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신편 백호전집 (하)

신편 백호전집 (하)

  • 백호 임제
  • |
  • 창비
  • |
  • 2014-11-25 출간
  • |
  • 844페이지
  • |
  • ISBN 9788936472528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40,000원

즉시할인가

36,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6,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시詩

제2부 미편년시未編年詩
애정愛情
수줍어 말 못하고 ┃복암사에서 우연히 향렴체로 짓다 ┃거문고 아가씨에게 ┃무제 ┃향렴체 ┃향렴체로 우연히 짓다 ┃그네타기 노래 ┃무제 ┃영사詠史 ┃고의古意 ┃장난삼아 짓다 ┃별의別意 ┃향렴체로 지어 경수에게 주다 ┃무제 ┃어느 여인을 위하여 ┃기생 만사 ┃배 젓는 노래 ┃그리움 ┃무제 ┃별의別意 ┃서곤체를 본떠 ┃안원헌의 운을 써서 서곤체로 짓다 ┃무제無題 ┃억진아憶秦娥

증답贈答
이평사를 송별하여 ┃성이현과 작별하며 ┃만월대에서 벗과 작별하며 ┃김여명과 작별하며 ┃김생이 공사貢士로 상경하기에 ┃김시극의 부채에 청계의 시를 차운하여 쓰다 ┃무진장에서 김시극에게 ┃김시극과 작별하며 ┃고인후에게 ┃금객琴客에게 ┃유우경에게 ┃떠나는 이에게 ┃김목사에게 부쳐 ┃남간에서 성칙우에게 주는 시 ┃낙매를 노래하여 칙우에게 주다 ┃유상사에게 ┃안극회와 작별하며 ┃정자신의 시에 차운하여 ┃정자신을 그리며 ┃정지승의 시에 차운하여 ┃정자신을 송별하여 ┃정자신에게 ┃회계로 부쳐 ┃서울 가는 청계를 송별하여 ┃송암에게 주다 ┃서릉에서 〔붙임〕남창의 시 ┃김남창과 전사관典祀官에 차정되어 주고받은 시 ┃김남창의 시에 차운하여 ┃서릉에서 이참봉에게 ┃창녕 냇가에서 김대중과 취중에 작별하며 ┃심발지에게 부쳐 ┃동년 박천우에게 편지를 부치다 ┃함평에서 오수보에게 주다 ┃취중에 벗의 시를 차운하다 ┃춘호와 농서두 시인에게 ┃정담에게 ┃정몽여의 부채에 써서 ┃강경필에게 ┃현무에게 ┃현무와 작별하며 ┃진경문 수재에게 ┃다시 경수 등 여러분에게 ┃흥의역에서 ┃청川 목사에게 ┃앙암 주중에서 ┃술을 보내옴에 감사하여 ┃고당강의 병든 벗을 찾아 ┃호서영에서 안중실과 작별하며 ┃송별 ┃안시은에게 ┃곽미수에게 주다 ┃읍청정 주인에게 ┃관수정 주인에게 ┃허씨의 계당에서 하서의 시에 차운하여 ┃신유선에게 작별하며 준 글 ┃전계하 선생에게 ┃김원외가 고을살이를 원해 나가는 데 부쳐 ┃김판관에게 ┃녹양역에서 남랑과 작별하며 ┃남군초에게 ┃즉사卽事 ┃백운산에서 김석여와 작별하며 ┃한심약에게 ┃상수와 작별하며 ┃자관의 시에 차운하여 임경침에게 주다 ┃백련사에서 자관의 시에 차운하여 ┃아우 자침에게 부치다 ┃아우 자중의 부채에 써주다 ┃만덕사로 가는 아우 탁에게 ┃아우 탁을 송별하며 아울러 심발지에게 부치다 ┃금리에 아우들을 두고 떠나며 ┃신춘新春에 아우들에게 부치다

제영題詠
해일루에 붙여 ┃지황문의 강정 ┃만취정 10영 ┃영사당 8영 ┃춘초정에 묵으며 ┃바람 부는 밤 고정高亭에서 ┃영벽당 ┃수월정 8영 ┃송부마의 수월정을 지나면서 ┃영귀정 시에 차운하여 ┃눈금당 ┃고송정의 서늘함 ┃청허정 ┃취하여 송송정에 쓰다 ┃청영정 ┃거야 김장의 집 ┃쌍벽당 ┃요월당 〔붙임〕원운 풍암 ┃희경루 ┃이승지 산재 ┃춘초정에 붙여 ┃소요정 ┃용호의 청영정 ┃응취정에 붙여 ┃애련당, 풍암 중부仲父의 시에 차운하여 ┃청계정사 비오는 날 ┃차운하여 육우암에 쓰다

