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0 10년 기출 헌법 핵심지문총정리

2020 10년 기출 헌법 핵심지문총정리

  • 아름다운새벽 편집부
  • |
  • 아름다운새벽
  • |
  • 2019-10-18 출간
  • |
  • 483페이지
  • |
  • 190 X 260 mm
  • |
  • ISBN 9791186952375
판매가

27,000원

즉시할인가

24,3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4,3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여러 번의 개정판을 거듭하면서 수험생들이 가장 절실하게 바라는 바를 빠짐없이 잘 반영하고자 노력하였고, 본서에 대한 수험생들의 호평으로 노력에 대한 보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불필요한 내용은 배제하고, 반복 출제될 가능성이 있는 중요지문을 선별하고 또 선별하여 효율성을 극대화시킨 핵지총의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을 이번 개정판에서도 잘 유지 하였습니다.

 

핵지총의 장점은 이미 수험생들의 열렬한 반응으로 확인된 바 있으며, 실제 시험에서도 그 효용성이 입증되었습니다.

 

2020년 대비 개정판은 기존의 핵지총의 장점을 극대화시키는 것에 중점을 두어 집필하였습니다. 사법시험, 변호사시험, 5급 공채, 입법고시, 각종 7급 시험 등의 10년 기출지문을 모두 반영한 것은 물론, 유사한 판례를 모두 유형화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강화시켰습니다.

 

본서는 방대한 헌법을 효율적으로 정리하고, 단기간에 모든 헌법시험에 대한 대비가 가능하도록 집필한 교재입니다. 기본서를 볼 시간적 여유가 없는 학생들에게는 기본서를 대신할 수 있음을 자신있게 알립니다.

목차

PART 01 헌법총론

 

/ CHAPTER 1 / 헌법과 헌법학 2

 

제1절 헌법의 의의 2

제1항 헌법의 개념 2

Ⅰ. 역사적 발전에 따른 헌법개념 2

Ⅱ. 존재형식을 기준으로 한 헌법개념 2

Ⅲ. 헌법전의 존재여부 및 개정난이도를 기준으로 한 헌법개념 3

제2항 헌법의 특질 3

Ⅰ. 헌법의 최고규범성 3

Ⅱ. 헌법의 개방성 4

Ⅲ. 그 외 헌법의 특질 4

Ⅳ. 판례 4

 

제2절 합헌적 법률해석 6

Ⅰ. 합헌적 법률해석의 의의 및 연혁 6

Ⅱ. 합헌적 법률해석의 근거 및 한계 6

Ⅲ. 합헌적 법률해석의 유형 및 기속력 7

Ⅳ. 국가보안법 관련 판례 8

 

제3절 헌법의 개정·변천 9

제1항 헌법의 개정 9

Ⅰ. 개념 9

Ⅱ. 헌법개정의 한계 9

Ⅲ. 헌법개정의 구체적 한계 10

Ⅳ. 현행헌법의 개정절차(헌법 제128조 ·· 제130조) 10

제2항 헌법의 변천 11

Ⅰ. 개념 및 기능 11

Ⅱ. 헌법변천의 실례 12

 

제4절 헌법의 수호 12

제1항 헌법수호의 의의와 방법 12

Ⅰ. 헌법수호의 의의 12

Ⅱ. 헌법수호의 방법 13

제2항 국가긴급권 13

제3항 저항권 13

제4항 방어적 민주주의 14

Ⅰ. 방어적 민주주의의 개념 14

Ⅱ. 대한민국헌법상의 방어적 민주주의 15

 

/ CHAPTER 2 / 대한민국헌법 총설 16

 

제1절 대한민국헌정사 16

Ⅰ. 건국헌법 16

Ⅱ. 헌법의 개정과정 16

 

제2절 대한민국의 구성요소 19

Ⅰ. 국가권력 19

Ⅱ. 국민 20

Ⅲ. 북한주민과 북한의 법적 지위 25

Ⅳ. 국가의 영역 26

 

