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중국중세 호한체제의 사회적 전개

중국중세 호한체제의 사회적 전개

  • 박한제
  • |
  • 일조각
  • |
  • 2019-12-23 출간
  • |
  • 448페이지
  • |
  • 159 X 231 X 32 mm /736g
  • |
  • ISBN 9788933707661
판매가

42,000원

즉시할인가

40,74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0,74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호한체제란 무엇인가?
저자는 위진남북조-수당시대를 강의하고 연구하는 과정에서 이 시대의 흐름에 대한 중요한 특징을 찾고자 하였고, ‘호한체제(胡漢體制)’라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호한체제’란 후한 말 이후 중국 서북방 유목민족(호족)이 중원 지역으로 진입한 후 그곳에 살고 있던 농경민족(한족)과 대립?충돌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종국에는 공존의 길을 찾아간 기나긴 역정을 가리킨다. 그리고 그 결과로 나타난 것이 바로 세계제국인 수당의 문명이라는 주장이다. 저자는 후한 말부터 시작된 중국사상 최초의 ‘민족 이동’은 중국의 역사 전개에 새 국면을 열었다고 말한다. ‘중국고전문명’이 질적인 면에서 아주 다른 차원의 유목문화와 대면하게 된 것으로, 위진남북조에서 수당에 이르는 시기는 단순히 중국적 전통왕조의 계승이 아니라 ‘새로운 중국’ 형성의 과정이었다는 것이 저자의 관점이다. 이런 저자의 관점은 기존 학계의 연구 경향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기존의 학계에서 견지해 온 입장, 즉 ‘흡수론(吸收論)’적인 입장에서 보면, 중국의 모든 문명의 원류는 화하(華夏)에 근원하여 발전한 것으로 호족의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를 일방적 관점이라 지적하며 이런 잘못된 인식 때문에 생겨난 이론이 이른바 한화론(漢化論)이라고 말한다. 이에 대해 국내외 학계에서 저자의 견해에 대한 반론이 제기되었고, 중국학계에서도 심도 깊은 반론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호한체제의 사회적 전개 과정
호족들이 주체가 되고 한족이 참여하여 추진했던 호한통합은 정치적 행위와 제도 문제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경제, 사회, 문화, 생활습속 등 사회 전반에까지 이르렀다. 호족정권이 중원 지역에서 실시한 제도는 외형적으로 보면 한족정권이 오랫동안 시행해 왔던 정책과 매우 유사해 보인다. 특히 토지제도인 균전제가 그러하다. 그러나 그 속내를 보면 유목민들이 유목시절에 영위한 원리와 방식이 그 제도를 관통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균전제 외에도 당시 실시된 독특한 도시구조인 방장제와 다양한 예속민호의 출현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제도에도 호한 절충의 방식이 반영되었음을 설명하고 있다. 호와 한은 오랜 기간 중원이라는 동일한 지역에서 접촉하면서 서로의 관습을 익히고 혼혈됨에 따라 호한의 구별이 분명하지 않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호족정권이 이어짐에 따라 다른 인종들이 중국 영내로 진출하여 별다른 차별 없이 다양한 방면에서 활동하였다. 특히 이주민들의 대거 등장과 폭발적인 활동으로 융성하게 된 나라가 대당제국으로, 결국 대당제국은 호한복합사회였으며 도성인 장안은 호한 양족이 만들어낸 합작품임을 저자는 강조한다. 그러면서 유목민족의 중원 진출은 중국이 세계 최대의 족단(族團)을 가진 국가로 만들어지는 계기가 되었다고 말한다. 중국이 지대물박(地大物博)한 초대국가가 된 것은 호족들의 중원 진입이 가져다준 결과라는 것이다.
같이 출간된 『중국중세 호한체제의 정치적 전개』도 일독하기를 권한다. 이 두 책은 중국사를 연구하는 후학들에게는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며, 중국사에 관심 있는 독자들에게는 현재의 중국의 모습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책을 펴내며

제1장 계구수전제(計口受田制)와 북위(北魏) 균전제(均田制)
Ⅰ. 머리말
Ⅱ. 독과제(督課制)로서의 계구수전제
Ⅲ. 정복왕조와 독과제
Ⅳ. 계구수전제에서 균전제로의 전환
Ⅴ. 독과제와 삼장제

