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애니메이션 프로듀서가 되자

애니메이션 프로듀서가 되자

  • 후쿠하라요시타다
  • |
  • ㅁㅅㄴ
  • |
  • 2020-04-15 출간
  • |
  • 222페이지
  • |
  • 150 X 200 mm
  • |
  • ISBN 9791187939276
판매가

10,000원

즉시할인가

9,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9,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애니메이션 업계에는 새로운 프로듀서가 필요하다
저자 후쿠하라 요시타다는 음반 업계에서 경력을 시작해 현재는 애니메이션 제작사 야오요로즈를 창업하여 이사 겸 총괄 프로듀서를 맡고 있다. 야오요로즈. 애니메이션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 제작사의 이름을 알 것이다. 「케모노 프렌즈」라는 공전절후의 작품을 만든 제작사이자 이후 후속작의 기획을 두고 제작위원회, 정확히 말해 제작위원회의 간사 회사 중 가장 힘이 큰 가도카와와의 분쟁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덕분에 오리지날 차기작 「케무리쿠사」는 기존 제작위원회 시스템의 통례에서 벗어난 ‘파트너십 시스템’으로 기획하였고, 큰 성공을 거두었다.
위의 소개에서 짐작하다시피, 저자는 제작위원회 시스템에 회의적이다. 세계 시장에서 팔리는, 즉 높은 상품성을 가진 참신한 콘텐츠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어째서 현장은 빈곤에 허덕여야 하는가. 이는 일본 애니메이션 업계의 시스템 문제이며, 현 구조의 타파를 위해서는 새로이 교육받은 애니메이션 프로듀서가 필요하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그렇다면 어떠한 프로듀서가 되어야 하는가
애니메이션 프로듀서는 일견 제작(制作)에 관여하는 사람으로 보인다. 현 제작 시스템상에서는 애니메이션 제작사에 소속되어 작품을 만드는 현장을 지휘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자는 제작위원회의 간사 회사들에도 애니메이션 프로듀서가 있음을 지적한다. 앞서 설명했듯, 이들은 애니메이션의 작품적 측면보다는 비즈니스적 측면을 중시한다. 이 두 가지 제작 분야에 종사하는 프로듀서들은 보통 자신의 분야에만 특화되어 있다. 제작(制作) 프로듀서는 비즈니스를 잘 모르고, 제작(製作) 프로듀서는 크리에이티브를 잘 모른다. 단점이 드러나고 있는 제작위원회 체제를 벗어난 새로운 시대의 애니메이션 비즈니스를 위해서 이제 프로듀서는 두 가지 분야 전부 통달해야 할 것이다.

프로듀서가 익혀야 할 실무-크리에이티브&비즈니스
애니메이션 프로듀서는 대부분 뜻을 품고 뛰어든 사람들이다. 그렇기에 크리에이티브 측면에서는 나름의 지식을 갖추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비즈니스 분야에 대해서는 약하기에 이 책은 애니메이션 비즈니스-자금조달 및 인재 확보, 예산의 관리, 방송망 확보 및 파생상품 전개-에 대해 설명하는 한편, 연관된 비즈니스의 구조, 프로듀서가 반드시 알아야 하는 법적인 지식인 저작권 문제와 계약, 권리 관계에 관해서도 다룬다. 또한 애니메이션 프로듀서가 되기 위해 필요한 항목을 ‘다섯 가지 C(크리에이티브, 코어, 챌린지, 커뮤니케이션, 커스터머)’로 정리하여 프로듀서 지망생을 위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목차


서장
하드에서 소프트로 시대가 바뀌다 3
해외의 애니메이션이나 실사영화에 비해 비용 대비 효율이 좋은 일본 애니메이션 6
제작(製作)과 제작(制作)에 따라 전혀 다른
애니메이션 프로듀서의 업무 10
프로듀서 교육 과정이 없으니 과정부터 만들고 싶다 11

1장. 자기소개 음악 프로모터였던 내가 「케모노 프렌즈」에 다다르기까지
카와시마 아이의 만남에서 「직구표제 로봇 애니메」의 제작위원회 조성까지 24
제작(製作)에서 제작(制作)까지 전부 한다 25
애니메이션 업계의 지푸라기 부자 이야기같은
「케모노 프렌즈」 28

2장. 문제설정 어째서 애니메이션 제작사는 자전거 조업을 강요받고 애니메이터는 극빈 상황에서 탈출할 수 없는 것인가?
적자를 전제로 하면서 큰 실패를 피하고자 투자 분산을 위해 증식하는 제작위원회 32
애니메이션 제작사가 저작권을 갖기에
제작위원회 방식에는 한계가 있다 34
애니메이션 제작사의 제작위원회 투자가 비현실적인 이유 36
광고수익 방식의 비즈니스 모델 40
제작위원회 방식의 비즈니스 모델 42
제작위원회 방식에서
신흥 애니메이션 스튜디오가 고전하는 이유 46
애니메이션 제작사가 수익을 제대로 올리려면? 49
애니메이션 프로듀서는 높은 비즈니스 스킬이 필요하다 50
일본에 맞는 프로듀서상이란? 52

