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과 조선예술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과 조선예술

  • 홍재범 엮음
  • |
  • 호모루덴스
  • |
  • 2017-09-14 출간
  • |
  • 500페이지
  • |
  • 152 X 223 mm
  • |
  • ISBN 9791188406074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9,1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9,1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을 제작 방법론으로 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갈망한 북한 연극인들의 족적!

 

이 책은 북한에서 1958년 1월에 창간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월간지 《조선예술》에 실린 글들 중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을 선별한 자료집이다.《조선예술》은 연극, 영화, 무용, 음악, 미술 등 예술 영역 전반을 다루고 있지만 여기에 모인 글들이 실린 1960년대 중반까지는 연극에 관한 문건들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다양한 기획을 통해 연극을 현대화하기 위한 북한 연극계의 노력을 확인할 수 있는데, 글의 성격에 따라 분류하자면 연기론, 연출론, 극작이론, 평론, 무대기술론, 배우론, 화술론, 연극사, 창작 수기 등 연극 창조와 연관된 모든 분야가 망라되어 있다. 글쓴이들 또한 배우, 연출가, 평론가, 무대미술가 등 매우 다양하지만 이 글들을 관통하는 주요 핵심어들은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 글들은 모두 시스템의 주요 핵심어들을 이해해 나가는 과정으로 수렴되고 있다는 것이다. 읽어 나가다 보면 당시 북한의 연극인들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을 현장에 적용하고자 애썼는지 여실히 알 수 있다.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이란?

 

러시아 배우이며 연출가인 콘스탄틴 스타니슬랍스키(1863~1938)가 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만든 과학적인 근대 배우술이다. 그는 극중 배역의 심리와 행동은 극에서 나타나지 않는 과거나 감춰진 의도까지 표현해야 하기 때문에 배우가 가진 모든 것을 동원하여 배역과 동일화한 내면 연기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틀에 박힌 신파조의 연기를 거부, 배역과 동일하여 살아가는‘심리체험의 예술’을 주장했다. 또한, 배우의 내적·외적인 능력을 유기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며 잠재적인 창조 과정을 의식적으로 포착하는 실천적인 지침을 제시했다.

목차

 

머리말

 