제3절 헌법의 기본원리 27

제1항 대한민국헌법의 전문 27

제2항 헌법의 기본원리 28

Ⅰ. 국민주권의 원리 28

Ⅱ. 사회국가의 원리 28

Ⅲ. 문화국가의 원리 29

Ⅳ. 법치국가의 원리 29

Ⅴ. 신뢰보호원칙 30

Ⅵ. 소급입법금지원칙 31

Ⅶ. 판례 33

 

제4절 대한민국헌법의 기본질서 37

제1항 민주적 기본질서 37

제2항 사회적 시장경제질서 38

Ⅰ. 현행헌법과 경제적 기본질서 38

Ⅱ. 현행 헌법상 경제조항의 구체적 검토 39

Ⅲ. 판례 42

제3항 평화주의적 국제질서 43

Ⅰ. 국제평화주의 및 침략전쟁의 부인 43

Ⅱ. 국제법질서 존중주의 43

Ⅲ.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의 국내법적 효력 46

Ⅳ. 외국인의 법적 지위의 보장 46

Ⅴ. 평화통일의 원칙 47

 

제5절 헌법의 기본제도 47

제1항 헌법과 제도적 보장 47

Ⅰ. 제도적 보장의 의의 및 법적 성격 47

Ⅱ. 제도적 보장과 기본권 48

Ⅲ. 제도의 보장정도 48

제2항 정당제도(복수정당제) 49

Ⅰ. 정당의 개념 및 정당자유의 내용 49

Ⅱ. 정당조항의 변천 및 정당의 성격 50

Ⅲ. 헌법 제8조의 의미 50

Ⅳ. 정당의 설립 52

Ⅴ. 위헌정당의 강제해산 53

Ⅵ. 정당의 등록취소 54

Ⅶ. 판례 55

제3항 선거제도 58

Ⅰ. 선거의 기본원칙 및 선거권의 보장 등 58

Ⅱ. 비례대표 선거제도 60

Ⅲ. 선거제도의 내용(공직선거법) 61

Ⅳ. 판례 64

제4항 공무원제도 74

Ⅰ. 공무원제도의 의의 74

Ⅱ. 직업공무원제도 75

Ⅲ. 판례 76

Ⅳ. 공무원연금제도 관련판례 78

제5항 지방자치제도 81

Ⅰ. 지방자치의 의의 81

Ⅱ. 지방자치의 보장 및 내용 82

Ⅲ. 지방자치단체의 권한 83

Ⅳ. 조례제정권의 한계와 통제 85

Ⅴ. 주민투표법, 주민소환법 등 87

Ⅵ. 판례 88

제6항 군사제도 89

Ⅰ. 군사제도의 의의 89

Ⅱ. 판례 90

제7항 교육제도 91

Ⅰ. 교육제도 91

Ⅱ. 대학의 자치 92

Ⅲ. 판례 93

제8항 가족제도 99

Ⅰ. 헌법 제36조 제1항의 법적 성격 99

Ⅱ. 판례 100

 

PART 02 기본권론

 

/ CHAPTER 1 / 기본권 총론 106

 

제1절 기본권 보장의 역사 106

 

제2절 기본권의 이중적 성격 106

 

제3절 기본권의 주체 107

Ⅰ. 기본권 주체로서의 국민 107

Ⅱ. 외국인의 기본권 주체성 107

Ⅲ. 법인의 기본권 주체성 109

 

제4절 기본권의 효력 111

제1항 기본권의 대국가적 효력 111

제2항 기본권의 제3자적 효력 111

제3항 기본권의 경합과 충돌 112

Ⅰ. 기본권의 경합과 충돌의 구별 112

Ⅱ. 기본권의 경합 112

Ⅲ. 기본권의 충돌 113

Ⅳ. 판례 114

 

제5절 기본권의 제한과 그 한계 116

제1항 기본권의 제한 116

Ⅰ. 기본권 제한의 유형 116

Ⅱ. 일반적 법률유보에 의한 기본권 제한 117

제2항 특별권력관계와 기본권 제한 119

Ⅰ. 특별권력관계의 의의와 기본권의 제한 119

Ⅱ. 판례 119

 

제6절 기본권의 확인과 보장 120

제1항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 120

Ⅰ.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의 의의 및 심사기준 120

Ⅱ. 판례 121

제2항 기본권의 침해와 구제 122

Ⅰ. 입법부작위에 의한 기본권 침해와 구제 122

Ⅱ. 국가인권위원회법 123

Ⅲ. 판례 124

 

