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문 | 당신의 집은 안녕하신가요?
1부 왜 시니어 공유주택인가?
1. 후반생을 살기 위한 집과 주거에 대한 고민
2. 시니어 비즈니스는 없다. 시니어를 위한 집도 없다
3. 잊힌 단어 ‘공동체’
4. 왜 공동체주택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가?
5. 시니어 공동체주거 국내외 사례
2부 공동체? 대체 누구와 함께 살 수 있을까?
1. 전통적 가족의 해체
2. 우리는 비정상(?) 가족
3. 아는 사람? 모르는 사람?
4. 관계와 경계
시니어 주거토크1 | 『 식구의 탄생』(EBS)
3부 삶의 전환이 우선이다
1. 왜 지금 ‘전환’을 이야기하는가?
2. 의식의 전환
3. 중심의 전환
4. 가치의 전환
5. 목표의 전환
6. 일의 전환
시니어 주거토크2 | 『 마흔 이후 누구와 살 것인가』(심플라이프)
4부 함께라서 즐거운 ‘행복한 집짓기’
1. 공동체주택의 확산이 더딘 이유
2. 공동체주택은 ‘위험한 집‘
3. 지금 시작하라
4. 고독력과 공동체주거 적합도
5. 공동체와 갈등
6. 법적 계약(규약)의 필요성
7. 프로슈머
8. 전문 코디네이터를 활용하라
9. 입주 후 삶을 준비하라
시니어 주거토크3 | 『 브루클린의 멋진 주말』
5부 쫌 앞서가는 가족들을 기다리며
1. 도시에서 나이 든다는 것
2. 공동체주거를 하는 사회적 가족의 미래
| 부록1 | 공동체주거 적합도 테스트
| 부록2 | 공동체주택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 부록3 | 공동체주택 설립 및 운영에 관한 계약서(임대형)
| 부록4 | 공동체주택 설립 및 운영에 관한 계약서(지분공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