제 1 부 연기론  

김덕인 <예술교양> 배우 수업 제강 작성을 위한 나의 초고 (57년 6월호) 12

장노월 <연단> 도식주의와 류형성을 반대하여 (57년 9월호) 37

안영일 <연단> 연극 형상에서 기량 제고와 다양한 스찔의 창조 문제 (59년 12월호) 46

김정순 <평론> 리 순신 장군 연기 창조의 몇 가지 특징들에 대하여 (60년 5월호) 54

편집부 <배우지식> 무대 과제란? (63년 1월호) 65

편집부 <배우지식> 무대 교제란? (63년 2월호) 69

신창규 <배우예술과 현대성> 배우와의 담화 (63년 3월호) 72

엄미화 <배우예술과 현대성> 희곡의 형상적 특성과 배우 기교 (63년 3월호) 82

편집부 <배우지식> 육체 행동의 회상이란? (63년 3월호) 87

김 인 <배우예술과 현대성> 배우와 시대감각 (63년 4월호) 90

신창규 <배우지식> 배우 예술의 특성 (63년 4월호) 100

최인상 <배우예술의 현대성> 배우 예술에서의 형상적 기능 제고를 위한 문제 (63년 5월호) 110

신창규 <배우지식> 언어 행동의 주요 요소란 (63년 5월호) 121

편집부 <배우지식> 무대 지각이란? (63년 6월호) 127

김기수 <배우예술의 현대성> 역 형상과 배우의 창조적 개성 (63년 8월호) 132

최기룡 <배우지식> 희곡과 역에 대한 문학 분석이란? (63년 8월호) 143

김형주 <배우지식> 사건 (63년 10월호) 147

송영훈 <배우지식> 호상 관계 (63년 11월호) 152

정병관 <배우지식> 주어진 환경 (63년 12월호) 156

편집부 <배우지식> 최고 과제 (64년 1월호) 159

편집부 <배우지식> 관통행동 (64년 3월호) 163

김근엽 <연단/과학적 창조 체계 확립을 위하여> 더 밝혀야 할 것이 있다 (64년 5월호) 166

리문철 <배우지식> 역의 최고 과제와 관통 행동 (64년 5월호) 171

김관식 <연단> 현실 체험에 대한 소견 (64년 7월호) 174

리대철 <연극 창조 체계의 과학성> 인민 배우 한 진섭의 형상 창조의 길 (1) (64년 8월호) 180

리대철 <연극 창조 체계의 과학성> 인민 배우 한 진섭의 형상 창조의 길 (2) (64년 9월호) 191

김선영 <화술토론> 무대에서의 말 (64년 10월호) 200

본사기자 <평론> 형상 실기 습작(에츄드)를 읽고 (65년 4월호) 208

김선영 <창조경험> 순금이를 찾아서 (65년 6월호) 212

신창규 <배우론> 황 철과 그의 예술 (1) (65년 7월호) 220

장영길 <연기 습작> 공작원 (수류탄, 만년필, 집) (65년 8월호) 233

최창섭 <단상> 극에서의 사건 (65년 11,12월호) 235

리묵 <단상> 극적 사건 묘사에서의 몇 가지 요구 (65년 11,12월호) 239

김광현 <단상> 사실의 라렬을 반대하면서 (65년 11,12월호) 242

김순익 <단상> 기본사건 (65년 11,12월호) 245

김순익 <연기 리론> 창조적 의욕 - 정열 (66년 1월호) 249

라세득 <연기 리론> 믿음은 형상 감득의 기초 (66년 2월호) 256

안영일 <단상> 배우의 형상 (66년 2월호) 262

박영신 <체계와 형상> 이것이 없이는 안 된다 (66년 5월호) 266

전철현 <창조경험> 《부정적으로》 대하지 말라 (66년 5월호) 274

정병관 <연기리론> 역의 파악과 감득 (66년 6월호) 278

정병관 <체계와 형상> 호상관계에 근거한 역 형상작업 (66년 9월호) 284

 

제 2 부 연출론  

김기수 <우리시대 연출가와 그의 작업> 배우의 성장과 연출가의 역할 (63년 3월호) 290

박대서·변경환·서창식 <우리시대 연출가와 그의 작업>

연극 《두만강》 연출수기 (63년 3월호) 296

정리일 <우리시대 연출가와 그의 작업> 연출가의 위치와 역할 문제 (63년 5월호) 303

최순길 <우리시대 연출가와 그의 작업> 행동 분석에 대한 소견 (63년 7월호) 312

한백남 <우리시대 연출가와 그의 작업> 련습 방법에 대한 생각 (1) (63년 8월호) 321

김 인 <우리시대 연출가와 그의 작업> 연출체계의 과학성 (63년 8월호) 333

라세득 <우리시대 연출가와 그의 작업> 연출구상에 대한 몇 가지 고찰 (63년 10월호) 346

김순익 <우리 시대 연출가와 그의 작업> 초과제 (63년 11월호) 354

라세득 <연극창조 체계의 과학성> 그것은 행동 분석법의 잘못이 아니다 (64년 2월호) 369

리상화 <연단> 립장 문제 (64년 3월호) 376

안영일 <단평> 연출 작업에서의 형상성과 과학성 (64년 6월호) 385

오 향 <연단/연극창조 체계의 과학성>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연출체계 확립을 위하여 (64년 7월호) 396

신창규 <연출연구실 (3)> 희곡과의 첫 대면 (65년 1월호) 413

김덕인 <창조경험> 나의 연출 작업 (1) 탁상 련습 (65년 4월호) 417

김덕인 <창조경험> 나의 연출 작업 (2) 탁상 련습 (65년 5월호) 426

김덕인 <예술리론> 연출가와 행동 련습 (65년 9월호) 435

신창규 <연출리론> 연출가의 지도예술 (66년 1월호) 444

김덕인 <연출리론> 연출가와 무대 련습 (1) (66년 2월호) 456

김덕인 <연출리론> 연출가와 무대 련습 (2) (66년 3월호) 464

안영일 <체계와 형상> 진실한 창조, 심오한 형상 (66년 4월호) 473

리철홍 <체계와 형상/연단> 연출가의 행동조직 (66년 11월호) 484

안영일 <체계와 형상/연출리론> 연출구도 (66년 12월호) 490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