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0 차세대 융합보안 시장 전망과 기술개발 전략

2020 차세대 융합보안 시장 전망과 기술개발 전략

  • 아이알에스글로벌편집부
  • |
  • IRS Global
  • |
  • 2020-06-01 출간
  • |
  • 525페이지
  • |
  • 210 X 297 mm
  • |
  • ISBN 9791190870009
판매가

390,000원

즉시할인가

351,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51,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차세대 보안사업 시장 동향과 전망

1. 차세대 보안산업 개요와 동향
1-1. 차세대 보안산업 개요
1) 개념 및 범위
(1) 개념 및 정의
(2) 기술 분류
2) 주요국 정책동향
(1) 미국
(2) 일본
(3) 유럽
(4) 중국
3) 보안기술 개발동향과 전망
(1) 정보보안기술 개발 동향
(2) 물리보안기술 개발 동향
(3) 융합보안 기술 개발 동향
4) 해외 보안시장 동향과 전망
(1) 해외 보안시장 동향
(2) 국내 보안 기술 수준
(3) 핵심 보안 이슈와 발전전망
(4) 국내외 보안 시장규모 전망
1-2. 주목받는 사이버 보안 시장동향과 전망
1) KISA, 2020년 7대 사이버 공격 전망
(1) 일상 속으로 파고든 보안 취약점, 보이지 않는 위협 (KISA)
(2) 랜섬웨어, 개인에서 공공기관ㆍ기업으로 피해 확대 (안랩)
(3) 취약한 가상통화 거래소, 반복되는 해킹 사고 (잉카인터넷)
(4) 문자 메시지, 이메일 안으로 숨어드는 악성코드 (하우리)
(5) 은밀하고 정교하게, 진화하는 APT 공격 (이스트시큐리티)
(6) 모바일까지 확대되는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 (NSHC)
(7) 융합 서비스를 노리는 새로운 보안 위협의 등장 (빛스캔)
2) 포브스, 2020년 가장 위협적인 7대 기술과 트렌드
3) 체크포인트, 9가지 2020년 사이버보안 기술 예측
4) 포스포인트, 2019년 사이버 보안 7대 트렌드
(1) 사이버 보안에서의 AI 위기(The winter of AI)
(2) 산업용 사물인터넷의 대규모 위기(IIoT: Industrial IoT disruption at scale)
(3) 생체인식 기술 위조(A counterfeit reflection)
(4) 사이버 보안 관련 법적 소송 증가(Courtroom face-off)
(5) 사이버 냉전에 따른 충돌 지속(A Collision course to cyber cold war)
(6) 엣지 컴퓨팅 수요 증가(Driven to the edge)
(7) 조직 내에서 신뢰받지 못한 사이버 보안 문화는 실패(Cybersecurity cultures that do
not adapt will fail)
1-3. 융합보안 기술로 주목받는 중국 스마트보안 시장동향
1) 중국 스마트보안 산업 성장 배경
(1) 스마트 시티와 결합하여 급부상
(2) 평안도시(平安城市)
2) 중국 스마트보안 시장 현황
(1) 시장규모
(2) 주요 보안기술 및 시장동향
3) 시장 전망

2. 국내 보안(정보보호)산업 실태와 전망
2-1. 국내 정보보호(보안)산업 실태
1) 개요
(1) 정보보호산업의 정의
(2) 정보보호산업의 특성
(3) 정보보호산업의 분류
(4) 국내 정보보호산업 시장동향
2) 기업 현황
3) 매출 현황
2-2. 정보보안산업 현황
1) 기업 현황
2) 매출 현황
3) 수출 현황
2-3. 물리보안산업 현황
1) 기업 현황
2) 매출 현황
3) 수출 현황