도석道釋
진감에게 ┃원명의 시축詩軸에 쓰다 ┃안도사에게 ┃현민의 시축에 쓰다 ┃법사의 시축에 차운한 시 ┃인호 스님에게 ┃계묵에게 ┃설순의 시축에 적힌 풍암 중부의 시에 차운하다 〔붙임〕원운 풍암 ┃약사전에서 영언에게 ┃경신에게 ┃백록의 시에 차운하여 정원에게 주다 ┃스님의 시축에 쓰다 ┃일웅의 시축에 쓰다 ┃수학하는 중에게 ┃천연에게 ┃규선에게 ┃경담에게 ┃보웅에게 ┃보운스님에게 ┃차운하여 청운에게 주다 ┃인감의 시축에서 관원의 시를 보고 감회가 일어 화답하다 ┃유오에게 주다 ┃담정에게 ┃스님의 시축에 쓰다 ┃스님에게 ┃도잠 노승에게 ┃촛불 들고 홍작약을 구경하다 ┃윤참판 시에 차운하여 거문고 타는 중에게 주다 ┃고태헌 시에 차운하여 성은의 시축에 쓰다 ┃봉암의 예전 은거하던 곳을 찾아 ┃태능에게 차운하여 주다 ┃율곡 시에 차운하여 조일에게 주다 ┃해우 스님에게 ┃처영에게 ┃봉암을 찾아 유숙하며 ┃차운하여 스님에게 주다 ┃우瑀 노장에게 ┃즉사 ┃스님의 시권詩卷에 차운하여 ┃옥로 스님의 시에 차운하여 ┃고향의 중 천진에게 ┃석천 시에 차운하여 원공에게 지어주다 ┃무등산 스님의 시축에 차운하여 ┃중의 시축에 우연히 쓰다 ┃덕린의 시축에 차
운하여 ┃지정의 시축에 쓰다 ┃홍찬의 시축에 쓰다 ┃절립승 ┃광혜대선에게 차운하여 주다 ┃가지사 ┃태헌의 시에 차운하여 스님에게 주다 ┃금선요金仙謠 ┃매당자명록 ┃지상至祥의 시에 차운하여 ┃신웅의 시에 차운하여 ┃유관의 시에 차운하여 ┃언홍에게 ┃의영의 시에 차운하여 ┃충서의 시에 차운하여 ┃가언의 시에 차운하여 ┃태화의 시에 차운하여 ┃보기寶器의 시에 차운하여 ┃일정一正에

도서소개

[신편 백호전집(하)]는 백호 문학의 전모를 꿰뚫어볼 수 있는 방대한 저작으로, 원문에 충실하되 현대적인 언어로 풀어 쓰고, 원 문집에서 누락된 작품들도 여러 판본을 대조 검토하여 수록한 책이다. 이 책은 『역주 백호전집』(창작과비평사 1997)을 바탕으로 기존 번역과 주석을 새롭게 다듬었으며, 편제를 완전히 일신하여 엮었고, 전체는 크게 시편(詩編)과 산문편(散文編)으로 구분하여 시편은 두 부로, 산문편은 세 부로 나누었다.
조선 문단을 대표하는 백호 문학
그 전모를 살필 수 있는 귀하고 뜻 깊은 전집의 집대성

우리 문학사의 가장 낭만적이고 매력적인 문인의 한 사람인 백호 임제(林悌, 1549~1587)의 문학세계를 집대성한 바 있던 『역주 백호전집』(창작과비평사 1997)을 바탕으로 기존 번역과 주석을 다듬어 현대적으로 만듦새를 꾸민 『신편 백호전집』이 출간되었다. 백호 문학의 전모를 꿰뚫어볼 수 있는 방대한 저작으로, 원문에 충실하되 현대적인 언어로 풀어 쓰고, 원 문집에서 누락된 작품들도 여러 판본을 대조 검토하여 수록하였다.
우리나라 한문학계의 거두인 고(故) 신호열 선생과 임형택 선생이 참여했던 『역주 백호전집』에 이어 이번 ‘신편’ 작업에는 젊은 한문학자들(이현일 장유승 서한석)이 참여하여 오늘의 독자들이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한층 현대적인 해석과 의미를 더했다는 의의가 있다.
조선시대 문학의 정수와 백호 임제의 문학세계 전모를 살펴보는 데에 더없이 귀중하고 가치 높은 자료가 될 것임에 틀림없다.

