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1559년 라틴어 최종판 직역 기독교 강요 2 (양장)

1559년 라틴어 최종판 직역 기독교 강요 2 (양장)

  • 존칼빈
  • |
  • 생명의말씀사
  • |
  • 2020-06-25 출간
  • |
  • 512페이지
  • |
  • 150 X 225 mm
  • |
  • ISBN 9788904020935
판매가

29,000원

즉시할인가

26,1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6,1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첫째, 라틴어 원전을 충실하게 직역하여 최대한 원문의 정확한 의미를 살렸습니다. 한 단어도 빠짐없이 본래의 뜻이 드러나도록 번역했습니다. 우리말의 용례에 어긋나지 않는 한 품사와 태를 그대로 살렸으며, 칼빈의 여러 수사적 기법을 참작하여 우리말로 구현하고자 했습니다.
둘째, 칼빈신학에 따른 번역을 하였습니다. 자구(字句)대로 번역하되, 문맥을 정확히 파악한 후 그 뜻에 맞게 번역하였습니다. 각 권의 주제에 따라 등장하는 신학 용어들에 대해 각기 신학적 정의를 내린 후 엄정하게 일관적으로 사용했습니다.
셋째, 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해 70여 면의 역자 해설을 수록했습니다. 성경 교사, 해석자, 수호자의 삶을 산 칼빈의 생애와 신학, 그의 신학을 집대성한 『기독교 강요』의 역사와 의의를 상세한 주해와 함께 논함으로써 본서의 내용과 목적을 보다 잘 이해하도록 했습니다.
넷째, 5,200여 항목에 달하는 각주를 달았습니다. 각종 인용문의 출처를 밝혔으며, 신학적 통찰이 필요한 경우 해설과 함께 관련 저술들을 소개했습니다. 또한 주요 원문을 기재하여 역문과 함께 읽음으로써 어의와 문맥을 더욱 분명히 이해하도록 했습니다.
다섯째, 3,500여 단어의 라틴어 용어집을 부가했습니다. 각 단어에 고유한 뜻을 매겨 엄정하게 번역하고자 정리한 라틴어 단어 해설을 실었습니다. 신학 용어뿐 아니라 접속사와 전치사의 의미 등도 확정함으로 본문을 칼빈의 용례에 비추어 일관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했습니다.
여섯째, 각 장의 절들에 제목을 달고 맥락에 따라 묶어 장 서두에 실었습니다. 단지 소재(素材)를 밝히는 데 그치지 않고 주제(主題)를 제시하는 데 주안점을 두어 제목만 보고서도 해당 절과 장의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일곱째, 성구 색인을 수록했습니다. 본서가 성경 주석과 함께 읽히기를 원한 칼빈의 의사를 받들어, 본문에 관련된다고 여겨지는 성구를 낱낱이 본문에 표시하고자 했으며 권말에 모두 모아 수록했습니다.


목차


약어


제2권
처음에는 율법 아래에서 조상들에게,
이후로는 복음 안에서 우리에게 드러난,
그리스도 안에서 구속주 하나님을 아는 지식
DE COGNITIONE DEI REDEMPTORIS IN CHRISTO,
QUAE PATRIBUS SUB LEGE PRIMUM,
DEINDE ET NOBIS IN EVANGELIO PATEFACTA EST

제1장 아담의 타락과 배역(背逆)으로 모든 인류가 저주에 넘겨졌으며 그 시원(始原)으로부터 멀어졌는데, 이는 원죄와 관련됨
Adae lapsu et defectione totum humanum genus maledictioni fuisse addictum, et a prima origine degenerasse; ubi de peccato originali
1. 창조, 타락, 회복을 통한 우리 자신을 아는 지식
2. 선천적 교만으로 인해 끝내 무지에 빠지고 만 인류
3. 해야 할 일과 그것을 행할 수 없음에 대한 인식
4. 아담의 불충에 따른 불순종의 죄
5. 생래적 원죄
6. 모방으로 습득되는 것이 아니라 모태에서 조성될 때 전가되는 죄
7. 타락한 본성으로부터 나오는 사망의 죄책
8. 원죄의 죄과와 그로 말미암는 죄책 그리고 그 열매들
9. 사람을 구성하는 영혼과 육체의 모든 부분이 타락함
10. 사람의 타락은 자초한 본성의 타락에서 비롯됨
11. 사람의 본성적 사악함은 본성에서 기인하지 않음