3. 융합보안 시장의 유망 핵심 기술 분야별 동향과 전망
3-1. 블록체인 기술
1) 블록체인 개념과 발전 방향
(1) 블록체인 정의와 구분
(2) 블록체인의 산업화 추진 현황
2) 보안 분야 블록체인 도입 현황
(1) 블록체인의 구조적 안정성
(2) 보안 분야 블록체인 도입 현황
(3) 분산신원증명(DID) 기술 동향
3) 블록체인 기술의 현상과 시장이슈와 동향
(1) 2020년 블록체인 기술의 현상과 전망
(2) IBM, 2020년 블록체인 분야에서 주목해야 할 5대 전망
(3) 딜로이트, 블록체인 기술 글로벌 트렌드 분석
4) 국내외 주요 블록체인 정책동향
(1) 중국,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 인프라‘블록체인’ 굴기 가속
(2) 국내, 블록체인 규제개선연구반 운영
3-2. 양자(양자정보통신)기술
1) 개요
(1) 개념 및 정의
(2) 주요국 정책동향
(3) 글로벌 시장 및 기업동향
(4) 과제와 전망
2) 미국 양자기술 관련 동향
(1) 최상위 양자정보과학 네트워크 전략 비전
(2) 양자 컴퓨터 보급 전망
(3) 양자정보과학 R&D 발전 방향 제시
3) 일본 양자기술 관련 동향
(1) 양자 컴퓨터, 연구개발 강화
(2) 양자 과학기술 촉진 방안 논의
(3) 양자기술 특허 맵 분석 결과
3-3. 생체인식 기술
1) 개요
(1) 개념
(2) 시장전망
2) 생체인식 기술의 종류와 적용 사례
(1) 지문인식
(2) 홍채 인식
(3) 성문(목소리) 인식
(4) 얼굴 인식
(5) 정맥 인식
3) AI안면인식 기술의 급부상
(1) 안면인식 기술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 확대
(2) 중국, 안면인식 기술 표준화ㆍ데이터 축적으로 시장 선점 박차
4) 보안의 중요성 확대
(1) 개인정보 보호 중요성과 해킹으로 위험 증가
(2) 샌프란시스코 등, 얼굴인식 기술 사용금지 조치
3-4.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CCTV) 기술
1) 개요
(1) CCTV 정의, 범위
(2) CCTV의 분류
2) 용도가 확대되는 지능형 CCTV 기술과 시장동향
(1) 기술발전과 수요확대로 시장 성장 전망
(2) CCTV와 결합하는 스마트 가로등
(3) AI(인공지능) CCTV, AI 카메라 등장과 도입
3) 국내 주요 정책동향
(1) 2020 지능형 CCTV 시범사업
(2) 5G+ 전략산업 분야별 2020년 추진목표와 주요 계획
3-5. 최근 첨단 융합보안 주요 사례와 동향
1) IoT 탑재 디지털 스마트 도어록 시장
(1)?중국,?디지털?도어록 시장
(2) 일본, 디지털 도어록 시장
2) 비대면 물리보안 기술로 주목되는 로봇, 드론
(1) 중국, 코로나19 감염 방지 위해 로봇ㆍ드론 등 첨단기술 활용
(2) 일본, 해상보안청, 중국産 드론 구매 중단 예정
(3) 한국중부발전, 자율주행 원격감시 및 실시간 감지로봇’
3) 화상회의 플랫폼 줌, 보안 위협으로 사용 금지ㆍ퇴출 움직임
(1) 재택근무ㆍ온라인 수업으로 줌(Zoom) 사용 급증에 취약한 보안 문제 부상
(2) 주요 글로벌 기업의 대응방향
(3) 국내 대응방안
4) 사이버보안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글로벌 IT기업의 대응
(1) 주요국 개인정보보호 정책 강화
(2) 글로벌 IT기업, 신뢰할 수 있는 사이버 보안 역량 강화에 중점
5) 인공지능+블록체인+클라우드+얼굴인식 융합 간편결제 시스템