제2장 북위의 대민정책과 균전제
Ⅰ. 머리말
Ⅱ. 다양한[諸色] 예속민호의 출현
Ⅲ. 전토의 분화: 상전(桑田)·마전(麻田)·유전(楡田)·조전(棗田)의 출현
Ⅳ. 방할(方割)과 균전제·방장제(坊墻制)의 관계
Ⅴ. 동서무역·유목경제와 균전제의 기능

제3장 「목란시(木蘭詩)」의 시대 ―북위 효문제 시기 대유연전쟁과 관련하여―
Ⅰ. 머리말
Ⅱ. 「목란시」의 내용과 그 쟁점
Ⅲ. 가한과 천자로서의 북위 황제
Ⅳ. 책훈십이전(策勳十二轉)과 상서랑(尙書郞)
Ⅴ. 북위시대 명당의 설립 경위
Ⅵ. 흑산두(黑山頭)와 연산호(燕山胡)
Ⅶ. 통만성(統萬城) 성민(城民)으로서의 목란
Ⅷ. 군제와 목란
Ⅸ. 여자의 종군

제4장 대당제국 내 번인(蕃人)의 생활
Ⅰ. 머리말
Ⅱ. 번인의 인구수와 활동
1. 번인의 인구수
2. 번인의 활동 영역
Ⅲ. 번인의 법률적 대우
Ⅳ. 외국인의 활동과 호류(胡流)

제5장 위진남북조시대 묘장습속(墓葬習俗)의 변화와 묘지명(墓誌銘)의 유행
Ⅰ. 머리말
Ⅱ. 묘장습속의 변화
1. 봉분(封墳)과 배장(陪葬)의 문제
2. 허장(虛葬)·잠매(潛埋)와 오호십육국·북조의 장속
3. 묘전(墓前) 석각(石刻)의 문제
Ⅲ. 묘지명의 출현과 그 유행
1. 묘비에서 묘지명으로
2. 묘지명의 변화
3. 예제와 묘지명의 유행 문제

제6장 위진남북조-수당시대 장속(葬俗)·장구(葬具)의 변화와 묘비·묘지명 ―특히 묘지명의 자료적 성격―
Ⅰ. 머리말
Ⅱ. 장속과 장구
1. 분묘(墳墓)와 묘전(墓前) 장구
2. 묘중(墓中: 壙中) 장구
Ⅲ. 묘비·묘지명의 형제와 유행
1. 묘지명의 형제·문체, 그리고 규격상 등급
2. 묘비와 묘지명의 유행
Ⅳ. 묘지명의 자료적 가치
1. 수집과 정리
2. 자료로서의 묘지명

제7장 위진남북조시대 석각자료와 ‘호(胡)’의 서술 ―특히 『위서』의 서술과 비교하여―
Ⅰ. 머리말
Ⅱ. 석각자료의 수집과 연구
Ⅲ. 호족의 중원 진입 후의 실상과 도성제도 연구
1. 호족의 진입과 호한융합
2. 방장제 해명과 묘지명의 생·주·몰지 기록
Ⅳ. 관제와 석각자료
1. ‘가한’호칭의 개시·사용 문제와 석각자료
2. 직근(直勤)과 금석문
3. 근시관과 비명
4. 부병제와 석각자료
5. 유연(柔然) 등 내륙아시아 초원유목제국의 관제와 석각자료

결론

부록 북위(北魏) 균전법령(均田法令) 전석(箋釋)
중문 적요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박한제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5~2012년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2000~2002년에 한국중국학회 회장, 2005~2007년에 한국동양사학회 회장을 지냈다. 저서로 『중국중세호한체제연구』(1988), 『유라시아 천년을 가다』(공저, 2002), 『아틀라스 중국사』(주편, 2007), 『대당제국과 그 유산―호한통합과 다민족국가의 형성』(2015), 『중국 도성 건설과 입지―수당 장안성의 출현전야』(2019), 『중국 중세도성과 호한체제』(2019), 『중국중세 호한체제의 사회적 전개』(2019)가 있다. 역서로 『진인각, 최후의 20년』(공역, 2008), 역주서로 『이십이사차기』(전 5권, 2009), 답사기행기로 『박한제 교수의 중국 역사기행』(전 3권, 2003)이 있으며, 중국 중세 민족 관계 논문이 다수 있다. 제49회 한국출판문화상(번역 부문, 2008), 제3회 서울대학교 학술연구상(2010), 우호동양사학저작상(2017)을 수상하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