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글교양

한글교양 - 한국인이라면 알아야 할 한글에 관한 모든 것

  • 김슬옹
  • |
  • 아카넷
  • |
  • 2019-09-30 출간
  • |
  • 256페이지
  • |
  • 140 X 210 mm
  • |
  • ISBN 9788957336489
판매가

13,800원

즉시할인가

12,42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2,42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한글 창제는 세종대왕이었기에 가능한 비밀 프로젝트
“역사는 세종을 만들었지만 세종은 역사를 새롭게 썼다”
열네 가지 물음 가운데 가장 먼저 눈길을 끄는 것은 한글을 세종 단독으로 지었는가(세종 친제설)라는 물음이다. 여전히 많은 이들은 세종대왕이 집현전 학사들과 함께 한글을 창제했다(협찬설)고 알고 있으며 최근에는 영화 〈나랏말싸미〉에서 신미대사가 한글 창제의 숨은 주역으로 그려지기도 했다. 그러나 한글 창제는 한자 중심의 사유에 물든 사대부들의 예상되는 반발을 고려할 때 공개적으로 추진되기 어려웠으며 새로운 문자를 고안할 만큼 창의성을 지닌 임금인 세종이 주도하지 않았으면 성사되기 어려운 프로젝트였다. 한글 창제가 세종의 비밀 프로젝트였다는 것은 1443년 12월 창제 사실을 밝힐 때까지 관련 기록이 전무하다는 사실로서도 알 수 있다.
지은이 김슬옹 박사는 세종이 단독으로 창제하고 집현전 학사들을 비롯한 인재들이 간접으로 도왔다고 분명하게 답한다. 세종이 직접 저술한 《훈민정음》 해례본은 물론 정인지의 서문과 《세종실록》 등 1차 문헌에서 ‘손수 짓거나[親制] 새로 만들었음[創制]’을 밝히고 있으며 이는 훈민정음 체계로 한자음을 나누어 기록한 《동국정운》이나 중국의 발음 사전을 풀이한 《홍무정운역해》 등 2차 문헌에서도 일관되게 증언되는 명백한 사실이기도 하다.

‘ㄱ, ㄷ, ㅅ’의 명칭을 ‘기윽, 디?(‘으’에 ‘ㄷ’ 받침), 시읏’으로 바꾸자 제안
한글의 과학성을 되살리고 남북의 언어통일에 기여하는 길
한글 자음자 ‘ㄱ, ㄷ, ㅅ’의 명칭을 ‘기윽, 디?(‘으’에 ‘ㄷ’ 받침), 시읏’으로 하자는 주장도 눈에 띈다. 현재 ‘기역, 디귿, 시옷’으로 된 표준어 명칭은 과학적인 한글 정신에 위배된다는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현재의 ‘기역, 디귿, 시옷’은 한글 창제 당시 실제의 명칭이라기보다는 후대에 정리된 예외적 현상이기 때문이다. 현재 명칭은 최세진의 《훈몽자회》(1527)에서 정리한 내용을 조선어학회의 한글 맞춤법 제정 시(1933)에 확정한 것으로 16세기 한글 표기에 대응하는 한자가 없는 경우 뜻을 빌려 적은 데(이두식 표기)서 유래한다. 가령 ‘ㅅ’은 ‘時衣’로 적어 ‘衣’가 뜻하는 ‘옷’을 명칭으로 삼은 것이다. 따라서 한글의 창제정신을 되새길 때 본래의 자음자 명칭은 기본 모음이자 바탕 모음인 ‘ㅡ, ㅣ’를 활용한 기윽, 디?(‘으’에 ‘ㄷ’ 받침), 시읏’이 옳다는 주장이다.
한글 자음자 모음자 명칭은 그 자체가 역사성을 띠는 만큼 세종의 창제정신을 살려나갈 수 있는 방향으로 조정되어야 하며 이는 남북한의 언어 통일의 차원에서도 중요성을 갖는다.[북한은 ‘기윽, 디?(‘으’에 ‘ㄷ’ 받침), 시읏’을 표준으로 삼고 있다.] 자음자 명칭의 예외성이 교육 현장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에게 혼동을 가져다준다는 점도 ‘ㄱ, ㄷ, ㅅ’ 명칭의 변경 주장에 힘을 실어준다. 지은이는 이러한 주장을 실제 언어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국민운동본부’를 발족하고 오는 10월 9일 한글날 기자회견을 여는 동시에 캠페인을 벌여갈 계획이다.