/ CHAPTER 2 / 인간의 존엄과 가치·행복추구권·평등권 126

 

제1절 인간의 존엄과 가치·행복추구권 126

제1항 인간의 존엄과 가치 126

Ⅰ. 연혁 및 법적 성격 126

Ⅱ. 판례 126

Ⅲ. 성범죄 관련 판례 128

Ⅳ. 친일파 및 일본 관련 판례 132

제2항 행복추구권 134

Ⅰ. 행복추구권의 내용, 법적 성격 및 주체 134

Ⅱ. 판례 136

 

제2절 평등권 142

Ⅰ. 평등권 142

Ⅱ. 판례 144

 

/ CHAPTER 3 / 자유권적 기본권 156

 

제1절 인신의 자유권 156

제1항 생명권 156

Ⅰ. 생명권의 근거 및 법적 성격 156

Ⅱ. 생명권의 주체 156

Ⅲ. 판례 156

제2항 신체의 자유 157

Ⅰ. 신체의 자유의 실체적 보장 157

Ⅱ. 신체의 자유의 절차적 보장 160

Ⅲ. 형사피의자·형사피고인의 형사절차상 권리 163

Ⅳ. 판례 168

 

제2절 사생활자유권 191

 

제1항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191

Ⅰ. 연혁 및 보호범위 191

Ⅱ. 판례 192

제2항 개인정보자기결정권 192

Ⅰ.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근거 및 내용 192

Ⅱ.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제한 193

Ⅲ. 판례 193

제3항 주거의 자유 196

제4항 거주·이전의 자유 197

Ⅰ. 거주·이전의 자유의 내용 및 주체 197

Ⅱ. 판례 197

제5항 통신의 자유 198

Ⅰ. 통신의 자유의 의의 및 주체 198

Ⅱ. 판례 199

 

제3절 정신적 자유권 201

제1항 양심의 자유 201

Ⅰ. 양심의 자유 201

Ⅱ. 판례 203

제2항 종교의 자유 204

Ⅰ. 종교의 자유의 내용 204

Ⅱ. 종교의 자유의 한계 205

Ⅲ. 판례 205

제3항 언론·출판의 자유 207

Ⅰ. 언론·출판의 자유의 연혁 및 내용 207

Ⅱ. 검열금지원칙과 언론·출판 자유의 제한의 기준 210

Ⅲ. 판례 212

제4항 집회·결사의 자유 219

Ⅰ. 집회의 자유 219

Ⅱ. 결사의 자유 221

Ⅲ. 판례 221

제5항 학문과 예술의 자유 224

 

/ CHAPTER 4 / 경제적 기본권 225

 

제1절 재산권 225

Ⅰ. 재산권의 법적 성격 및 주체 225

Ⅱ. 재산권의 범위 225

Ⅲ. 재산권의 내용 및 제한 226

Ⅳ. 판례 229

Ⅴ. 상속관련 판례 236

제2절 직업선택의 자유 237

Ⅰ. 직업의 자유 237

Ⅱ. 직업선택의 자유와 단계이론 241

Ⅲ. 판례 242

 

제3절 소비자의 권리 255

 

/ CHAPTER 5 / 정치적 기본권 256

 

Ⅰ. 선거권과 공무담임권 256

Ⅱ. 판례 257

 

/ CHAPTER 6 / 청구권적 기본권 260

 

제1절 청원권 260

Ⅰ. 이론 260

Ⅱ. 판례 260

 

제2절 재판청구권 261

Ⅰ. 재판청구권 262

Ⅱ. 판례 264

 

제3절 국가배상청구권 269

Ⅰ. 국가배상청구권 269

Ⅱ. 판례 271

 

제4절 국가보상청구권 272

제1항 손실보상청구권 272

제2항 형사보상청구권 273

Ⅰ. 형사피고인보상과 형사피의자보상의 차이점 273

Ⅱ. 형사보상 및 명예회복에 관한 법률 273

Ⅲ. 판례 275

 

제5절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 275

 