Ⅱ. 융합보안 정책 및 기술 동향과 전망

1. 융합보안산업 관련 주요 정책 추진 동향
1-1. 민간 부문 정보보호 종합계획(2019)
1) 개요
(1) 추진배경
(2) 환경변화
2) 비전 및 추진전략
3) 중점 추진과제
(1) 사이버안전 수준 향상
(2) 정보보호 산업 육성
(3) 정보보호 기반 강화
4) 기대효과
5) 향후계획
1-2. 사이버 보안 기술 R&D 추진계획
1) 국가 사이버보안 기술 R&D 추진계획 개요
(1) 추진배경
(2) 비전 및 목표
2) 국가 사이버보안 기술 R&D 추진계획 주요 내용
(1) 지능정보사회에 대비한 차세대 핵심 원천 기술 개발(범부처 협업)
(2) 사회 현안 해결을 위한 응용 기술개발(대학ㆍ기업 중심, 민간 연계)
(3) Open Innovation 중심으로 추진체계 정비
1-3. IoT기반 의료ㆍ교통 분야 보안가이드
1) IoT 보안 얼라이언스
2) 스마트의료 사이버보안 가이드 주요내용
3) 스마트교통 사이버보안 가이드 주요내용
1-4. 기타, 주요 융합보안산업 관련 정책 동향
1) 5G 시대 융합보안 핵심인재 양성을 위한 융합보안대학원 지정 확대
2) 클라우드보안서비스(SEcaaS) 고도화 지원사업 공모
3) 5G+핵심서비스 융합보안 강화 방안, 후속사업 추진
4) 개인정보 침해사고예방 위해 접속기록관리 강화

2. 융합보안산업 관련 기술 특허 및 표준화 동향
2-1. 융합보안 관련 기술 특허 동향
1) 정보보호분야 특허동향
(1) 국가별 특허 동향
(2) 기술별 특허 동향
2) AI기반 지능형 CCTV 특허동향
(1) 개요
(2) 특허동향
3) 생체인식기술 특허동향
(1) 개요
(2) 특허 동향
4) 스마트폰에 탑재된 초음파 지문인식기술 특허동향
(1) 개요
(2) 특허동향
5) 블록체인 특허동향
(1) 개요
(2) 특허동향
(3) 블록체인 분야 특허분석 결과
6) 랜섬웨어백신 특허동향
(1) 개요
(2) 특허동향
2-2. 융합보안 관련 기술 표준화 동향
1) 정보보안 기술 표준화 동향
2) 물리보안 기술 표준화 동향
3) 융합보안 기술 표준화 동향
2-3. 차세대 보안기술 기술 확보 전략
1) 핵심기술의 선정
2) 핵심기술별 기술개발 전략
(1) 지능형 능동방어 기술
(2) 시스템 보안취약성 자동진단 기술
(3) 사용자 중심 보안 기술
(4) 스마트시티ㆍ인프라 보호 기술
(5) 초연결 네트워크 보안 기술
(6) 초신뢰 데이터 보안 기술(기초기술 연계)