500년 조선 문단의 독보적 존재 백호 임제

백호(白湖) 임제(林悌, 1549~1587)는 39세 짧은 생애에 비해 남겨놓은 작품이 다양하고 풍부하다. 매우 개성적이고 창조적인 문학세계를 펼친 작가로서 시와 산문에서 모두 이름이 높고, 호탕한 기질과 자유분방한 성격, 남다른 기상과 개성에서 우러나온 특출한 언어 형상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일찍이 동시대 후배 허균(許筠)은 백호의 「수성지(愁城誌)」를 두고 “인류 역사가 생긴 이래 별문자(別文字)이다. 이를 얻지 못했다면 천지간에 한 결함이 되었을 것”이라고 격찬한 바 있다. 이에 더하여 백호전집의 편역자 임형택 교수는 “백호의 특이한 시와 산문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우리 문학사에 한 결함일 것이다”라고 평하였다. 이렇듯 세대를 초월한 평가는 백호의 웅혼한 문학세계의 전모와 작품의 면면을 접함으로써 온전히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

원형의 재구, 신편 백호전집의 짜임새

『신편 백호전집』은 『역주 백호전집』(창작과비평사 1997)을 바탕으로 기존 번역과 주석을 새롭게 다듬었으며, 편제를 완전히 일신하여 엮었다.『역주 백호전집』이후 발견된 임제의 초기 시문집인 『겸재유고(謙齋遺藁)』 및 여러 친필 자료 등에서 새로 수습한 시를 추가하는 등, 가능한 대로 유고들을 모두 수습하여, 전집의 형태로 만듦으로써 백호 문학의 전모를 통일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전면적으로 개편한 것이다. 원집 편찬 당시에 제외한 시들을 신발굴이라는 명목으로 챙겨 수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냐는 의문을 가정하며 편역자(임형택)는 당시의 정선주의를 그대로 따르기보다 4백년 넘어 파묻혀 있던 소중한 문헌을 확보해서 시인의 원형을 재구하는 학적인 작업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확실히한다.
전체는 크게 시편(詩編)과 산문편(散文編)으로 구분하여 시편은 두 부로, 산문편은 세 부로 나누었다. 시편에서는 우선 쓰인 시기에 따라 배치하고(편년시), 시기를 알 수 없는 작품들은 주제로 구별해 수록했다(미편년시). 한시는 창작 주체의 삶의 족적과 밀착된 문학양식인만큼 시간에 연계시킨 편차는 인간 중심의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산문편은 문학적 성격으로 나눠 제1부 한문학의 전래적 양식에 속하는 글들, 2부 허구적 수법의 산문들, 제3부 여행기를 수록했다. 1부 『청등논사』란 제목으로 수록된 6편은 모두 역사상의 특정한 사실에서 취재, 논의를 전개하고 평을 가한 일종의 사론(史論)으로 난해하긴 하지만 개성적 필치에 독견이 번득인다. 2부의 허구적 산문은 한국문학사에서 특이하게 발전했던 의인체와 몽유록 형식을 빌린 것들로, 소설적인 산문으로 평가되는바 역사철학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수성지」 「화사」 「원생몽유록」 3편은 불의와 폭력, 모순으로 얼룩진 인간의 역사를 고발한 내용으로, 「원생몽유록」은 세조가 단종을 축출, 살해했던 비극적 사건에서 취재한 작품이다. 3부의 『남명소승(南溟小乘)』은 제주도 여행기이자 지리지 내지 풍속지로서 실사와 상상이 교직되어 하나의 전체를 구성한 작품이다. 그 외 부록은 종래 문집에 실렸던 서·발, 그리고 묘갈문· 유사 등 관련 기록을 한데 모아 엮었다. 모든 원문은 이본들을 두루 참고하여 교감(校勘)하였으며, 주를 붙여 관련 내용을 밝혔다.

3세대의 40년 공력이 빚어낸 결실

『역주 백호전집』 한문학 연구의 큰 스승인 우전(雨田) 신호열(辛鎬烈) 선생이 1977년 번역을 시작하여 한 세대 아래인 임형택 교수가 함께 역주하다 우전 선생이 1993년 작고하면서 임형택 교수가 마무리하여 20년 만에 세상에 내놓았었다. 이번 『신편 백호시선』은 다시 임형택 교수와 한 세대 아래 소장학자 서한석· 장유승 ·이현일 교수가 함께 작업했으니, 3세대에 걸쳐 40년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