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보건교사 임용고시 시험대비
전공보건 단권화
-제1편 지역사회간호학
-제2편 정신간호학
본 교재는 이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01 본 교재는 김동현 전공보건 이론 강의에서 주교재로 활용됩니다. 이 교재를 활용하여 단권화의 기본 frame(틀)로 사용하시면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겠습니다.
02 그동안 기출 되었던 부분을 해당 전공영역에 가능한 모두 표시하였습니다. 기출된 영역을 확인하고 출제 가능한 영역을 분석하며 탐색할 수 있습니다.
본 교재는 보건교사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선생님들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 책은 전공과목인 간호학을 석·박사과정에서 공부하듯 더 깊이 연구하거나 또는 분
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 오직 보건교사 시험에 효율적·효과
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유일한 목적입니다.
이러한 목적 아래 만들어진 교재는 시험에 출제된 내용이 무엇인지 또 앞으로 출제가능
성이 높은 영역은 어떠한 부분인지를 선명하게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에 따라 이번 개정에서는 우선 지역사회간호학의 논리적 흐름을 개론-미시이론-
거시이론-실제(분야)의 형태로 재편하여 제1장 지역사회간호개론(개론), 제2장 지역
사회간호 이론, 제3장 건강증진과 보건교육(여기까지 미시이론), 제4장 지역사회 보건
행정, 제5장 지역사회 간호과정, 제6장 역학과 질병관리(여기까지 거시이론), 제7장
가족간호에서 제10장 환경과 건강까지(실제 또는 분야)로 편성하였습니다. 이러한 체
계적 접근으로 복잡하고, 광범위한 지역사회간호학이 쉽게 잘 정리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합니다.
또한 최근 출제가 집중되고 있는 관련 법령들의 개정 영역을 충실하게 반영하여 시험에
잘 대비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학교보건 관련 법령). 또한 정신간호학 영역의 경우
초판의 틀을 유지하면서 치료적인 영역, 즉 약물치료와 비약물치료의 여러 영역들을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여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정신간호학의 출제
난이도가 높아지고 있는 출제경향을 고려할 때 교재를 통한 충실한 학습이 고득점의 이
유가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