제2장 사람은 이제 의지의 자유를 강탈당한 채 비참한 노예 상태로 넘겨졌음
Hominem arbitrii libertate nunc esse spoliatum et miserae servituti addictum
1. 자유의지 문제를 논하는 당위성
2. 지각과 오성과 이성: 영혼의 기능에 대한 철학자들의 견해
3. 오성을 지도하는 이성에 종속된 의지의 자유에 대한 철학자들의 공통된 신뢰
4. 아우구스티누스를 제외한, 자유의지에 대한 교회 저술가들의 입장의 난맥상
5. ‘의지’와 ‘자유’에 대한 이견들
6. 그나마 좀 더 건전했던 스콜라주의자들의 오류
7. 사람이 자유로운 선택으로 행악함을 지적한다고 해서 자유의지를 인정하는 논거가 될 수 없음
8. 타락한 인류에게 은총이 없다면 자유의지가 존재하지 않음: 아우구스티누스의 견해
9. 몇몇 교부들의 자유의지에 대한 올바른 입장
10. 사람에게 없는 것을 하나님께로부터 찾아야 함
11. 오직 하나님의 은혜에만 의지하는 참된 겸손
12. 남아 있으나 부패한, 영혼의 본성적 기능: 이성과 의지와 오성
13. 지상의 사안들과 천상의 사안들에 대한 오성의 기능
14. 예술: 모든 사람에게 은혜로 주어지는 보편적 선
15. 타락 후에 하나님이 자기의 영으로 사람에게 주신 선물들
16. 순수하게 부여되었으나 인류의 타락으로 인하여 순수함을 그친 자연적 선물들
17. 다양하게 남아 있는 하나님의 형상의 표지들
18. 세 가지 영적 통찰에 있어서 우리 이성의 한계
19. 하나님과 하나님께 속한 것에 관한 영적인 우매함
20. 성령의 특별한 조명이 없으면 본성의 빛으로 하나님을 알 수 없음
21. 말씀을 우리 마음에 가르치시는 진리의 영의 비췸이 없으면 우리의 눈은 그 자체로 멀어 있음
22. 모든 사람의 양심에 새겨진 자연법을 통하여 하나님의 규범을 아는 지식
23. 지식에 기초한 오성의 판단이 항상 선에 이르는 것은 아님
24. 자연인의 이성은 율법과 관련하여 첫 번째 판에 대해서는 눈이 멀어 있고 두 번째 판에 대해서는 겉만 보고 있음
25. 성령의 조명으로 매 순간 마음의 문이 열리지 않으면 이성은 고유한 기능을 할 수 없음
26. 자연적 욕구와는 달리 의지의 자유에는 성령의 자극이 필요함
27. 중생한 자가 자유의지로 선을 행함에 이르는 것은 오직 성령의 은혜로 말미암음