3장. 애니메이션 제작의 흐름
파이낸스(자금조달) 56
데트 파이낸스와 애니메이션 비즈니스는 상성이 나쁘다 56
실패하면 갚지 않아도 되지만 공짜가 아닌 에퀴티 파이낸스 59
제작위원회의 법적 위치 설정과 주의 59
제작위원회와 주식회사의 차이 60
제작위원회 이외의 에퀴티 파이낸스 ① 펀드 61
제작위원회 이외의 에퀴티 파이낸스 ② 크라우드펀딩 62
제작위원회 이외의 에퀴티 파이낸스 ③ 익명조합 64
제작위원회 이외의 에퀴티 파이낸스 ④ SPC, LLP 64
미국에서는 제작위원회 방식이 환영받지 못한다 66
애니메이션 제작 비즈니스의 특징과 인재 확보 69
지방에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를 세우는 이유 70
CG애니메이션 스튜디오는 종업원을 정사원으로 고용한다 71
예산 관리 / 관리 회계 73
표현과 예산 관리=견적 관리는 동시에 움직인다 77
제작위원회 전체의 P/L 77
애니메이션 제작의 흐름 78
애니메이션 제작 후반전을 맡는 음향 제작 흐름 82
성우 캐스팅 83
성우의 ‘랭크제’ 85
애니메이션 프로듀서와 성우의 관계 88
애프터레코딩과 더빙 89
납품 완료까지 최종 체크의 흐름 90
TV방송 92
선전 96
이벤트 100

4장. 알아두어야 할 관련업계 비즈니스 모델
TV 108
‘타임’과 ‘스팟’ 108
TV쪽에서 본 애니메이션 비즈니스 특징 110
영화 111
영화 제작 - 질 높은 스태프를 모은다 111
영화 배급 - ‘선전’, ‘계약’, ‘부킹’ 112
흥행 - 애니메이션에서는 ODS(이벤트 상영)도 중요 114
영화 비즈니스의 수익 구조 115
극장 애니메이션의 완전 신작과 총집편의 차이 118
극장용 오리지널 완전 신작 애니메이션의 비즈니스 모델 118
총집편 애니메이션 영화의 비즈니스 모델 119
패키지 비즈니스 121
출판 123
라이센스아웃의 경우 123
원작자 대리의 경우 124
일본 애니메이션 산업은?
출판계에 기획개발비를 아웃소싱하고 있다 125
원작과 애니메이션의 권리 관계 127
성우 128
랭크제에 대해 생각해 보자 128
성우 지망생, 성우, 기획사의 관계 130
성우의 방향성을 정하는 것은 성우 자신 132
성우 매니저는 굉장히 바쁘다!! 134
음악 135
애니메이션 음악 비즈니스의 기본 구조 136
주제가, 엔딩, 배경음악, 캐릭터 송 139
음악 기획사의 매니저와 성우 기획사의 관계 141
CD의 매출 분배에서 음악 저작권, 저작인접권을 배운다 142
원반 인세와 출판인세의 차이 148
기성 노래 사용은 전화 한 통으로 해결 148
JASRAC 이외의 음악저작권 관리회사도 있다 149
위원회에서 원반권이나 출판권을 갖기도 150
머천다이징 151
MG의 구조 152
판권 일러스트 154
무대 155
게임 157
콘솔 게임인가 모바일 게임인가 159
유기기 160
스트리밍 161
전달권을 구입하지만 위원회는 들지 않는 해외 사업자 163
중국과의 거리감 164
일본 회사는 해외와의 영상 전쟁에서는 확실히 졌다 165
해외 전개 167

5장. 알아두어야 할 저작권과 계약의 구조
저작권 172
저작자와 저작권자가 다른 경우,?
저작물을 만들지 않앗는데도 저작자가 되는 경우 175
저작인접권과 보호 기간 176
애니메이션은 저작권법상 ‘영화’다 177
상표 179
저작물(저작권) 181
계약의 골격 182

6장. 애니메이션 프로듀서가 되려면? 프로듀서에게
필요한 능력들
애니메이션 프로듀서가 되는 법 188
제작(製作)프로듀서가 되는 방법과 제작위원회의 업무 방식 190
애니메이션 프로듀서의 하루 191
제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다섯 가지 C’ 192
Creative 193
Core 194
Challenge 195
Communication 199
인맥을 만드는 법 203
일의 크기에 따라 대인 관계를 바꾸자 205
Customer 207
문제가 생기면 본심을 숨기지 말고 본 목적으로 돌아가자 208
회식 및 접대의 매너 211

맺으며 220

참고문헌 222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