Ⅲ. 융합보안 관련 기술개발 동향과 연구과제 현황

1. 융합보안 관련 기술 개발 로드맵
1-1. AI/빅데이터 기술분야 중소기업형 기술개발 로드맵
1) 영상처리 시스템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3) 연구개발 목표설정
2) 음성인식 SW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3) 연구개발 목표설정
3) 인공지능 플랫폼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3) 연구개발 목표설정
4) 인지과학 SW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3) 연구개발 목표설정
5) 빅데이터 기반 SW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3) 연구개발 목표설정
6) Cloud Brokering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3) 연구개발 목표설정
7) Cloud service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3) 연구개발 목표설정
8) 가상화/컨테이너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3) 연구개발 목표설정
9) 영상, 음성, 문서 등의 개인정보 비식별화 솔루션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2020-2022)
(3) 핵심요소기술 연구목표
1-2. 정보보호 기술분야 중소기업형 기술개발 로드맵
1) 생체인증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3) 연구개발 목표설정
2) 클라우드 보안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3) 연구개발 목표설정
3) 사물 인터넷 보안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3) 연구개발 목표설정
4) 모바일 보안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3) 연구개발 목표설정
5) 스마트 산업제어시스템(ICS) 보안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3) 연구개발 목표설정
6) 지능형 자동차 보안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3) 연구개발 목표설정
7) 지능형 보안위협 대응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3) 연구개발 목표설정
8) 블록체인/블록체인 기반 보안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3) 연구개발 목표설정
9) 지능형 영상보안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3) 연구개발 목표설정
1-3. 안전, 임베디드 SW분야 중소기업형 기술개발 로드맵
1) 범죄 대응 시스템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3) 연구개발 목표설정
2) 안전사고 대응 지능형 모니터링시스템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3) 연구개발 목표설정
3) 지능형 화재안전 대응 시스템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3) 연구개발 목표설정
4) 머신비전 기반 지능형 영상처리 시스템 SW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
(3) 연구개발 목표설정
5) 보안 솔루션, 스마트카드 IC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2020-2022)
(3) 핵심요소기술 연구목표
6) 스마트홈 방범시스템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2020-2022)
(3) 핵심요소기술 연구목표
7) 홈 IoT 지능형 컨트롤 시스템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2020-2022)
(3) 핵심요소기술 연구목표
8) 스마트제조용 보안시스템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2020-2022)
(3) 핵심요소기술 연구목표
9) 스마트 재난안전 대응 시스템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2020-2022)
(3) 핵심요소기술 연구목표
10) AI 기반의 스마트 CCTV 시스템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2020-2022)
(3) 핵심요소기술 연구목표
11) 드론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2020-2022)
(3) 핵심요소기술 연구목표
1-4. 블록체인 기술분야 중소기업형 기술 로드맵(2020-2022)
1)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2020-2022)
(3) 핵심요소기술 연구목표
2)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2020-2022)
(3) 핵심요소기술 연구목표
3) 블록체인 기반 불법거래탐지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2020-2022)
(3) 핵심요소기술 연구목표
4)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2020-2022)
(3) 핵심요소기술 연구목표
5) 암호자산 기반 서비스의 보호를 위한 암호키 관리 시스템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2020-2022)
(3) 핵심요소기술 연구목표
6)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P2P 네트워크 고속화 기술
(1) 핵심 요소기술 선정
(2) 기술로드맵(2020-2022)
(3) 핵심요소기술 연구목표