제3장 부패한 사람의 본성으로부터는 정죄할 것 외에는 아무것도 나오지 않음
Ex corrupta hominis natura nihil nisi damnabile prodire
1. 타락한 본성상 육체의 헛됨
2. 로마서 3장에서 전하는 인류의 타락상: 육체에는 부분적으로 생기가 남아 있으나 영혼에는 전적으로 선이 결여되어 있음
3. 하나님이 모든 사람에게 베푸시는 은혜는 각자의 본성을 억제하는 데 그칠 뿐 그것을 내적으로 정결하게 하지는 않음
4. 하나님의 특별한 은혜가 없으면 하나님의 심판좌 앞에서 본성의 덕성은 그 자체로 아무것도 아님
5. 타락한 인류는 필연적으로 그러나 강제 없이 자원적으로 죄를 범함
6. 회심의 의지를 비롯한 구원의 전 과정은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음
7. 은혜는 의지와 합력해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의지조차 일으킴
8. 우리 마음에서 나오는 모든 선한 것은 그것이 의지이든 믿음이든 하나님의 은혜에서 비롯됨
9. 기도를 통하여 하나님이 친히 행하시는 은혜를 구함으로 선한 일을 이룸
10. 하나님은 의지를 부여하실 뿐만 아니라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하심
11. 첫 번째 은총을 부여하신 주님이 계속적으로 은총을 배가하셔서 우리가 선을 행하게 하심
12. 은혜는 사람의 의지를 협력자로 삼지 않고 그것의 효과적 원인자가 됨
13. 의지는 은혜로 만들어지므로 의지에 따른 선행은 은혜의 열매이자 효과임
14. 사람의 의지는 자유로 은혜를 얻는 것이 아니라 은혜로 자유를 얻음

제4장 하나님이 사람의 마음에 역사하시는 방식
Quomodo operetur Deus in cordibus hominum
1. 자연인은 필연적으로 죄를 짓는 만큼 자원해서 죄를 지음
2. 한 사안에 함께 돌려지는 하나님, 사탄, 사람의 일
3. 하나님이 사탄의 일꾼들의 마음을 완고하게 하시는 것은 단지 그의 예지나 허용이 아니라 역사임
4. 여호와는 친히 대적의 마음을 강퍅하게 하셔서 도구로 사용하심으로써 자기 백성에 대한 자기의 뜻을 이루심
5. 하나님이 사탄과 불경건한 자들을 사용하셔서 자기의 일을 이루시는 고유한 방식
6. 하나님은 우리의 외적 활동에 있어서도 의지의 작용을 주장하심
7. 하나님은 자유의지를 만들어 주시고 그 기능조차 다스리심
8. 자유의지 논쟁은 행위의 결과가 아니라 행하고자 하는 마음의 선택과 성향에 관련됨

제5장 통상 자유의지를 변호하기 위하여 제기되는 이의들에 대한 반박
Obiectionum refutatio, quae pro defensione liberi arbitrii afferri solent
1. 첫째 이의에 대한 반박: 의지의 노예 상태에서 모든 사람은 필연적이나 자원해서 죄를 지음
2. 둘째 이의에 대한 반박: 하나님의 은혜로부터 성도의 공로가 존재하며 그 공로에 대한 상급도 은혜로 주어짐
3. 셋째 이의에 대한 반박: 타락 후 모든 사람이 악하나 어떤 사람은 하나님의 은사로 악을 떠나 선 가운데 끝까지 견인함
4. 넷째 이의에 대한 반박: 성도는 교훈과 책망과 권고로 가르침을 받아 새롭게 변화되어 가면서 선을 행함
5. 전적인 은혜 아래서도 권고가 필요함
6. 하나님의 규범들은 우리 능력의 잣대가 아닐뿐더러 우리 능력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
7. 율법의 명령에는 그 규범 혹은 교훈이 은혜로 이루어진다는 약속이 함께 있음
8. 우리는 오직 은혜로 하나님께로 회심하고, 그의 명령을 지키며, 마지막 날까지 인치심을 받음
9. 회심의 결과를 낳는 일이 하나님과 우리 사이에 반분되지 않음
10. 하나님이 베푸실 은혜의 약속들은 우리의 의지에 부응해서 주어지는 것이 아님
11. 하나님은 오직 은혜로 우리 안에서 죄를 물리치시고 선한 일을 행하시되 그 가운데 우리를 질책하여 돌이키게 하시고 우리를 권고하여 노력을 다하게 하심
12. 율법에는 교훈과 함께 복음의 약속이 함의되어 있음
13. 하나님은 한동안 어떤 자들을 내버려 두심으로 그들 안에서 능력을 찾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은혜를 간구할 때까지 기다리고자 하심
14. 우리는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로 일하게 될 뿐만 아니라 우리가 일함
15. 우리에게 은혜로 부여된 자유의지로 말미암아 하나님이 우리 안에서 은혜로 행하시는 일이 우리의 것이라 일컬어짐
16. 가인에게는 스스로 자기 죄를 다스릴 힘이 없었음
17. 우리가 선행을 원하고 이를 위하여 달음박질함은 오직 긍휼히 여기시는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음
18. 사람은 선하게 지음을 받았으나 타락하여 스스로 선을 행할 수 없게 되었음
19. 타락한 인류는 거의 죽은 것이 아니라 완전히 죽었음

