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고대농업사연구

한국고대농업사연구

  • 김용섭
  • |
  • 지식산업사
  • |
  • 2019-12-02 출간
  • |
  • 264페이지
  • |
  • 159 X 232 X 30 mm /590g
  • |
  • ISBN 9788942390748
판매가

22,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진행형으로 이어지는 옛 역사의 실타래

저자의 진행형 문체는 드넓은 공간을 무대로 다양한 집단들의 각축을 역동적으로 서술하는 데 퍽 적합하다. 그는 홍산문화의 주체로 청구국靑丘國이 황제의 중화문명과 충돌한 이후 요동의 예족濊族 계통인 서자족庶子族 진국辰國 집단의 주도로 요서에 있던 맥족?族 계열의 환웅족 집단이 동으로 이동하여 초기 국가 고조선 단군정권을 수립해 나갔다고 본다. 한중 사서 속 고대의 흔적을 입체화해 나가는 저자의 시도는 단군의 사실성조차 인정하지 않는 인식과 그를 토대로 한 고고학 접근의 맹점을(서의식, 《요하문명과 고조선》, 2015) 돌파할 출구가 될 것이다. 이 책에서는 세 차례에 걸친 요하?홍산 현지 탐사의 경험까지 더해져 그 작업의 설득력을 더욱 높인다. 단군정권 후반기 서자족 진국 집단의 세력 강화는 해주 석목성과 개주 석붕산의 거대한 고인돌이 웅변해 준다는 대목은 그 한 예이다.

체제 변동의 원리와 지속

단군정권 후반기 사회정치적 모순은 성장과 분배를 둘러싸고 일어났다. 곧 전통으로 내려온 농업공동화 이념을 내세우는 농촌공동체 성원의 요구와 개별적 농업 개발 발전을 추구하려는 선진지역 부족국가 사이의 갈등이다. 저자는 환웅족 단군정권과 서자족 진국집단의 두 대립구도는 고대-중세사에 걸친 것이라고 했지만, 오늘날 복지와 경제 성장의 우선순위를 두고 벌이는 논쟁과도 닮아 있다. 저자는 이러한 모순구조가 정변을 통한 고조선 기자정권의 등장으로 타개되었다고 본다. 농업 생산의 발전-농업 모순의 발생-개혁-신체제의 성립은 저자가 조선 후기 농업사의 구도를 구상할 때 체제 변동 과정의 내적 원리로서 주목한 궁즉변窮則變-변즉통變則通-통즉구通則久(주역周易)의 동양적 변증법(《역사의 오솔길을 가면서》)이다. 《농업으로 보는 한국통사》(2017)에서도 이 원리가 서술의 내적 틀을 이룬 바 있다. 이 책에서는 그러한 변동 속에서 재건의 문제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고구려가 맥족 계통의 농정이념에 따라서 자경소농제를 중심으로 한 지주전호제를 설정함으로써 중세적 지주전호제를 열어 나갈 수 있었다는 지적은 급격한 변화 속에서도 지속되는 전통, 연속성의 측면을 잘 보여준다.

거시적ㆍ비교사적 관점으로 고대사를 탁월하게 해석하다

농업 변동의 추이 속 흥망성쇠와 재건의 추적은 기존의 고대사 서술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데까지 나아간다. 신라가 AD 103년에 순장 관행을 개혁해 나감으로써 위기 상황을 타개했으나 진국의 노예제적 대토지소유제를 완전히 지양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신라 삼국통일의 한계를 찾는 것이 그 단적인 예이다. 또한 젊은 시절부터 한국 농업사 체계 수립을 위해 시도해 온 비교사적 관점은 우리 역사의 특질을 더욱 명료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고조선 단군정권이 원시공동체사회였다면 기자정권은 상하 수직질서의 고대사회이며, 고조선 유민의 국가재건은 곧 고대 노예제 사회에서 중세적 농업체제로 전환되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8조의 금법과 모순되는 고조선 기자정권의 순장 관행은 서양 고전고대의 노예제 사회에 준한다는 것이나, 읍락국가의 하호를 중국의 전호층과 계보상으로 연결시키는 것 등에서도 그러한 시각을 엿볼 수 있다.

사료의 종합적 취사와 거시적 통찰 및 안목으로 마침내 한국 농업사의 체계가 이제 온전하게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되었다. 김호기 교수의 평가처럼 지식인의 사명을 지키며 외길을 헤쳐 온 저자의 땀방울로 비로소 우리는 거목巨木이 주는 찬연한 열매를 수확할 수 있게 되었다. 폐허가 된 해방 후 척박한 학문 풍토에서 이와 같은 아름드리나무가 자라나 든든한 지표가 되고 있는 것은, 일각의 부정적 평가를 떠나서 우리 사학계의 축복이 아닐 수 없다. 광활한 바다에 이르렀다가 시원으로 거슬러 올라가기 시작한 연어, 그 찬란한 귀향이 어디에 닿을지 함께 기다려 보자.