/ CHAPTER 7 / 사회적 기본권 276

 

제1절 사회적 기본권 일반 276

 

제2절 인간다운 생활권 276

Ⅰ. 인간다운 생활권 277

Ⅱ. 판례 278

 

제3절 교육을 받을 권리 281

Ⅰ. 교육을 받을 권리 282

Ⅱ. 판례 283

제4절 근로의 권리 287

Ⅰ. 근로의 권리 287

Ⅱ. 판례 288

 

제5절 근로3권 290

Ⅰ. 근로3권 290

Ⅱ. 판례 291

 

제6절 환경권 294

 

/ CHAPTER 8 / 국민의 기본적 의무 296

 

Ⅰ. 기본적 의무 296

Ⅱ. 병역의무이행으로 인한 불이익처우의 금지 296

Ⅲ. 판례 297

 

PART 03 통치구조론

 

/ CHAPTER 1 / 통치구조의 근본이념 300

 

제1절 대의제의 원리 300

Ⅰ. 대의제의 의의 300

Ⅱ. 대의제와 직접민주주의 비교 300

 

제2절 권력분립의 원리 301

Ⅰ. 권력분립원리의 의의 301

Ⅱ. 권력분립론의 발전 302

 

/ CHAPTER 2 / 통치구조의 형태(정부형태) 303

 

Ⅰ. 대통령제와 의원내각제 303

Ⅱ. 현행 헌법상 대통령제적 요소와 의원내각제적 요소 304

 

/ CHAPTER 3 / 통치작용(국가기능·통치권력) 305

 

제1절 입법작용(입법권) 305

 

제2절 집행작용(집행권) 306

 

제3절 사법작용(사법권) 307

 

/ CHAPTER 4 / 통치의 기구 309

 

제1절 국회 309

 

제1항 국회의 헌법상 지위 309

 

제2항 의장과 부의장 309

Ⅰ. 의장과 부의장의 선출 309

Ⅱ. 의장의 직무대리 및 대행 310

Ⅲ. 의장 및 부의장의 겸직 및 사임제한 310

Ⅳ. 의장의 당적보유 금지 311

제3항 국회의 위원회 311

Ⅰ. 상임위원회 311

Ⅱ. 특별위원회 314

Ⅲ. 인사청문회 315

Ⅳ. 소위원회(국회법 제57조) 315

Ⅴ. 안건조정위원회(국회법 제57조의2) 316

Ⅵ. 전원위원회(국회법 제63조의2) 316

Ⅶ. 연석회의 318

Ⅷ. 국회의 교섭단체 318

제4항 정기회와 임시회 318

제5항 국회의 의사원칙 319

Ⅰ. 의사공개의 원칙 319

Ⅱ. 회기계속의 원칙 320

Ⅲ. 일사부재의 원칙 321

Ⅳ. 표결의 방법(국회법 제111조 및 제112조) 321

Ⅴ. 다수결 원칙 322

Ⅵ. 청원서의 제출(국회법 제123조) 322

제6항 정족수 323

제7항 국회의 입법에 관한 권한 325

Ⅰ. 법률제정에 관한 권한 325

Ⅱ. 조약의 체결·비준에 대한 동의권 328

제8항 국회의 재정에 관한 권한 329

Ⅰ. 조세 및 특별부담금 329

Ⅱ. 예산심의·확정권 331

Ⅲ. 판례 334

제9항 국정통제에 관한 권한 337

Ⅰ. 탄핵소추권 337

Ⅱ. 국정감사·조사권 340

Ⅲ. 국무총리·국무위원의 해임건의권 341

Ⅳ. 국무총리·국무위원 등의 국회출석요구 및 질문권 343

제10항 국회의 자율권(국회내부사항에 관한 권한) 343

Ⅰ. 규칙자율권 및 질서유지권 343

Ⅱ. 신분자율권 344

제11항 국회의원의 지위 345

제12항 국회의원의 특권 346

Ⅰ. 불체포특권 346

Ⅱ. 면책특권 347

제13항 국회의원의 권한과 의무 349

 