제6장 타락한 인류는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을 찾아야 함
Homini perdito quaerendam in Christo redemptionem esse
1. 유일하신 중보자 생명의 주 그리스도의 필연성
2. 구약 백성들이 믿은 기름부음받은 자 중보자 그리스도
3. 영원한 언약의 머리로서 오실 중보자 그리스도에 대한 예언들
4. 아들을 믿음으로 아버지를 믿음

제7장 율법은 그 자체 안에 구약 백성을 제한시키려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 안에 있는 구원의 소망을 그가 오실 때까지 함양시키려고 부여되었음
Legem fuisse datam, non quae populum veterem in se retineret, sed quae foveret spem salutis in Christo usque ad eius adventum
1. 경건하고 올바른 삶의 규범으로서의 언약의 율법
2. 그리스도의 은혜로 옷 입혀진 율법
3. 사람은 율법 준수로 그 완전한 의에 이를 수 없음
4. 하나님의 선하심이 없다면 율법의 약속은 헛됨
5. 완전한 율법 준수는 불가능함
6. 의를 드러내어 불의를 정죄하는 율법의 첫 번째 용법
7. 율법은 하나님의 의를 드러냄으로써 우리의 불의를 정죄하나 이로써 율법의 가치를 떨어뜨리지는 않음
8. 율법의 교훈을 통한 정죄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안에서 은혜를 베푸시는 자비로운 하나님께로 도망침
9. 율법은 할 수 없는 것을 명령하여 우리의 연약함을 드러냄으로써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의 은혜를 탄원하게 함
10. 형벌에 대한 두려움으로 외형적으로나마 죄를 억제하는 율법의 두 번째 용법
11. 율법은 성령으로 거듭나기 전의 사람들을 성령을 받아 참 경건에 이를 때까지 억제시킴
12. 중보자를 통하여 신자들에게 가르침과 권고로 작용하는 율법의 세 번째 용법7
13. 율법은 성도가 지상에서 수행해야 할 직분과 상응하는 삶의 규범을 드러냄
14. 그리스도 안에서 불가침한 율법의 가르침과 권고
15. 그리스도의 은혜로 폐하여진 것은 율법 자체나 그 권위가 아니라 죄로 인하여 야기된 율법에 대한 노예 상태임
16. 의식들은 그 몸인 그리스도의 오심으로 준수가 폐지되었으나 그 거룩성은 조금도 감해지지 않음
17. 성경은 단지 의식들의 폐지가 아니라 그리스도 안에서의 성취를 증언함