목차


머리말 ……………………………………………………… 5
제Ⅰ편 고대의 농경문화와 고조선의 성립 발전 …… 15

서론 -고조선의 국가와 문명을 찾아서 _17
제1장 농경문화의 시작과 동아시아 북방민족 _19
1. 농경문화의 시작 _19
2. 동아시아 북방민족의 요하문명의 농경문화 _20
3. 농업생산의 주체 -농업공동체에서 농촌공동체로 _30

제2장 고조선 단군정권의 수립과 농업생산의 기획화 _33
1. 부족사회들의 농업생산 증진과 사회변동 _33
2. 고조선 단군정권의 수립과 농업정책 _37
1) 부족집단들의 고조선 단군정권 수립 _37
2) 단군정권의 국가운영 정치운영 체계 _39
3) 疆域 -단군정권을 구성하는 부족집단들 _41
4) 농업정책 농업기획의 두 방향 _43
5) 농촌 邑落사회의 조정 _47

제3장 농업생산의 발전과 사회정치적 갈등구조 _49
1. 부족사회 부족국가의 농업발전 _49
2. 농업생산 발전정책의 문제점 _50
3. 갈등구조의 조성과 대책의 요청 _52
1) 지배층 내부의 갈등구조 _52
2) 읍락사회 내부의 갈등구조 _55
3) 갈등구조의 심화와 대책의 요청 _55

제4장 고조선 기자정권의 등장과 고대적 농업 사회체제 _57
1. 부족국가들의 농업문제 수습책 -정변 _57
2. 고조선 기자정권의 등장 _58
1) 정치개혁 -칸들의 합의제 귀족정치로 _61
2) 사회개혁 -사회신분제의 고대적 확립 _62
3) 경제개혁 농업개혁 -개발 발전 위주로 _67
3. 고조선 기자정권의 농업생산 증진책 _68
1) 농경기술의 개량 발전 -牛犁耕 _68
2) 민의 저항에 대한 대비책 -8조의 금법 _69
3) 농업생산의 독려와 회유, 그 결과 _70
4. 읍락사회의 고대적 호민지배적 재편성 _71
〈보론 1〉 長川1號墳 _74
〈보론 2〉 《제왕운기》 _78
〈보론 3〉 孤竹國 _80

제Ⅱ편 고조선 기자정권의 쇠망과 그 유민들의 국가재건운동 …83

제1장 부여와 고구려의 국가재건 _85
서론 -고조선 쇠망 후의 국가재건은 시세에 맞게 _85
1. 기자정권 쇠망시기의 국내외 사정 _87
1) 기자정권 쇠망의 농업사회 사정과 국가조직 _88
(1) 농업사회 사정 _88
(2) 연맹체의 국가조직 _91
2) 기자정권 쇠망 시기의 국제정세
-동아시아의 격변과 중국의 천하체제 구축 _92
(1) 중국의 東征과 기자정권의 쇠망 _92
(2) 동아시아 문명권의 형성과 주변국의 문명전환 _94
2. 고조선 유민들의 문명전환과 국가재건 원칙 _96
1) 국왕권 중심의 국가체제로 _97
2) 읍락사회의 수직형 사회구성과 민의 지위 조정 _98
3. 부여와 고구려의 국가재건 경위 _100
1) 부여의 국가재건 경위 _100
(1) 맥족 맥국의 유망과 고죽국과의 합류 _101
(2) 맥족 맥국과 고죽국, 고리국으로서 귀향 _105
(3) ?族과 濊族의 정치협상과 扶餘國 건설 _108
2) 고구려의 국가재건 경위 _111
(1) 고구려의 전신 부족집단 ; 句麗5族과 孤竹國 _113
(2) 고구려 건설은 孤竹國 주도하에 _115
(3) 朱蒙 탄생의 설화와 그 역사적 의미 _118
(4) 朱蒙의 卒本지역 입성과 고구려국가 건설 _124
4. 부여 고구려의 국가체제와 농업사회 사정 _129
1) 부여의 국가체제와 농업사회 사정 _129
(1) 국가의 통치체제 관료체계 _130
(2) 농촌 읍락사회의 사회구조 -두 경향의 경제질서 _133
2) 고구려의 국가체제와 농업사회 사정 _137
(1) 고구려국가의 지향 _137
(2) 국가의 통치체제 관료체계 _140
(3) 농촌 읍락사회의 재편성
-殉葬 관행의 개혁과 自耕小農制와 地主佃戶制의 설정 _144

제2장 辰國의 남하 삼한 건설과 신라의 ‘순장’ 관행 개혁 _152
서론 -삼한에서의 국가재건 경위 _152
1. 진국 국가재건으로서 삼한을 건설 _154
2. 삼한사회의 정치적 사회경제적 특징 _156
3. 진국의 중국군현과의 전쟁과 신라의 임무 _160
1) 중국군현과의 전쟁과 국가재건 계획의 좌절 _160
2) 斯盧國 新羅의 전쟁수행을 위한 임무 _162
4. 사로국 신라의 성장과 ‘순장’ 관행 개혁 _165
제3장 百濟의 시원과 그 국가재건의 성격 _170
서론 -백제의 국가재건의 방향 _170
1. 백제의 始原 _172
1) 그 出自는 부여 _172
2) 그 소속 종족은 맥족 맥국 _175
3) 馬韓에 伯濟國이 설치된 사정 _177
2. 始原期 백제의 선결 과제 _181
1) 馬韓의 병합과 국가기반 강화 _181
2) 樂浪郡 辰國?辰韓의 전쟁과 백제의 국가체제 정비 _183
결론 _186

제Ⅲ편 보론: 고대 농업사연구를 지향하며 ………………191

제1장 古代의 土地制度 ; 古朝鮮의 성립 발전과 농업생산
-《土地制度의 史的推移》 보설 _193
서론 -토지제도의 역사적 추이의 이해를 위하여 _194
1. 고대 농경문화의 시작과 고조선 壇君정권의 성립 _196
2. 壇君정권의 농업정책과 箕子정권의 등장 _200
3. 箕子정권의 농업정책과 고대적 사회구성 토지제도 _207

제2장 古代의 農業과 農民 -〈韓國農業史〉 중에서 _213
1. 鐵製農具의 보급 _214
2. ?耕農業의 발달과 계층분화 _218
3. 대토지소유의 발전과 정복전쟁 _221
4. 신라통일시기의 均田制 _225

제3장 고대의 土地制度 -〈전근대의 토지제도〉 중에서 _231
참고문헌 …………………………………………………………238
찾아보기 …………………………………………………………247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