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선설 선화 (양장)

선설 선화 (양장)

  • 송준영
  • |
  • 푸른사상
  • |
  • 2020-04-27 출간
  • |
  • 400페이지
  • |
  • 160 X 232 X 21 mm
  • |
  • ISBN 9791130816630
판매가

35,000원

즉시할인가

33,95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3,9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월조(越祖) 송준영 시인은 선시 이론의 정립과 확장을 위해 앞장서온 법사이자 거사이다. 선시(禪詩)는 그동안 많은 선학들에 의해 논의되어 불교의 학술적 가치를 높이고 있다. 선은 인위적인 생각이나 논리적인 이해 차원을 넘어선 가치로, 이러한 특징이 우리가 선 사상과 선시를 이해하는 데 장벽이 되기도 한다. 이제 『선설 선화(禪說 禪話)』의 풍요롭고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독자들은 선의 세계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우리의 유구한 전통을 잇는 선시와 선 사상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있다. 선의 원천회귀성과 선시의 텍스트부터 ‘후기현대주의’ 혹은 ‘탈현대주의’ 시와 선시의 ‘격의(格義)’와 ‘탈출(脫出)’을 모색한 것이다. 아울러 현대에 이르러 정신적 맥락과 표현방법이 어떻게 계승되고 발달했는지 그 향방을 고찰했다. 혜능의 남종선이 전래된 그날부터 우리의 고유한 사상과 전통을 계승한 선시가 오늘날에 이르러서 어떻게 한글로 정착되었는지 그 역사적인 과정이 펼쳐진다.

[추천의 글]
송준영 이분의 시는 다 같은 언구를 사용해도 그 뜻은 범인의 그것과는 천지현격(天地懸隔) 그 경계가 다르다. 이분의 언구는 이분이 천각비공(穿却鼻孔) 스스로 코를 꿰어 끌고 귀원료성(歸源了性) 근원에 돌아가 본성을 보았을 때 터져 나온 이분의 화지일성(地一聲)에 연유한 이분만이 갖고 있는 독창적인 체명무진구(體明無盡句)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분의 시는 끝이 있어도 그 뜻은 끝이 없다. 새학전구(塞壑塡溝) 곳곳에 두루하여 미치지 않은 곳이 없다. 그러나 그 어느 한 곳에도 언사형절(言思逈絶)의 세계 은밀전진(隱密全眞)의 세계만 비치게 할 뿐 진작 미친 곳이 없다. 사실상 이분의 시를 읽다 보면 극칙무로처(極則無路處) 그것이 궁극의 이치이면서 그것이 궁극의 이치라는 자취마저 없는 현묘(玄妙)한 몰종적(沒跡)의 당처(當處)를 생각하게 한다. 소나기 지나가는 퇴산적악(堆山積嶽)의 한 회고목(寒灰枯木)의 울음소리가 들리는가 하면 시장 바닥의 홍파호묘(洪波浩渺) 큰 파도 흰 물결을 일으키는 동해이어(東海鯉魚)의 숨소리도 아득히 들린다.
오늘 송준영 이분은 저잣거리에 손을 드리우고 있다. 성스러운 견해에도 머물지 않고 범속한 생각에서도 벗어나 책을 만들고 시를 쓰고 있다. 이것이 홍란저인(紅爛底人)의 참사람의 진면목(眞面目)이 아닌가. - 雪嶽 조오현

월조(越祖) 송준영 선생은 ‘시인’이기에 앞서 ‘법사’이자 ‘거사’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오랜 세월을 재가 법사와 월조 거사로 살아오면서 ‘활발한 법문’과 ‘벌거숭이 어록’를 남기고 있다. ‘법사’와 ‘거사’는 출가적 삶과 달리 재가적 삶을 사는 존재이다. 일찍이 조계종정 서옹상순(西翁尙純, 1912~2003) 선사로부터 ‘조사조차 뛰어넘었다’는 법호와 전법게를 입실면수(入室面授)하여 전해받고(임신년 8월), 이어 월조 선생은 저자와 산속을 넘나들며 ‘법사’와 ‘거사’의 삶과 ‘선사’와 ‘시인’의 삶을 하나의 몸속에서 일원화시켜오고 있다. 이 때문에 우리는 그에게서 중국 당ㆍ송대 거사이자 선사의 모습과 한국 대한시대의 ‘거사’이자 ‘법사’의 모습을 반추해보고 있다.
월조 선생은 다양한 글쓰기를 통해 ‘선시론가’로서 때로는 ‘거사 법사’로서 자유자재한 살림살이를 보여주고 있다. 그의 글은 선사의 글인가 하면 이내 거사의 글이고, 법사의 글인가 하면 이내 시인의 시로 읽힌다. 문학계간지 『시와세계』를 발행하는 송준영 주간의 말을 들을 때면 이따금씩 그는 선사이자 거사이며 법사이자 시인의 변화무쌍한 살림살이를 보여주고 있다. 이번 간행되는 『선설 선화(禪說禪話)』에 실린 선생의 글들은 선의 원천회귀성과 선시의 텍스트부터 ‘후기현대주의’혹은 ‘탈현대주의’시와 선시의 ‘격의(格義)’와 ‘탈출(脫出)’을 모색한 것이다.
- 고영섭(시인ㆍ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목차