제8장 도덕법 설명
Legis moralis explicatio
1. 십계명으로 내적인 법이 기록되게 하심
2. 본성의 정욕에 따른 필연적인 불순종이라고 해서 변명할 수 없음
3. 율법의 가르침으로 겸손하게 낮아져 하나님의 자비를 간구함
4. 율법의 약속들과 위협들에 내포된 복들과 저주들
5. 율법이 가르치는 절대적 의는 항구적이므로 새로운 율법은 없음
6. 입법자의 뜻에 따른 영적 해석
7. 최고의 율법 해석자 그리스도
8. 용어들의 한계를 넘어서는 제유법적 해석
9. 율법을 통한 금지는 악행의 제한에 그치지 않고 선행을 명령함
10. 가장 대표적인 악행을 적시하여 전체를 표상함
11. 두 판에 새겨진 율법의 의미
12. 십계명을 두 판으로 구분하는 법
제1계명
13. 입법자이신 ‘여호와’의 이름으로 논증되는 율법의 엄위
14. “나는 네 하나님 여호와니라”
15. “너를 애굽 땅, 종 되었던 집에서 인도하여 낸”
16.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두지 말라”
제2계명
17. 하나님을 대체하는 가시적 형상들은 만들지도 말고 섬기지도 말라
18. 우상 숭배에 대한 징계
19. 삼사 대에 이르도록 죄를 갚으심
20. 자녀들에게 임하는 징벌은 궁극적으로 그들 자신의 죗값을 치르는 것이므로 하나님의 의에 배치되지 않음
21. 천 대에 미치는 하나님의 자비
제3계명
22. 하나님의 이름에 대한 합법적인 사용
23. 하나님을 불러 증인으로 삼는 합당한 맹세
24. 여호와의 이름으로 하는 거짓된 맹세는 그를 욕되게 함
25. 무익한 맹세는 합당하지 않음
26. 헛되이 맹세하는 것을 금함
27. 적법적인 필요성을 채우는 사적인 맹세의 유효함
제4계명
28. 영적인 쉼의 의미
29. 여호와가 우리 가운데서 일하시게끔 우리의 일을 그치고 쉼
30. 일곱째 날의 의미
31. 안식일의 순수한 실체로서 실제이신 그리스도
32. 품위와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한 날을 정하여 지키게 하심
33. 주일이 제정된 이유
34. 안식일의 목적이자 완성으로서의 주일의 의미
제5계명
35. 하나님이 영예를 부여하신 자들에 대한 복종이라고 넓게 해석함
36. 윗사람에게 마땅히 돌려야 할 영예에는 공경, 순종, 감사의 세 요소가 있음
37. 약속이 있는 첫째 계명
38. 주 안에서 부모에게 순종하라
제6계명
39. 살인을 금함에 대한 광의적이고 적극적인 해석
40. 살인은 모든 사람에게 부여된 하나님의 형상과 그것을 담고 있는 육체와 나아가서 영혼을 해치는 것

제7계명
41. 간음을 금함에 대한 광의적이고 적극적인 해석
42. 차별적으로 부여되는 동정의 은사
43. 결혼의 명령
44. 부부간에 요구되는 영혼과 육체의 정숙
제8계명
45. 도둑질을 금함에 대한 광의적이고 적극적인 해석
46. 하나님이 제정하신 이웃에 대한 의무를 수행하지 않는 것은 도둑질
제9계명
47. 이웃에 대한 거짓 증언을 금함에 대한 광의적이고 적극적인 해석
48. 이웃의 선한 이름을 입으로뿐만 아니라 마음으로도 지킴
제10계명
49. 이웃에 대한 탐심을 금함에 대한 광의적이고 적극적인 해석
50. 영혼에 있어서의 탐심을 금함과 함께 사랑을 명령함
51. 율법 전체의 목적: 하나님에 대한 사랑과 이웃에 대한 사랑
52. 성경에서 때때로 두 번째 판의 계명들만 언급하는 이유
53. 하나님에 대한 예배와 경외와 믿음은 이웃에 대한 사랑과 분리되지 않음
54. 이웃을 내 자신같이 사랑함
55. 인류 전체가 이웃
56. 하나님의 계명은 그 어떤 것도 스콜라주의자들이 말하는 ‘권고’가 아님
57. 하나님의 은혜는 계명을 전제하는 것이지 ‘권고’에 따르는 것이 아님
58. 모든 죄의 삯은 사망이므로 스콜라주의자들이 말하는 ‘소죄’는 논할 가치가 없음
59. 모든 죄는 죽을 죄이므로 ‘대죄’를 특정하는 것은 광란임

제9장 그리스도는 율법 아래의 유대인들에게도 알려지셨으나 오직 복음에 분명히 제시되셨음
Christum, quamvis sub lege Iudaeis cognitus fuerit, tamen in evangelio demum exhibitum fuisse
1. 동일하신 그리스도가 옛날에는 그림자로 지금은 빛으로 나타나심
2. 복음, 그리스도 안에서 제시된 은혜의 공표
3. 율법 아래서의 약속과 복음 아래서의 약속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임
4. 복음은 율법과 다른 구원의 질서를 제시하지 않음
5. 세례 요한의 사역 | 325

