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자원위기와 차세대에너지

자원위기와 차세대에너지

  • 김신종
  • |
  • 박영사
  • |
  • 2020-01-31 출간
  • |
  • 425페이지
  • |
  • 178 X 252 X 31 mm /838g
  • |
  • ISBN 9791130308753
판매가

28,000원

즉시할인가

27,72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7,72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1편 에너지 정책학
제1강 서론: 에너지정책학의 위기 3
Ⅰ. 에너지란 무엇인가? 3
Ⅱ. 에너지와 산업 5
1. 산업혁명과 에너지 5
2. 제1, 2차 석유파동과 에너지 8
Ⅲ. 우리나라의 에너지 정책연구 9
1. 우리나라 에너지 소비패턴의 변화 9
2. 우리나라의 에너지 정책연구 12
Ⅳ. 에너지정책학의 위기 13
1. 화석에너지의 위기 13
2. 지구환경의 위기 18
3. 에너지시장의 위기 24

제2강 석유: 화석에너지의 총아 27
Ⅰ. 석유의 지정학 28
1. 영ㆍ미-메이저를 앞세운 세계에너지패권 구축 28
2. 영ㆍ미 간의 패권국가 교체 34
3. 일본-아시아 지역의 패권 추구 38
4. 중국-잠에서 깨어난 거인 39
5. 러시아-유라시아 에너지제국의 건설 40
Ⅱ. 석유산업의 역사 41
1. 세계 최초의 기계식 상업유전-미국, 펜실베이니아에서 42
2. 회전굴착식 대형유전-미국, 텍사스에서 43
3. 미국 이외 지역의 대형유전 45
4. 중동지역-세계 석유의 메카 46
5. 자원민족주의와 국영석유회사(NOC) 47
6. 초대형 유전-알래스카, 북해 48
7. 카스피해역-Pipe-Line의 정치학 48
8. 심해저, 극지유전-초(超)고유가의 산물 50
Ⅲ. 석유산업의 미래 51
Ⅳ. 세계 및 국내 석유시장 54
1. 세계시장의 수급구조 54
2. 세계시장의 구조 변화 57
3. 국내 시장 60
Ⅴ. 석유정책의 과제 62
1. 한국 석유정책 약사(略史) 62
2. 석유정책의 과제 65

제3강 석탄: 미운 오리새끼의 부활 74
Ⅰ. 산업혁명과 석탄 75
Ⅱ. 기후변화와 석탄 76
Ⅲ. 세계 석탄시장 78
1. 현황 78
2. 전망 81
3. 중국변수 82
Ⅳ. 국내 석탄산업 82
1. 석탄산업 합리화 82
2. 국내 무연탄을 해외유연탄으로 대체 84
3. 석탄생산지역 소요사태 84
Ⅴ. 석탄정책의 과제 85
1. 폐광지역 경제 활성화 85
2. 대한석탄공사의 구조조정 85
3. 북한무연탄 개발 86
4. 청정석탄기술 개발 87

제4강 가스: 클린 에너지의 대표 선수 88
Ⅰ. 올림픽과 가스 88
Ⅱ. 세계 가스시장 89
1. 매장량, 생산량, 수요량 90
2. 가스교역 93
3. 교역환경의 변화 95
4. LNG 가격 추이 96
Ⅲ. 국내 가스산업 97
1. LNG 배관산업 97
2. LPG 용기산업 97
Ⅳ. 가스정책의 과제 99
1. 한국 가스정책 약사(略史) 99
2. 가스정책의 과제 100
3. 맺음말 103

제5강 셰일가스: 에너지권력의 재편 105
Ⅰ. 셰일가스와 비전통에너지자원 107
1. 셰일가스(Shale Gas) 107
2. 비전통에너지자원 108
3. 에너지원의 재분류 110
Ⅱ. 셰일가스 개발현황과 세계 Energy-Mix의 변화 111
1. 세계 각국의 셰일가스 개발현황 111
2. 세계 Energy-Mix의 변화 113
Ⅲ. 셰일가스의 경제적 의의와 환경문제 117
1. 셰일가스의 경제적 의의 117
2. 셰일가스 개발과 환경문제 118
Ⅳ. 셰일가스와 에너지권력의 재편 120
1. 에너지권력 약사(略史) 120
2. 셰일가스 시대의 에너지권력 재편 122
Ⅴ. 정책과제: 한국의 대응전략 123
1. 셰일가스 개발이 우리나라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123
2. 산업 별 대응전략 124