2. 융합보안 관련 기술 개발 연구과제
2-1. 차세대보안 분야
1) 컴퓨터 프로세서의 구조적 보안 취약점 검증 및 공격 탐지대응 문제해결
(1) 문제 정의
(2) 현황
(3) 기대효과
(4)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2) 미래컴퓨팅 환경의 계산복잡도 기반 암호 안전성 검증 기술개발
(1) 개념
(2) 필요성
(3) 연구목표
(4) 연구내용
(5)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3) 전조 파악이 가능한 범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
(1) 문제 정의
(2) 현황
(3) 기대효과
(4)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 국가ㆍ사회적 및 경제적 이슈에 따른 사이버 표적공격의 급증 문제
(1) 문제 정의
(2) 현황
(3) 기대효과
(4)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5) 보이스 피싱으로 발생되는 사이버 안전 문제 해결을 위한 실시간 보이스피싱 경고 및 대응 시스템 개발
(1) 문제 정의
(2) 현황
(3) 기대효과
(4)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6) 블록체인 시큐리티 플랫폼 기술 개발
(1) 개념
(2) 필요성
(3) 연구목표
(4) 연구내용
(5)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7) 트러스트존 기반 안전한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
(1) 개념
(2) 필요성
(3) 연구목표
(4) 연구내용
(5)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2-2. 블록체인ㆍ융합 분야
1) 전자문서 유통, 간편 결제 및 신원 확인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자기주권신원 플랫폼 기술 개발
(1) 개념
(2) 필요성
(3) 연구목표
(4) 연구내용
(5)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2) 블록체인 외부 정보 접근 신뢰성 보장을 위한 분산 스마트 컨트랙트 오라클 기술 개발
(1) 개념
(2) 필요성
(3) 연구목표
(4) 연구내용
(5)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3) (잊혀질 권리)클라우드에 개인 콘텐츠 추적과 완전소멸/수정을 위한 블록체인 기술 개발
(1) 문제 정의
(2) 현황
(3) 기대효과
(4)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 블록체인 플랫폼 보안취약점 자동분석 기술개발
(1) 개념
(2) 필요성
(3) 연구목표
(4) 연구내용
(5)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5) 블록체인을 활용한 분산형 자기주권 신원정보관리 기술 개발
(1) 개념
(2) 필요성
(3) 연구목표
(4) 연구내용
(5)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2-3. 정보보호 기술 분야
1) 랜섬웨어 공격의 피해 복원
(1) 문제 정의
(2) 현황
(3) 기대효과
(4)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2) 랜섬웨어 공격 조기 탐지
(1) 문제 정의
(2) 현황
(3) 기대효과
(4)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3) 고속주행, 저화질 등 열악한 환경에서의 CCTV 제약점 개선
(1) 문제 정의
(2) 현황
(3) 기대효과
(4)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 사이버공격으로 인한 스마트공장 운영중단 문제해결을 위한 선제적인 제조공정 이상 징후 인지
(1) 문제 정의
(2) 현황
(3) 기대효과
(4)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5) 디지털 포렌식 통합 플랫폼 개발
(1) 개념
(2) 필요성
(3) 연구목표
(4) 연구내용
(5)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6) O2O 서비스를 위한 무자각 증강인증 및 프라이버시가 보장되는 블록체인 ID 관리 기술개발
(1) 개념
(2) 필요성
(3) 연구목표
(4) 연구내용
(5)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7) 오토모티브 이더넷 기반 차량 보안위협 예측ㆍ탐지ㆍ대응 및 보안성 자동진단 기술개발
(1) 개념
(2) 필요성
(3) 연구목표
(4) 연구내용
(5)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8) 제한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에서의 IoT 디바이스 보안 부트스트래핑 기술개발
(1) 개념
(2) 필요성
(3) 연구목표
(4) 연구내용
(5)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9) 멀티센서 및 암호화 지원 CCTV용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 개발
(1) 개념
(2) 지원 범위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0) 지능형 자동차 보안을 위한 전용 IDPS 어플라이언스 모듈 개발
(1) 개념
(2) 지원 범위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1) 진화형 사이버방어 가시화 기술 개발(자가방어-3세부)
(1) 개념
(2) 필요성
(3) 연구목표
(4) 연구내용
(5)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2) Security Analytics 기반의 이기종 보안솔루션 위협 분석 및 대응 기술 개발
(1) 개념
(2) 필요성
(3) 연구목표
(4) 연구내용
(5)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3) 지능형 해킹방어경연 플랫폼 개발
(1) 개념
(2) 지원 범위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4) 안전한 IoT 전용망 구축을 위한 LPWAN 침해 방지 기술 개발
(1) 개념
(2) 지원 범위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5) 다크웹 스캐닝 기술 기반의 정보 수집ㆍ분석 시스템 개발
(1) 개념
(2) 필요성
(3) 연구목표
(4) 연구내용
(5)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Ⅳ. 융합보안 관련 사업 참여업체 동향과 전략

1. IT기업
1-1. SK텔레콤
1) 기업개요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융합보안 관련 사업동향
(1) 세계 최초 양자보안 폰 공급
(2) ‘5GX MEC’플랫폼 통해 초저지연 환경 구축
(3) SKT - ADT캡스 - SK인포섹, ‘융합보안’ 미래상 제시
1-2. KT
1) 기업개요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융합보안 관련 사업동향
(1) 영상ㆍ소리 정보 결합한 첨단보안솔루션 개발
(2) KISA와 5Gㆍ융합 ICT 사이버보안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3) ‘융합보안실증센터’ 개소
1-3. LG 유플러스
1) 기업개요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융합보안 관련 사업동향
(1) 인공지능 보안 서비스 ‘우리집 지킴이’ 출시
(2) 에스원과 통신-보안 융복합 사업 가속화

2. 종합보안(시큐리티)기업
2-1. 에스원
1) 기업개요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융합보안 관련 사업동향
(1) 정보보안 플랫폼 출시 - "세콤"과 융복합서비스 본격화
(2) LG유플러스와 통신ㆍ보안 융합 협력
2-2. ADT캡스
1) 기업개요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융합보안 관련 사업동향
(1) SK인포섹과 정보보안 서비스 ‘사이버가드 프로페셔널’ 출시
(2) 5G 기반 융합보안 컨설팅 시장 진출
2-3. KT텔레캅
1) 기업개요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융합보안 관련 사업동향
(1) 지능형 영상보안 플랫폼 ‘기가아이즈’
(2) 특화솔루션