제10장 구약과 신약의 일치성
De similitudine veteris et novi testamenti
1. 신구약의 일치성과 차이성을 함께 고찰
2. 구약과 신약은 실체에 있어서는 하나이며 동일하나 경륜에 있어서는 다양함
3. 복음에 대한 약속들이 율법에 인친 바 된 것처럼, 구약도 미래의 불멸하는 삶을 지향함
4. 구약도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자비로 부여되는 영생을 목적으로 함
5. 구약 성례들은 그리스도를 의미로서 제시함
6. 만나가 제시하는 의미는 참된 양식인 그리스도의 몸
7. 구약 백성도 말씀을 통하여 영생의 복을 누림
8. 여호와를 자기 하나님으로 삼는 백성의 복을 동일하게 누림
9. 구약 백성 역시 죽음 후에도 계속되는 영원한 복을 소망함
10. 지상의 행복에 안주하지 않고 그 너머의 삶을 바라보게 하는 계속적인 훈련
11. 현세의 고난을 이겨낸 아브라함의 믿음
12. 이삭과 야곱의 험악한 지상의 삶 가운데서의 믿음
13. 거룩한 조상들도 죽음 후의 열매를 바라봄
14. 죽음에는 생명의 시작이 있음
15. 다윗이 고백하는 여호와의 영원한 복
16. 경건한 자들의 번성과 고난이 지닌 현세 너머의 의미
17. 마음을 들어 올려 현세 후에 뒤따르는 새로운 삶을 바라봄
18. 의인들의 마지막 출구는 영원한 생명과 구원
19. 욥이 바라본 죽음 이후의 불멸성
20. 선지자들은 현세의 것들로써 미래의 영적 삶을 표상함
21. 에스겔의 환상을 통한 이스라엘의 회복 그 이상의 예언
22. 미래의 불멸을 예언하는 다른 말씀들
23. 구약 백성에게도 그리스도 안에서 영적이고 영원한 삶을 약속함

제11장 구약과 신약의 차이점
De differentia unius testamenti ab altero
1. 첫 번째 차이: 옛날에는 땅에 속한 소유를 통하여 하늘의 기업을 바라봄
2. 초등 학문 아래에 있던 구약 성도들에게 주신 지상의 복은 불멸하는 하늘 상급을 바라보게 하는 모형
3. 이 땅에서의 육체적 형벌도 영원한 심판을 표상
4. 두 번째 차이: 형상과 그림자를 통하여 구약에 예표된 것의 실체이자 몸이신 그리스도가 신약에 제시됨
5. 초등 교사의 훈육을 거쳐 그리스도의 복음에 이름
6. 구약의 성도는 믿음과 지식이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초등 학문에 위탁됨
7. 세 번째 차이: 율법과 복음 각각의 고유한 기능을 차별화시켜 옛 언약과 새 언약을 대조
8. 새 언약은 옛 언약보다 은혜가 더 풍성함
9. 네 번째 차이: ‘예속 언약’과 ‘자유 언약’
10. 율법의 희미한 경륜과 복음의 명료한 경륜
11. 다섯 번째 차이: 이스라엘로부터 모든 민족에로 은혜의 언약이 확산됨
12. 이제 이방인들을 유대인들과 동등하게 부르심
13. 다양한 세대에 맞추어 주신 하나님의 경륜
14. 표징은 다르나 실체는 동일함

제12장 그리스도는 중보자의 직분을 성취하시기 위하여 사람이 되셔야 하셨음
Christum, ut mediatoris officium praestaret, oportuisse fieri hominem
1. 신인 양성의 중보의 필연성
2. 우리의 것을 취하시고 자기의 것을 우리의 것으로 삼으심
3. 인성에 따라서 죽음을 죽으시고 신성에 따라서 죽음을 죽이심
4. 성육신의 목적: 대속을 통하여 화목을 이루심
5. 타락이 없었어도 성육신이 있었을 것이라는 오지안더의 견해 비판
6. 사람은 누구의 형상에 따라 창조되었는가?
7. 무엇을 위하여 하나님의 아들이 사람이 되셨는가?