제6강 원자력: 야누스의 두 얼굴 126
Ⅰ. 원자력의 명(明)과 암(暗) 128
1. 원자력의 명(明) 128
2. 원자력의 암(暗) 129
3. 야누스적 판단(이중성 인정하기) 130
Ⅱ. 세계 원자력 발전산업 131
1. 원전산업 약사(略史) 131
2. 원전산업 현황과 전망 133
3. 핵연료주기사업 136
4. 원전사고 138
Ⅲ. 한국 원자력 발전산업 142
1. 한국원전의 과거와 현재 142
2. 한국원전의 미래 145
Ⅳ. 원전정책의 과제 146
1. 원전의 경쟁력 제고와 수출산업화 148
2. 원전생태계 보호 151
3.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부지 확보 152
4. 남북한 핵불균형 해소 154

제7강 전기: 편리하나 값비싼 최종에너지 158
Ⅰ. 세계 전력 시장 159
1. 전력생산과 소비 160
2. IEA회원국과 한국의 전력사정 비교 161
3. 용도별 전력사용량 163
4. 전기요금 163
5. 전력의 국제교역 164
Ⅱ. 국내 전력산업 165
1. 국내 전력산업 약사(略史) 165
2. 국내 전력산업 현황 167
3. 전력수급 168
4. 전기품질 169
Ⅲ. 전력정책의 과제 169
1. 전력산업 구조개편 170
2. 전력수급의 안정 176
3. 전력산업의 해외진출 176
4. 발전부문 대기오염 저감 177

제8강 신ㆍ재생에너지 총론 180
Ⅰ. 세계의 신ㆍ재생에너지 산업 182
1. 현황과 전망 182
2. 1차에너지와 신ㆍ재생에너지 183
3. 2차에너지와 신ㆍ재생에너지 184
Ⅱ. 한국 신ㆍ재생에너지정책의 변천과정 186
1. R&D 위주의 대체에너지 개발 186
2. 신ㆍ재생에너지의 보급 확대 187
3. 신성장동력으로 신ㆍ재생에너지 육성 188
4. 원전축소, 신ㆍ재생에너지로 대체(“재생에너지 3020”) 192
Ⅲ. 신ㆍ재생에너지와 에너지 전환정책 198

제9강 신ㆍ재생에너지 각론 201
Ⅰ. 재생에너지 201
1. 태양광 201
2. 풍력 203
3. 태양열 205
4. 바이오 207
5. 폐기물 208
6. 수력 210
7. 지열 211
8. 해양에너지 213
Ⅱ. 신에너지 215
1. 수소연료전지 215
2. 석탄 가스화ㆍ액화 218

제10강 결론: 차세대 대안에너지의 모색 222
Ⅰ. 에너지정책의 위기 223
1. 도전과 비판하의 화석에너지 223
2. 원전사고와 그 파장 225
3. 지구 환경문제 225
4. 에너지시장의 진화와 중재자 부재 226
Ⅱ. 대안에너지 채택 시 고려변수 226
1. 양(量)의 문제 226
2. 환경문제 227
3. 분쟁유발이 없는 에너지 227
4. 기술개발 227
Ⅲ. 대안에너지의 모색 228
1. 몇 가지 논의사항 228
2. 차세대 대안에너지 후보군(群) 230
3. 맺음말 233

제2편 자원 정책학
제1강 해외자원개발 입문 237
Ⅰ. 광물ㆍ광업 238
1. 광물(鑛物: Mineral) 238
2. 광업(鑛業: Mining) 239
Ⅱ. 품위ㆍ정광ㆍ매장량 240
1. 품위(品位: Grade) 240
2. 정광(精鑛: Concenturate) 240
3. 매장량(埋藏量: Ore Reserves) 240
Ⅲ. 탐사ㆍ채광ㆍ선광ㆍ회수율 243
1. 탐사(探査: Exploration) 243
2. 채광(採鑛: Mining) 245
3. 선광(選鑛: Concentration) 247
4. 회수율/품위 248
Ⅳ. 광업권ㆍ탐사권ㆍ채굴권ㆍ조광권ㆍ광구 249
1. 광업권(鑛業權: Mining Right) 249
2. 탐사권(探査權)ㆍ채굴권(採掘權) 250
3. 조광권ㆍ광구 251
Ⅴ. 자주개발률 251
1. 개념 251
2. 적용사례 252
Ⅵ. 계약체결 절차 253
1. LOI(Letter of Intent: 의향서) 254
2. MOU(Memorandum of Understanding: 양해각서) 254
3. HOA(Head of Agreement: 합의각서) 254
4. LOA(Letter of Agreement: 기본계약) 255
5. Contract(최종계약) 255

