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관계를 망치는 ‘좋은 사람의 역설’!
내가 ‘좋은 사람’이 되는 순간 상대는 ‘나쁜 사람’이 됩니다.
‘좋은 사람’이 좋은 관계를 만든다는 생각은 착각에 불과하다. 사실은 반대다. 모든 사람에게는 자연스레 관계의 균형을 맞추고자 하는 항상성이 존재한다. 그래서 누군가 좋은 사람이 되면 상대가 나쁜 사람이 되어 관계의 균형을 맞춘다. 좋은 사람이 될수록 주위에 나쁜 사람이 많아지는 것이다. 여기서 ‘좋은 사람의 역설’이 성립한다. 하지만 이러한 사실을 깨달아도 스스로 좋은 사람을 그만두기란 쉽지 않다. 어릴 적부터 쌓여온 트라우마가 좋은 사람을 그만두지 못하도록 무의식적으로 유도하기 때문이다.
간단한 상담만으로 이러한 무의식적 기제로부터 벗어날 수 있음에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스로를 방치하며 고통을 키우고 있다. 왜 아무도 자신의 선의를 알아주지 않는지 서운해하면서도 나쁜 사람보다는 낫다며 합리화를 거듭하다 보면 결국 ‘좋은 사람의 늪’에 빠지게 된다. 지난 25년간 8만 명이 넘는 사람을 바로 이 ‘좋은 사람의 늪’에서 탈출시켜온 오시마 노부요리는 더 많은 사람이 고통스러운 인간관계로부터 자유로워지기를 바라는 염원을 담아 『잘해주고 욕먹는 당신에게』를 집필했다. 잘해주고 욕먹는 모두가 이 책에 나오는 수많은 상담 예시와 솔루션을 통해 상담자와 마찬가지로 손쉽게 자유를 되찾을 수 있다.
“부디 이 책을 읽는 여러분도
가뿐한 마음으로 사는 인생의 즐거움을 맛보시기 바랍니다.”
(_들어가며 중에서)
『잘해주고 욕먹는 당신에게』에는 ‘항상성’ ‘만능감’ ‘자기긍정감’ ‘쾌/불쾌 스위치’ 등 오시마 노부요리가 그간 여러 책에서 따로따로 소개해온 ‘자기중심 심리학’의 핵심 요소가 총망라되어 있다. 자기 안에서 문제를 찾아 해결하는 기존의 카운슬링과 달리, 저자는 타인의 나쁜 감정을 차단해야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한 가장 우선적인 과제가 바로 좋은 사람을 그만두는 것이다. 좋은 사람이 되는 순간 관계 내 항상성이 작용해 타인이 나쁜 사람이 되기 때문이다.
1장부터 3장에는 저도 모르게 ‘좋은 사람’이 되어버리는 원인이 정리되어 있다. ‘좋은 사람’은 대개 어릴 적에 부모의 고통을 보고 자란 사람들이다. 자신이 부모의 고통을 줄여주지 않는다면 버림받을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을 느끼며 자란 것이다. 그래서 불쌍한 사람을 보면 무의식적으로 과거의 위기감을 느껴 도움 주기를 참지 못한다. 급기야 도움을 주지 못하면 자책에 빠지고 만다. 자신이 고통을 덜어주지 않으면 상대가 자신을 버릴지도 모른다고 불안해하기 때문이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불안함이 멀쩡한 상대마저 불쌍한 사람처럼 여기도록 만드는 데 있다. 그럼에도 좋은 사람은 그저 자신이 타인의 깊은 속내를 잘 읽는다고 착각한다. 저자는 이를 오만한 ‘만능감’이라 지적한다. 자신의 쾌/불쾌도 제대로 모르면서 타인의 쾌/불쾌를 안다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오류라는 것이다. 상대는 의외로 아무렇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설령 문제가 있다고 한들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를 깨닫지 못하는 건 스트레스로 인해 뇌가 자극을 받았기 때문이다.
미움받을까 봐 두렵나요? 남을 위해 무언가 하지 않으면 불안한가요?
모두 다 지나친 생각입니다.
좋은 사람이 아니어도 결코 미움받지 않습니다.
오시마 노부요리는 4장부터 6장에 걸쳐 이러한 스트레스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솔루션을 제시한다. 모든 솔루션이 실제 성공적인 상담 예시와 함께 제시되어 있어 실생활에서 곧바로 적용이 가능하다. “기계처럼 남의 감정에만 맞추고 제가 뭘 좋아하고 싫어하는지도 모르고 살았는데 이 글을 보니 정신 차리게 되네요…….” 등 이미 네이버 선 연재 당시 ‘잘해주고 욕먹어본’ 독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잘해주고 욕먹는 당신에게』를 통해 ‘좋은 사람의 늪’에서 빠져나와 인간관계에 치이지 않는 자유로운 인생을 누려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