ㄱ부터 ㅎ까지 열네 가지 물음으로 풀어낸
한국인이라면 알아야 할 한글에 관한 모든 것
이 밖에도 ‘한글이 우수하다는데 과학적인 근거는 무엇인가?’ ‘한글은 익히기 쉽다는데 한글 맞춤법은 왜 어려울까?’ ‘세종 아닌 임금들도 훈민정음을 널리 사용했는가?’ 등 한국인이라면 한번쯤 궁금했을 법한 14가지 물음에 책은 명쾌히 답한다. 이 한 권의 책만 충실히 읽어낸다면 ‘한글교양’에 마침표를 찍을 수 있을 정도다.
훈민정음 반포 이후 500년을 훌쩍 넘었고 우리 말글의 주권을 일제에서 되찾은 지 70년이 되었지만 우리 사회에는 여전히 한글에 관한 오해도 많고 논쟁도 가시지 않았다. 소통과 어울림이라는 한글의 참가치가 더욱 요청되는 시대이기에 ‘한글교양’의 출간이 더 반갑다.


목차


책머리에: 왜 ‘한글교양’인가?

1부 한글 창제와 반포의 진실
ㄱ 과연 한글은 세종대왕 혼자 만들었나?
그런 위대한 문자를 혼자 만들었다고요?
세종 단독 친제의 증거들
임금만이 가능한 비밀 프로젝트
ㄴ 누가 왜 한글 반포를 반대했고 누가 어떻게 도왔나?
집현전 학사들의 대립, 7:7
훈민정음 반포 반대의 진실
훈민정음을 반포하기까지의 조력자들
ㄷ 《훈민정음》 해례본의 내용과 가치는 무엇인가?
《훈민정음》 해례본이란 무엇인가?
《훈민정음》 해례본의 형식과 내용
《훈민정음》 해례본의 역사적 배경
ㄹ 《훈민정음》 언해본은 어떻게 한글 보급의 핵심 구실을 했는가?
《훈민정음》 언해본이 왜 중요한가?
《훈민정음》 언해본 짜임새의 특징과 의미
《훈민정음》 언해본 유통의 의미

2부 한글의 과학성과 우수성
ㅁ 한글은 얼마나 과학적이고 우수한 글자인가?
누구에게나 보편적인 글자
한글이 과학적인 여덟 가지 근거
한글의 우수성에 대한 몇 가지 오해
ㅂ 지금은 안 쓰는 문자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15세기 훈민정음 28자의 주요 특징
훈민정음 확장자의 원리
15세기 훈민정음 28자에서 안 쓰는 문자의 활용 문제
안 쓰는 문자의 부활과 한글의 확장성 문제
ㅅ 한글 낱글자 수와 배열에는 어떤 의미가 있나?
한글 모아쓰기의 힘
한글 낱글자와 모아 쓴 음절자 수의 의미
11,172자의 생성 원리와 의미
다양한 음절표 갈래와 의미

3부 한글 명칭의 역사와 맞춤법
ㅇ ‘한글’ 명칭의 맥락은 무엇인가? ― ‘한글’ 관련 용어의 역사성
‘한글’ 명칭에 담긴 역사
‘훈민정음’에 담긴 새 문자 반포 목적의 가치와 ‘언문’의 일상성
‘암클, 중글’에 담긴 역사의 역설
‘한글’로 일제강점기의 희망을 만들다
ㅈ 왜 ‘기역, 디귿, 시옷’을 ‘기윽, 디?(‘으’에 ‘ㄷ’ 받침), 시읏’으로 바꾸어야 하나?
한글 자모 명칭의 유래
《훈민정음》 해례본에서의 명칭
남북한의 한글 자모 명칭 차이와 통일 방안
ㅊ 한글 맞춤법에 담긴 근본 원리는 무엇인가?
한글 맞춤법은 과연 어려울까?
맞춤법의 근본 원리를 찾아서

4부 한글 가꾸기의 역사와 미래
ㅋ 세종대왕 이후의 임금들은 훈민정음을 어떻게 사용했나?
세종 이후 임금들, 훈민정음을 어떻게 계승했을까?
적극적으로 한글 정책을 편 임금들
지속적으로 한글 정책을 실천한 임금들
연산군의 한글 탄압 정책을 어떻게 볼 것인가?
ㅌ 일제강점기에 우리 말글을 어떻게 지켰나?
일제강점기 때의 우리 말글운동은 문화 독립운동
항일투쟁으로서의 한글운동
헐버트와 조선어학회의 우리 말글운동 맥
ㅍ 광복 후에 우리 말글은 어떻게 발전했나?
국권 회복 차원의 한글운동기(1945~1960): 우리말도로찾기운동
한글전용 중심 운동기(1960~1969)
다양한 목적으로서의 한글운동기(1970~현재)
ㅎ 인공지능 시대 한글은 어떠해야 하는가?
인공지능 시대의 글쓰기 문제
인공지능 시대 단계별 언어 문제
《훈민정음》 해례본에 담긴 근대성과 탈근대성, 그리고 인공지능 언어 맥락

책 끝머리에: 한글을 무형문화유산으로 우뚝 세우자

참고문헌
부록: 한글 해적이(연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