제2강 해외자원개발의 필요성(Why) 256
Ⅰ. 제국주의와 식민지자원 수탈 257
1. 국민국가(Nation State)의 태동 257
2. 국민국가와 제국주의 258
3. 제국주의의 극복 258
Ⅱ. 무역대국 KOREA의 생존전략 259
1. 「행정국가」와 ‘수출주도형 성장전략’ 259
2. ‘Made in Korea’가 팔리는 이유 260
3. 무역대국 KOREA의 생존전략 261
Ⅲ.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해외자원개발사업 262
1. 비판론 ①에 대한 반론 262
2. 비판론 ②에 대한 반론 263
3. 보론(補論) 263
4. 맺음말 264

제3강 5대양 6대주의 자원여건(Where) 265
Ⅰ. 지구상의 자원밀집지역(Resource-Belt) 265
1. 석유 밀집지역(Oil-Belt) 266
2. 구리 밀집지역(Copper-Belt) 266
3. 제철용 석탄 밀집지역(Coking coal-Belt) 267
4. 희토류 매장지역 268
5. 리튬 매장지역 269
6. 망간단괴 부존지역 270
Ⅱ. 세계의 자원분쟁지역 271
1. 페르시아만 271
2. 카스피해 272
3. 서태평양 273
Ⅲ. 우리나라의 해외자원개발 진출지역 275
1. 석유ㆍ가스 분야 275
2. 광물 분야 277
Ⅳ. 대륙별 자원개발 포텐셜(Potential) 278
1. 아시아 278
2. 유럽 281
3. 북미 282
4. 대양주 283
5. 중남미 284
6. 아프리카 286
7. 대륙별 자원개발 포텐셜(요약) 288

제4강 개발대상 광물(What) 289
Ⅰ. 일반광물 vs 법정광물 290
1. 일반광물 290
2. 법정광물 291
Ⅱ. 전략광물 292
1. 6대 전략광물 292
2. 신(新)전략광물 299

제5강 자원최빈국의 자원개발전략(How) 304
Ⅰ. 해외광구 개발권 획득 306
1. 국제입찰 vs 직접협상 306
2. 지분매입(Farm-in) 307
Ⅱ. 해외자원개발 추진절차 308
1. 사전조사 308
2. 대상국 방문 및 교섭 309
3. 양해각서(MOU) 체결 310
4. 광구실사 310
5. 기술성ㆍ경제성 평가 311
6. 본계약 체결 311
Ⅲ. 사전 필수 검토사항 311
1. 위험분석 312
2. 경제성분석 315
Ⅳ. 자원최빈국의 자원개발전략 317
1. 문제점 317
2. 한국형 해외자원개발 추진전략 322

제6강 북한자원 Ⅰ(과거) 326
Ⅰ. 서론 327
Ⅱ. 고대와 중세의 한반도자원 개발 328
1. 고구려 329
2. 신라 329
3. 고려, 조선 330
Ⅲ. 구한말 서구열강의 자원침탈 331
1. 미국 331
2. 독일 332
3. 영국 332
4. 기타 333
Ⅳ. 제국주의 일본의 자원침탈 335
1. 지질광상조사 335
2. 광업법 제정ㆍ공포 336
3. 제국주의 일본이 수탈한 주요 광산 337
Ⅴ. 북한 지하자원의 잠재가치 추정 339
1. 객관성 제고를 위한 사전검토 340
2. 북한 지하자원의 잠재가치 추정 342

제7강 북한자원 Ⅱ(미래) 345
Ⅰ. 북한의 광업현황 346
1. 일반현황 346
2. 광업 부문별 현황 359
3. 광물자원의 부존특징 360
Ⅱ. 북한 광물자원 투자환경과 외국기업 투자현황 363
1. 투자환경 363
2. 외국기업 투자유치 전략 367
3. 외국기업 투자현황 368
Ⅲ. 북한의 주요 대형광산 370
1. 무산철광산 370
2. 검덕연아연광산 370
3. 혜산동광산 371
4. 대흥마그네사이트광산 371
5. 희토류광산 372
Ⅳ. 북한광물자원 개발전략 373
1. 제1기 남북 경제협력사업 374
2. 북한광물자원 개발을 위한 실천전략 376

참고문헌 380
에너지 노트 384
찾아보기 407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