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결혼과 출산은 내가 알아서 할게”
비혼이 아니라 미혼입니다
요즘 30대 중후반인데도 결혼 전이라고 말하면 열에 아홉은 이렇게 묻는다. “혹시 비혼주의세요?”. ‘비혼’은 최근 몇 년간 유행처럼 번지면서 혼자 자유롭게 사는 젊은이들의 삶의 방식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미혼과 비혼이라는 말에는 큰 차이가 있다. 미혼은 혼인 상태가 아님을 뜻하고, 비혼은 혼인할 의지가 없음을 뜻하는 말이다. 비혼을 선택한 이들은 결혼과 출산으로부터 자유로우며, 개인의 욕구 충족을 삶의 1순위로 둔다는 점에서 혹자는 이기적이라고 말하기도 하고, 또 누군가는 커리어, 경제적 능력 등이 뛰어나야 한다고 여긴다. 자발적으로 택한 비혼의 삶에 언제부턴가 강요와 압박이 덧씌워지게 된 것이다.
하지만 비혼이든 미혼이든 결혼하지 않은 30대 중후반 여자들의 삶을 함부로 재단하면 안 된다. 그저 삶의 경험이 다를 뿐이고, 꼭 어떤 경험을 해야만 그 인생이 더 값지고 소중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결혼의 유무든 출산의 경험이든 각자 삶의 방식이 있는 것이고, 우리는 그것을 성별과 나이의 잣대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무엇보다 결혼하지 않은 삶을 멋대로 ‘비혼’이라 칭하지도 말아야 한다. 그것은 누군가에게 무례와 강요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이 때문에 연애에서 을이 되진 말자”
나이들수록 연애 난이도가 높아지는 이유
대부분의 일은 하면 할수록 익숙해지지만, 반대로 더 어려워지는 것도 있다. 바로 ‘연애’다. 연애는 경험이 쌓인다고 해서 쉬워지지 않는다. 문제는 안 그래도 어려운 연애가 30대 중후반 여자에게는 거의 난이도 별 다섯 개 수준이 되어버린다. 나이 때문에 결혼 조급증이 더해진 연애는 결코 간단해질 수 없다. 결혼 조급증이 생긴 연애는 이런 것들이다. 예컨대 상대가 마음에 들지 않고 확신이 없어도 연애를 끝내지 못하거나, 주변 친구들이 하나둘씩 결혼하는 것을 보고 성급하게 누군가를 만나려고 시도한다. 결국 ‘내 나이가 많아서’라는 말을 하며 수많은 여성이 자발적으로 ‘을’이 되어버린다.
그러나 나이가 들고 연애의 기회가 줄었다는 사실이 을이 되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중요한 건 결혼이 아니라 사랑에 한계선을 긋지 않는 태도다. 결혼과 나이에 발목 잡히면 정작 좋은 사랑을 알아보지 못하게 된다. 나이와 상관없이 아닌 사랑은 끊어낼 줄 알아야 하며, 언제든지 사랑을 시작할 수 있다는 용기를 가져야 한다. 사랑도 인생도 끝날 때까진 끝난 게 아니다.
“직장에서도 평생 친구를 만날 수 있어”
마흔이 되고 알게 된 ‘찐’관계의 비밀
누구나 서른을 넘기면 인간관계의 재정립 시즌을 겪게 된다. 사랑이 변하듯 우정도 변하고, 결혼, 출산, 이사, 취업 등 상황에 따라 관계에서 변동이 생긴다. 예를 들면 한때 소울메이트라 생각한 친구와 연락을 끊게 되기도 하고, 각각 미혼과 기혼인 사이는 서로 더는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해 멀어지기도 한다. 이렇듯 30·40대가 되면 예전에는 생각지 못한 변화가 생긴다.
소중했던 관계가 멀어진다는 건 슬픈 일이다. 그러나 서른을 넘기면, ‘하나를 잃으면 하나를 얻게 되는 법칙’처럼 관계의 빈자리에 또 다른 인연이 온다는 사실도 잘 알게 된다. 갑자기 새로운 사람과 친해지기도 하고, 과거 멀어졌던 친구와 다시 가까워지기도 한다. 관계의 중요도는 단순히 알고 지낸 ‘시간’에 비례하지 않는다. ‘얼마나 알고 지냈느냐’가 아닌 ‘어떤 시간을 함께 보냈느냐’가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만약 당신이 “학창 시절 친구가 진짜 평생 절친이야”보다 “직장에서도 평생 친구를 만날 수 있어”라는 말을 더 이해하게 됐다면, 관계의 변화에 연연하기보다 지금 내 곁에 있는 사람을 소중히 대하고 고마워할 줄 아는 진짜 어른이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