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녀의 영역이던 해외영업이라는 장벽을 오로지 능력으로 뛰어넘다
# 스스로 자신의 스승이 되어야 했던 시절의 아픔을 후배가 겪지 않도록 하겠다
# 한 부모 가정, 여성, 지방대… 약점을 약점이라 생각하지 않고 18개의 명함을 가진 CEO기 되다
# 더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 더 다른 사람의 아픔을 보듬어 주기 위해 이 책을 쓴다
여러분은 덜 아프고, 덜 좌절했으면 좋겠어요
저자는 세계무대를 누비며 시장을 개척하겠다는 확고한 꿈이 있었다. 그러나 25년 전, 영어를 잘하는 여성이 가질 수 있는 최고의 직업이 스튜어디스라고 여기던 그 시절, 해외영업을 하겠다는 저자의 꿈은 비웃음만 샀다. 자고로 해외 시장 개척과 같은 일은 남자가 하는 것이고 여성은 사무실에서 사무나 보는 것이라는 선입견이 팽배하던 시절이었다.
저자는 그 ‘거절’을 ‘거절’했다. 당장 해외영업이 안 된다면 국내영업부터 시작했고, 직접 하이힐을 신고 미팅을 하고 물건을 납품했다. 그 과정에서 여성이라는 이유로 능력을 술수로 오인당하는 아픔도 겪었다. 하지만 인간 본연의 능력은 결국 드러나는 법. 이제 하이힐을 신고 납품하던 김 과장은 17개의 명함을 가진 CEO가 되었고, 후배들이 자신과 같은 아픔을 겪지 않도록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고파서 18번째 명함, 즉 작가라는 명함을 갖기로 했다.
단지 마케팅이 아닌, 인간의 목소리
이 책에서는 단지 ‘억척스러운’ 여성이 해외시장을 개척하는 성공 스토리만 담겨 있는 게 아니다. 꿈을 이루고자 임신 휴식 중에도 영어 학원을 다니며, 출산 2일 전에도 토익 시험을 치르는 회사원과, 왕따를 당한 아들을 지켜주고자 학교와 외롭게 대립각을 세우는 어머니와, 사별한 남편의 명예를 되찾으려는 부인과, 한 부모 가정을 꾸려 나가는 가장의 목소리가 진솔하게 담겨 있다.
세상은 저자에게 여러 가지 이유로 안 된다고 말했지만, 저자는 홀로 “돼”라고 외치고 하나씩 이루어 나간다. 현재 해외 수출 업무를 컨설팅하는 EMC 글로벌의 대표이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한국컨텐츠진흥원의 수출컨설턴트, 한국 능률협회와 서울산업진흥원, 경기도 경제과학진흥원의 무역실무 강사 그리고 중앙일보?JTBC 최고경영자과정 J포럼의 사무총장 등의 역할을 맡고 있는 저자는 “너도 나와 똑같이 하면 할 수 있을 거야”라고 말하지 않는다. “내가 하는 걸 보니 너도 할 수 있을 것 같지?”라고 말한다. 이 두 가지 말의 차이에서 이 책의 미덕이 느껴진다. 내가 아니라 우리가 해내기를 바라는 마음. 그 결과가 이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