나19’ 시대. 이를 극복할 열쇠는 결국 의학의 역사에 있다. 중세 유럽의 봉건제를 무너뜨린 흑사병, 17세기 남아메리카 원주민을 몰살시켰던 천연두, 1918년의 스페인 독감 유행처럼 문명사적 전환을 불러온 전염병에 대응했던 과거의 의학을 알아야, 내일의 의학이 어디로 향해야 할지를 추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몸이 아플 때가 아니면 병원과 관계되는 것 자체가 꺼려지는 일인 일반 대중에게 의학, 그중에서도 의학의 역사를 흥미 있게 풀어내는 일이 과연 가능할까? 한국에서 이 작업을 시도했던 선구자로는 울산 대학교 의과 대학에서 인문 사회 의학 교실 교수로 재임하며 제10대 의과 대학장을 역임했던 이재담 서울 아산 병원 교수가 꼽힌다. 이재담 교수는 1979년 서울 대학교 의과 대학 졸업 이후 40년간 의업에 몸을 바치며 울산 의대에서 1,000명의 제자를 길러 낸 의학사 교육의 권위자이면서, 전국 유수의 의과 대학에 의학사 기본서로서 채택된 『의학의 역사』 외 다수의 저서를 저술하고 《조선일보》와 《문화일보》에서 일반인을 위한 의학사 컬럼을 오랫동안 연재한 ‘글 쓰는 의사’이기도 하다.
이번에 ㈜사이언스북스에서 출간하는 에피소드 의학사 3부작(『무서운 의학사』, 『위대한 의학사』, 『이상한 의학사』)은 이재담 교수가 20년 동안 각종 매체에 연재했던 글 217편을 ‘무서운’, ‘위대한’, ‘이상한’이라는 3개의 키워드로 집대성해 의학의 역사에 입체적으로 접근하는 기획이다. 2~3쪽 분량의 짧은 에피소드라는 새로운 형식으로 구성되어 부담 없이 시간 날 때마다 손 가는 대로 펼쳐 보기만 해도 의학이 무수한 희생자를 만들어 내던 시대로부터 어떻게 지금의 모습으로 정립되었나를 저절로 알게 되는 이 3부작은 의학사에 가진 대중의 고정 인식을 타파하고, 의업의 꿈을 품은 젊은 독자에게 도움을 줌과 동시에, 하루가 다르게 발전해 나가는 의학을 이해하고 미래에 닥쳐올 의료 환경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게 하는 길잡이가 될 것이다.
3권 개요
소름끼치고 기상천외한 사건들이 이어지는 의학사
매독을 수은으로 치료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환자의 온몸에 수은 연고를 바른 다음 더운 방에 넣고 모포를 뒤집어 씌워 땀을 내는 것이었다. 수은 연고는 피부의 궤양에 닿으면 극심한 통증을 유발했고 입과 코, 목 등에 생긴 궤양에서는 수은 증기에 의한 분비물이 흘러나왔다. 치료는 보통 20~30일 동안 지속되었는데 방이 뜨거울수록 나쁜 체액이 많이 배출되어 병이 빨리 낫는다고 생각했다. 당연히 치료 중에 사망하는 환자도 있었는데 어떤 치료사는 방을 너무 뜨겁게 데워서 하루에 3명을 연달아 죽이기도 했다고 한다.
-53장 「수은에서 살바르산까지」에서
에피소드 의학사 시리즈를 마무리하는 3권 『이상한 의학사』의 주인공은 지금은 대수롭지 않게 여겨지지만 수백 년 전에는 사람의 목숨을 좌지우지했던 질병, 미신과 마법과 무지가 낳은 기상천외한 약과 의료 행위, 자신만의 신념을 지켰던 괴짜 의사들이다.
워털루 전투와 유럽 대륙의 운명을 결정했던 황제의 치질, 종교 개혁가 마르틴 루터를 죽음의 지경까지 몰고 갔던 요로 결석, 어린아이도 헤로인과 모르핀을 감기약으로 약국에서 쉽게 살 수 있었던 19세기 유럽의 풍조가 맞은 결말, 염소 고환을 이식하면 젊음을 되찾을 수 있다고 믿었던 사람들, 비타민 C가 암을 고친다고 선전했던 노벨상 수상자 등, 웃기지만 마냥 웃을 수만은 없는 72편의 에피소드가 이상한 병·약·의사·의료라는 4개의 카테고리로 나뉘어 수록되어 있다. 현대인의 눈에는 황당무계하게만 보이는 실수와 목숨을 건 실험들이 결국에는 의학의 발전으로 이어지는 길이었음을, 이 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