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5
제1장 / 지역사회의 개념과 유형
1. 지역사회 개념 19
1) 지역사회가 주목되는 이유|2) 현대 지역사회 특징|3) 지리적 의미와 기능적 의미
2. 좋은 지역사회 21
1) 좋은 지역사회 특징(워렌, Warren)|2) 역량 있는 지역사회(펠린, Fellin)|3) 이상적인 지역사회(린데만, Lindeman)
3. 좋은 지역사회 특성 22
4. 지역사회에 대한 이론 22
1) 지역사회를 바라보는 이론적 관점|2) 공동사회와 이익사회(퇴니스, Tonnies)
5. 지역사회의 유형과 기능 24
1) 지역사회 유형화(던햄, Dunham)|2) 지역사회의 기능과 제도(길버트와 스펙트, Gillbert & Specht)|3) 지역사회의 기능과 비교 척도(위렌, Warren)
< 출제경향 파악 > 27
제2장 / 지역사회복지와 지역사회복지실천(1)
1. 지역사회복지 개념 29
1)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이해|2) 지역사회복지 개념 속성
2. 지역사회복지 이념 30
1) 정상화(normalization)|2) 사회통합|3) 탈시설화|4) 주민참여|5) 네트워크
3. 지역사회복지 특성 32
1) 예방성|2) 통합성과 포괄성|3) 연대성·공동성|4) 지역성
4. 지역사회복지실천 개념과 목적 33
1) 지역사회복지실천 개념|2) 지역사회복지실천 목적
< 출제경향 파악 > 35
제3장 / 지역사회복지와 지역사회복지실천(2)
1.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원칙, 가치, 윤리 37
1) 지역사회복지실천 원칙|2) 지역사회복지실천 가치|3) 지역사회복지실천 윤리
2. 지역사회복지의 관련 개념 38
1) 시설보호|2) 시설의 사회화|3) 지역사회보호|4) 재가보호|5) 지역사회조직|6) 지역사회개발
< 출제경향 파악 > 42
제4장 / 지역사회복지의 역사(1)
1.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45
1) 자선조직협회(COS: Charity Organization Society)|2) 인보관 운동(Settlement house movement)
2. 영국 지역사회복지 역사 48
1) 영국 역사
< 출제경향 파악 > 52
제5장 / 지역사회복지의 역사-미국, 한국(2)
1. 미국 지역사회복지 역사 55
1) 지역사회복지 태동기(1865∼1914년)|2) 지역사회복지 형성기(1920∼1950년대)|3) 지역사회복지의 정착기(1960년대 이후)
2.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57
3. 일제강점기 지역사회복지 58
1) 일제 강점기 지역사회복지의 주요 내용|2) 해방 이후 지역사회복지
4.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발달과정 60
< 출제경향 파악 > 61
제6장 / 지역사회복지의 주요 이론(1)
1. 갈등이론 63
1) 특성|2) 지역사회실천에의 적용|3) 한계와 문제점|4)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2. 구조기능론 64
1) 특성|2) 지역사회실천에의 적용|3) 한계와 문제점
3. 생태(체계)이론 65
1) 특성|2) 지역사회실천에의 적용|3) 한계와 문제점
4. 사회체계이론 66
1) 특성|2) 지역사회실천에의 적용|3) 한계와 문제점
5. 자원동원이론 67
1) 특성|2) 지역사회실천에의 적용
6. 상호조직이론 68
1) 특성|2) 지역사회실천에의 적용
7. 인간행동이론 68
1) 특성|2) 지역사회실천에의 적용
< 출제경향 파악 > 70
제7장 / 지역사회복지의 주요 이론(2)
1. 교환이론 73
1) 특성|2) 호만스(Homans)의 교환이론|3) 블라우(Blau)의 교환이론|4) 하드캐슬(Hardcastle)의 권력균형전략|5) 지역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2. 엘리트주의(Elitism) 75
1) 특성|2) 지역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3) 한계와 문제점
3. 다원주의(Pluralism) 76
1) 특성|2) 지역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4. 사회구성론(사회구성주의 이론) 77
1) 특성|2) 지역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3) 사회구성론의 관점에서 사회복지사가 고려해야 할 사항
5. 권력의존이론 78
1) 특성
6. 사회연결망 이론 78
1) 특성|2) 지역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7. 사회학습이론 79
1) 특성|2) 지역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 출제경향 파악 > 80
제8장 /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1)
1.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의 모델 83
1) 로스만(Rothman)|2) 던햄(Dunham)
2. 로스의 모델 84
1) 특징|2) 추진회의 원칙
3. 로스만(Rothman)의 3가지 모델 85
1) 지역사회개발모델(Community Development Model) - 주민과 전문가 함께|2) 사회계획모델(Social Planning Model) - 하향식, 전문가|3) 사회행동모델(Social Action Model) - 상향식, 지역주민
< 출제경향 파악 > 89
제9장 /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2)
1.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의 비교 91
2. 로스만 혼합모델 93
1) 지역개발/사회행동|2) 사회행동/사회계획|3) 사회계획/지역개발
< 출제경향 파악 > 95
제10장 /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3)
1. 웨일과 갬블(Weil & Gamble)의 모델 97
1) 근린 지역사회조직모델|2) 기능적 지역사회조직모델|3) 지역사회의 사회·경제개발 모델|4) 사회계획모델|5) 프로그램 개발과 지역사회 연계모델|6) 정치·사회 행동모델|7) 연대활동(연합) 모델|8) 사회운동모델
2. 테일러와 로버츠(Taylor & Roberts)의 모델 99
1) 프로그램 개발 및 조정 모델|2) 계획모델|3) 지역사회연계모델|4) 지역사회개발모델|5) 정치적 역량강화모델
3. 포플(popple)의 모델 101
1) 지역사회보호|2) 지역사회조직|3) 지역사회개발|4) 사회, 지역계획|5) 지역사회교육|6) 지역사회행동|7) 여권주의적 지역사회사업|8) 인종차별철폐 지역사회사업
< 출제경향 파악 > 104