제2절 대통령 349

제1항 대통령의 신분과 직무(신분상 지위) 349

Ⅰ. 대통령의 취임 및 임기 349

Ⅱ. 대통령의 형사상 불소추특권 350

Ⅲ. 대통령의 권한대행 351

Ⅳ. 대통령의 의무 351

Ⅴ. 전직 대통령의 예우 352

제2항 대통령의 비상적 권한 353

Ⅰ. 긴급명령권 353

Ⅱ. 긴급재정·경제처분권 353

Ⅲ. 긴급재정·경제명령권 354

Ⅳ. 계엄선포권 355

Ⅴ. 국민투표부의권(정책국민투표제도) 356

제3항 행정입법에 관한 권한 357

Ⅰ. 행정입법의 분류 357

Ⅱ. 위임명령의 한계 357

Ⅲ. 판례 360

제4항 사면권 366

Ⅰ. 사면의 절차 및 효과 366

Ⅱ. 판례 367

 

제3절 정부 369

제1항 국무총리 369

제2항 국무위원 370

제3항 국무회의 371

제4항 행정각부 372

제5항 대통령의 자문기관 373

제6항 감사원 374

Ⅰ. 감사원의 지위 등 374

Ⅱ. 감사원의 구성과 신분보장 374

Ⅲ. 감사원의 권한 375

 

제4절 선거관리위원회 375

 

제5절 법원 377

제1항 사법권의 독립 377

Ⅰ. 법관의 재판상 독립과 신분상 독립 377

Ⅱ. 판례 379

제2항 법원의 조직 382

제3항 특별법원으로서의 군사법원의 지위 383

제4항 법원의 권한 384

Ⅰ. 명령·규칙심사권 384

Ⅱ. 위헌법률심판제청권 385

제5항 사법의 절차와 운영 386

Ⅰ. 재판의 심급제 386

Ⅱ. 재판의 공개제 387

Ⅲ. 국민의 형사재판 참여 387

 

/ CHAPTER 5 / 헌법재판소 389

 

제1절 헌법재판소의 지위 및 구성과 조직 389

제1항 역대헌법에서의 헌법재판기관의 구성과 관할 389

제2항 헌법재판소의 구성과 조직 390

Ⅰ. 헌법재판소장과 헌법재판관 390

Ⅱ. 재판관회의 390

제3항 심판절차의 일반원칙 391

Ⅰ. 재판부의 구성 391

Ⅱ. 심판청구의 취하 및 소송대리 392

Ⅲ. 심리 및 심판 392

Ⅳ. 타 법령의 준용 393

제4항 헌법재판과 가처분 394

제5항 헌법재판소 결정의 효력 395

Ⅰ. 확정력 395

Ⅱ. 기속력 395

 

제2절 위헌법률심판 396

제1항 위헌법률심판의 요건 396

Ⅰ. 위헌법률심판의 대상 396

Ⅱ. 재판의 전제성 398

Ⅲ. 법원의 제청 402

제2항 위헌법률심판의 기준 및 심리 402

제3항 결정주문형식 403

제4항 위헌결정의 효력 404

 

제3절 탄핵심판권 406

Ⅰ. 이론 406

Ⅱ. 판례 406

 

제4절 권한쟁의심판 408

Ⅰ. 권한쟁의심판의 의의 및 유형 408

Ⅱ. 당사자 능력 409

Ⅲ. 권한쟁의심판의 대상 - 피청구인의 처분 또는 부작위 411

Ⅳ. 권한의 침해, 청구기간과 심리 등 412

Ⅴ. 판례 413

 

제5절 헌법소원심판 417

제1항 헌법소원심판의 청구요건 417

Ⅰ. 청구인능력 417

Ⅱ. 공권력의 행사 또는 불행사(청구대상) 419

Ⅲ. 기본권 침해의 자기관련성·직접성·현재성(청구인 적격) 427

Ⅳ. 보충성의 원칙 431

Ⅴ. 권리보호의 이익 433

Ⅵ. 변호사강제주의 434

Ⅶ. 청구기간 435

Ⅷ. 일사부재리원칙 437

제2항 위헌심사형 헌법소원 437

제3항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재심 440

Ⅰ. 재심의 허용여부 440

Ⅱ. 재심 허용여부에 대한 판례 441

 

부록|판례색인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