■ 序 / 참사람의 진면목(眞面目) _ 조오현

제1부 선시의 원류

선의 원천회귀성-『육조단경』과 선종 4구게
1. 전문
2. 기원으로 거슬러 올라간 선시의 이해
1) 신수와 혜능
2) 선시의 배경
3. 혜능의 돈오법문
1) 문자에 매이지 않는다(不立文字)
2) 가르침 밖에 따로 전한다(敎外別傳)
3) 사람의 마음을 곧 바로 가리킨다(直指人心)
4) 자성을 보고 부처를 이룬다(見性成佛)
4. 『육조단경』과 격의 사유

선시의 텍스트 「심우송」-경허, 만해, 설악을 중심으로
1. 심우송의 원류를 찾아
1) 보명의 십우송
2) 확암지원의 십우송
2. 한국의 소 찾는 노래 (1)
1) 경허의 「심우10송」과 설악의 「심우송」
3. 한국의 소 찾는 노래 (2)
1) 경허의 「심우 8송」과 만해의 「심우송」
2) 경허의 「심우송 법문」

조동종의 성립과 동산의 「오위정편」 그리고 상찰의 『십현담』 관계 연구
1. 조동종이란
2. 무정물의 설법을 듣는 양개
3. 오위정편의 노래
1) 정중편
2) 편중정
3) 정중래
4) 겸중지
5) 겸중도
4. 선시의 백미-『십현담』

『십현담』과 그 주해시 고찰
1. 들어가며:상찰의 『십현담』 선시에 대한 고찰
1) 상찰의 『십현담』과 조동종의 「오위정편」과 「오위공훈」
2. 역사상 이어지는 『십현담』 주해들
1) 법안문익의 청량주
2) 청한설잠의 열경주(1475)
3) 용운봉완의 만해주
3. 상찰의 『십현담』 갖추어 읽기
4. 나가며

제2부 혜각신미의 법맥과 훈민정음에 끼친 영향

한국의 선불교 전래
1. 9산 선문과 선법 전래
2. 득도사(得度師)와 사법사(嗣法師) 문제

보조의 한국선 형성
1. 9산 선문을 조계종으로 융섭
2. 고려 말 전등관계
3. 태고의 통합 9산 선풍
4. 한국의 임제종법맥 고찰

나옹계의 득세와 그 법손
1. 고려 말 나옹과 환암
2. 환암혼수의 법계 문제

조선 건국과 숭유억불 사대교린 정책
1. 사라진 함허를 잇는 전등법계
2. 사찰 혁파와 불교의 전락

훈민정음과 신미
1.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
2. 훈민정음 창제의 이유
3. 신미가 창제의 주역이 된 몇 가지 이유
4. 세조의 간경도감과 신미

신미의 전등법계 고찰
1. 신미의 법계
2. 해안에 의해 법계 정리

제3부 현대선시의 향방

현대선시의 발흥과 확장을 위한 제언
1. 전문
2. 세 편의 선화로 보는 선시의 참맛
1) 약산, 「운재청천수재병(藥山雲在靑天水在餠)」
2) 「낙수록」, 『벽암록』 설화
3) 「백운 두두시고향(白雲 頭頭是故鄕)」
3. 나가며

선시와 아방가르드 시의 표현방법론적 연구
1. 들어가는 말
2. 선의 사상적 특질
1) 불립문자와 선
2) 선과 간택심의 초월
3) 선의 적기법문
4) 선시의 실증적 모형
5) 선시의 적기수사법
3. 아방가르드 시의 그 표현방법적 경향
1) 이상(李箱)
2) 김춘수
3) 설악 조오현
4) 이승훈
4. 나가며

포스트모더니즘 시와 선시의 격의와 그 탈출에 관하여
1. 전문
2. 선시와 서구의 문학사조
1) 선과 다다이즘의 차별성과 연계성
2) 선시와 쉬르레알리슴 시와 다다이즘 시의 차별성
3) 선와 포스트모더니즘 시의 변별점
3. 선시의 계보와 미학과 수사법
1) 고전선시
2) 용운봉완, 만해의 시
3) 미당 서정주의 시
4) 설악무산, 조오현의 시
5) 이승훈의 시
6) 송준영의 시
4. 선 사상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유사성

0도의 시쓰기로 드러난 ‘저절로시법’ - 이강(怡江) 이승훈의 새로운 선시
1. 전문
2. 적기어법과 적기수사법
3. 인연, 일상사의 깨침
4. 새로운 21세기의 현대선시

제4부 깨달음에 관한 몇 가지 단상

서옹상순 스님
1. 선의 계보
2. 깨달음, 그 황당함에 관한 메모
1) 발심
2) 선적 체험
3) 수련기

설악무산 스님
1. 네 가지 장면과 한 번의 생각
2. 화상께서 베푸신 혜은을 잊지 못합니다(不忘和尙施慧恩)
3. 설악무산 조오현, 생과 사의 편린(片鱗)
1) 산호지지탱착월(珊瑚枝枝着月)
2) 큰스님을 독대하다
3) 설악 스님과 이승훈 시인, 그리고 이상시문학상
4) 큰스님 불 들어갑니다.

깨달음에 대한 몇 가지 단상
1. 유식론 입장에서 본 깨달음
2. 보조지눌의 수증에 관한 충고와 성철의 고창
1) 보조의 충고
2) 성철의 고창
3. 『선요(禪要)』에 나타난 깨달음
4. 선과 양자물리학의 배대

■에필로그 : 이 시대의 법사와 거사는 누구인가 _ 고영섭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