제11장 / 사회행동의 전략, 기술
1. 사회행동 107
1) 사회행동의 정의|2) 사회행동의 합법성/정당성 확보 전략|3) 타 조직과의 협력 전략
2. 정치적 압력 108
1) 정치적 압력의 개념|2) 정책형성 과정
3. 법적 행동 109
1) 법적 행동의 개념|2) 법적 행동 활용의 장점|3) 법적 행동 활용의 문제점
4. 사회적 대결(직접행동) 110
1) 사회적 대결의 문제점|2) 사회적 대결의 유형|3) 알린스키의 전술 지침
< 출제경향 파악 > 113
제12장 / 지역사회복지 실천과정
1. 문제 확인 115
1) 지역사회 진단하기|2) 표적 집단 확인하기|3) 우선순위 선정하기
2. 지역사회 사정 116
1) 고려해야 할 사항|2) 사정의 유형|3) 욕구사정을 위한 자료수집 방법
3. 계획 및 실행 119
1) 제1단계(준비/계획단계)|2) 제2단계(실행단계)
4. 평가단계 120
1)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2) 형성평가와 총괄평가
< 출제경향 파악 > 122
제13장 / 지역사회복지 실천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실천기술
1. 지역사회개발 모델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125
1) 안내자로서의 역할|2) 조력가로서의 역할|3) 전문가로서의 역할|4) 사회치료자로서의 역할
2. 사회계획모델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127
1) 모리스와 빈스톡(Morris & Binstock)의 계획가|2) 샌더스(sanders)의 전문가
3. 사회행동모델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128
1) 그로서(Grosser)의 역할 유형
< 출제경향 파악 > 131
제14장 / 지역사회복지 실천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실천기술
1. 옹호(대변)기술 133
1) 특징|2) 옹호의 유형(하드캐슬)|3) 옹호의 전술(기술)
2. 조직화 기술 136
1) 특징
3. 네트워크(연계)기술 137
1) 특징
4. 자원개발/동원기술 137
1) 특징
5. 임파워먼트(역량강화)기술 138
1) 특징
< 출제경향 파악 > 139
제15장 /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의 실제(1)
1. 지역사회보장계획 141
1) 지역사회보장계획 추진|2) 지역사회보장계획 필요성|3) 지역사회보장계획 목표|4) 지역사회보장계획 시행에 따른 변화
2.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수립 143
1) 수립절차|2) 수립의 원칙
3.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심의기관 144
1) 지역사회보장협의체(구 지역사회복지협의체)|2) 시·도 사회보장위원회(구 사회복지위원회)
4. 지역사회보장계획의 내용 145
1) 시·군·구 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2) 시·도 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
< 출제경향 파악 > 146
제16장 /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의 실제(2)
1. 사회복지협의회 147
1) 사회복지협의회 업무(사회복지사업법 제33조)|2) 사회복지협의회 기능|3) 사회복지협의회 기본원칙|4) 사회복지협의회 유형
2. 지역사회복지협의체 151
1)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구성|2) 지역복지협의체의 기능과 역할|3)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구조|4)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운영원칙|5) 대표협의체의 역할
< 출제경향 파악 > 154
제17장 /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추진체계(1)
1. 지방분권화 155
1) 지방분권화의 개념과 의의|2) 지방자치체·지방분권화가 지역사회복지에 미치는 영향
2. 사회복지전담공무원 157
1)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연혁|2)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내용
3. 지역복지 환경의 변화 158
1) 특징
4. 로스가 말하는 지역사회복지가 발전해야 할 필요성 158
1) 필요성
5. 재가복지 159
1) 우리나라의 재가복지|2) 재가복지의 종류
< 출제경향 파악 > 161
제18장 /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추진체계(2)
1. 사회복지관 163
1) 사회복지관 역할|2) 사회복지관 기능|3) 사회복지관 운영 원칙|4) 사회복지관 역사|5) 사회복지관 설치·운영|6) 사업의 대상|7) 사업내용
< 출제경향 파악 > 169
제19장 /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추진체계(3)
1. 자활사업 171
1) 자활사업 대상자|2) 시설수급자의 자활사업 참여(본인 희망시)|3) 자활사업 지원체계
< 출제경향 파악 > 176
제20장 /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추진체계(4)
1. 공동모금회 177
1) 공동모금 기능|2) 공동모금 특성|3) 공동모금회 사회적 기능|4) 공동모금의 장·단점|5) 공동모금회 일반적인 배분절차|6)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7) 사회복지공동모금 의의
2. 자원봉사활동 179
1) 자원봉사 개념|2) 자원봉사 필요성|3) 자원봉사활동 특성 및 원칙|4) 자원봉사 활동의 관리과정|5) 자원봉사센터의 기능
< 출제경향 파악 > 182
제21장 / 지역사회복지운동
1. 지역사회복지운동 개념 185
1) 개념|2) 지역사회복지운동 필요성|3)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의의|4) 지역사회복지운동의 특징|5)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유형|6) 지역사회운동단체의 활동 사례|7) 지역사회복지운동의 활성화를 위한 과제|8)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주체
2. 주민참여 189
1) 주민참여 개념|2) 주민참여의 방법|3) 주민참여의 단계|4) 주민참여의 효과|5) 아른슈타인의 주민참여 8단계
< 출제경향 파악 > 193
참고문헌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