3. CCTV 기업
3-1. 한화테크윈
1) 기업개요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융합보안 관련 사업동향
(1) TRM-1610S, TRM-410S, XNV-6012, XNV-6022R 4종 철도 인증 획득
(2) 매장관리 소프트웨어 Wisenet Retail Insight 출시
(3) CJ올리브네트웍스와 무인매장 사업협력을 위한 MoU 체결
3-2. 아이디스
1) 기업개요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융합보안 관련 사업동향
(1) 일본 JVC를 통해 자체브랜드로 일본에서 영상 보안 제품 판매
(2) ‘차량용 4K 보안 솔루션’ 국내 시장에 출시
3-3. ITX엠투엠
1) 기업개요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융합보안 관련 사업동향
(1) IP카메라 관련 동향
(2) 지능형 영상분석 시스템관련 동향
3-4. 하이트론씨스템즈
1) 기업개요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융합보안 관련 사업동향
(1) 서울 2호선 노후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개량 사업 계약
(2) 존슨콘트롤즈 코리아에 CCTV 시스템 공급
3-5. 코맥스
1) 기업개요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융합보안 관련 사업동향
(1) 244억 규모 국방부 사이버지식정보방 사업자 선정
(2) AxxonSoft와 스마트홈, 시큐리티 융합플랫폼 공동 개발

4. 정보보안기업
4-1. 안랩
1) 기업개요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융합보안 관련 사업동향
(1) 티맥스OS와 PC 및 서버 보안제품 시장확대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2) KT와 통합 TI 개발 및 신규 보안서비스 관련 업무협약 체결
4-2. 오픈베이스
1) 기업개요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융합보안 관련 사업동향
(1) 클라우드 보안 시장 공략
(2) 수산INT와 SSL복호화솔루션 총판계약
4-3. 한국정보인증
1) 기업개요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융합보안 관련 사업동향
(1) ‘지부티’ 정부에 공인인증 기술 제공
(2) 아톤과 보안 솔루션 사업 MoU
4-4. 한국전자인증
1) 기업개요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융합보안 관련 사업동향
(1) AI 시큐리티 분야 해외진출 본격화
(2) 한국형 맞춤 SSL서비스 출시

5. 기타(바이오인증 외)
5-1. 슈프리마
1) 기업개요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융합보안 관련 사업동향
(1) 얼굴인식단말기, 산업통상자원부 NEP 인증
(2) 퀄컴에 디스플레이 내장형 지문인식 기술 공급
(3) 일본 공유오피스에 지문인식단말기 공급
5-2. 스마트코어
1) 기업개요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융합보안 관련 사업동향
(1) 주민센터에 십지지문 스캐너 공급
(2) 출입국심사 장비 ‘MBAS BS’
5-3. 씨엠아이텍
1) 기업개요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융합보안 관련 사업동향
(1) 스위스의 지멘스 빌딩 테크놀로지 신규 빌딩관리 솔루션에 제품 공급
(2) 중동 시장 집중공략
5-4. 이리언스
1) 기업개요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융합보안 관련 사업동향
(1) 인도, 아프리카, 남미 시장 공략
(2) 공군 주요 부대에 출입통제기 ‘아이마스터’ 설치
5-5. 한컴위드(舊, 한컴시큐어)
1) 기업개요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융합보안 관련 사업동향
(1) 비트퓨리와 블록체인 분석 솔루션 업무협약 체결
(2) 대림코퍼레이션과 스마트 통합관제 솔루션 업무협약 체결
(3) 옥타코와 생체인증 사업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5-6. 유니온커뮤니티
1) 기업개요
(1) 일반현황
(2) 사업현황
2) 융합보안 관련 사업동향
(1) 코로나로 언택트 생체인식 제품 수출 증가
(2) 생체인식 기술 연동, 음주 측정 시스템 출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