제13장 그리스도는 인간 육체의 참 실체를 입으셨다
Christum veram humanae carnis substantiam induisse
1. 우리의 죄를 사하시기 위하여 우리와 동일한 사람이 되심
2. 그리스도의 육체를 환영이나 천상의 것으로 보는 마르키온과 마니의 후예들 비판
3. 동정녀 마리아의 몸으로부터 나심
4. 죄 있는 육신의 모양으로 죄 없이 거룩하게 나심

제14장 두 본성이 중보자의 인격을 형성하는 방식
Quomodo duae naturae mediatoris efficiant personam
1. 한 인격 가운데 양성의 속성 교통
2. 성경에 증언된 속성 교통의 다양한 양상
3. 신성과 인성을 동시에 아우르는 말씀들
4. 양성의 분리도 혼합도 아님
5. 아들의 영원한 나심과 역사적인 위격적 연합
6. 그리스도의 자성: 하나님의 아들이심과 사람의 아들이심
7. 영원하신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가 육체에 따라서 나타나심
8. 새로운 유티케스인 세르베투스

제15장 그리스도가 아버지로부터 보냄을 받으신 목적과 그가 우리에게 베푸신 것이 무엇인지를 알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 안에서 선지자직, 왕직, 제사장직 세 가지를 살펴보아야 함
Ut sciamus quorsum missus fuerit Christus a patre, et quid nobis attulerit, tria potissimum spectanda in eo esse, munus propheticum, regnum et sacerdotium
1. 선지자로 오실 메시아에 관한 예언
2. 그리스도를 떠나서는 유익한 지식이 없음
3. 그리스도의 왕권의 영원함
4. 영의 선물들을 채워 주심으로써 다스리심
5. 아들을 통한 아버지의 왕권 수행
6. 제사장이시자 제물이 되신 그리스도의 중재

제16장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과 승천, 그가 구속주의 역할을 완수하셔서 우리를 위하여 구원을 획득하신 방식
Quomodo redemptoris partes impleverit Christus, ut nobis salutem acquireret; ubi de morte et resurrectione eius agitur, et in coelum ascensu
1. 그리스도는 값을 무르고 우리를 사신 구속주로서 구원주이심
2. 그리스도 안에서 화목하게 된 하나님의 반목
3. 그리스도 안에서 선행(先行)하는 하나님의 사랑
4. 옛 교회의 증언
5. 전 생애의 순종을 통한 대속, 빌라도 아래에서 징계받으심
6. 십자가에 달리심: 우리 죄의 값을 무르심
7. 죽으시고 장사되심
8. 지옥 강하와 사도신경
9. 내려가심이 아니라 그의 영의 능력이 먼저 죽은 자들에게도 작용함
10. 죽음의 고통을 감당하심
11. 죽음의 고통과 싸우시고 이기심
12. 주님의 영혼의 고난에 대한 오해들
13. 그리스도의 부활의 의의와 열매
14. 승천: 영적 현존을 통한 실제적 통치의 시작
15. 재위(在位, 보좌 우편에 앉으심): 통치의 계속
16. 재위의 세 가지 유익
17. 마지막 날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러 다시 오심
18. 심판의 놀라운 위로
19. 그리스도가 모든 것의 곳간과 샘

제17장 그리스도의 공로로 우리가 하나님의 은혜와 구원을 누린다는 말은 올바르고 적합함
Recte et proprie dici Christum nobis promeritum esse gratiam Dei et salutem
1. 하나님의 사랑과 그리스도의 공로
2.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사랑하시는 방식
3. 하나님의 진노를 유화시킨 그리스도의 공로
4. 그리스도의 대리적 속죄
5. 그리스도의 죽음의 값, 그 의의 전가
6. 자기 자신을 위하여 공로를 취하지 않으심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