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고부가 폐금속자원 순환산업 및 도시광산 기술현황과 시장전망

고부가 폐금속자원 순환산업 및 도시광산 기술현황과 시장전망

  • R&D;정보센터
  • |
  • 지식산업정보원
  • |
  • 2012-11-27 출간
  • |
  • 498페이지
  • |
  • 210 X 297 mm
  • |
  • ISBN 9788994111421
판매가

280,000원

즉시할인가

252,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52,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최근 중국 등 신흥공업국의 급속한 성장으로 주요 원자재 가격이 폭등하고 있으며 희소금속 생산국의 공급 및 수출제한으로 인한 공급제약으로 도시광산 사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희소금속의 경우 휴대폰, 디스플레이, 반도체 등 전자제품을 중심으로 수요가 급증하는 반면 공급증가는 단계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단기적으로 수급불균형 해소에 어려움이 따를 전망이다.

주로 휴대폰, 노트북 PC, 캠코더와 같은 이동용 전자기기와 최근 상용화 단계에 들어선 하이브리드형 전기자동차의 동력원이 되는 이차전지 원료인 리튬과 핵융합 발전의 연료로 사용되는 우라늄은 국가 전략금속이자 신녹색성장 동력원으로 주목 받고 있는 주요 희소금속이다.

특히, 천연광물자원이 빈약한 우리나라는 금속자원 수요의 95%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최근 들어 심화되고 있는 천연광물자원의 고갈과 자원보유국의 산업화에 따른 공급제한, 광물자원의 유출을 억제하기 위한 수출관세 부가, 고가판매 등과 같은 자원무기화, 그리고 중국?인도 등 BRICs 국가들의 경제성장에 따른 자원수요의 급증으로 야기된 자원 공급능력의 한계 등은 우리나라 금속자원의 안정적 확보를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맞추어 우리나라도 도시광산 매장량을 활용하여 금속을 회수하고자 하는 노력을 범정부차원에서 추진하고 있으며, 환경부를 중심으로 폐금속자원 재활용 활성화 10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금속자원 회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사용 후 버려진 각종 제품 및 폐기물 등이 묻혀있는 도시광산으로부터 유용금속을 회수하여 다시 산업원료소재로 공급하는 ‘도시광산의 자원순환’이 시급히 추진되어야 하겠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도시광산과 관련된 폐금속자원과 희소금속의 산업현황 및 향후 전략적 추진방향을 전개하고자「고부가 폐금속자원 순환산업 및 도시광산 기술현황과 시장전망」을 발간,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목차


제1편 폐금속자원
제Ⅰ장 폐금속자원의 경제적 가치와 회수기술
1. 폐금속자원의 개념
1) 폐금속자원의 정의
2) 폐금속자원의 종류
2. 폐금속자원화의 현황
1) 폐기물 재활용 의무대상 및 의무율
2) 폐금속자원 수거 및 재활용 실태
3) 외국의 폐금속자원 재활용 정책
4) 폐금속자원 재활용 기술수준
3. 폐전자제품의 구성성분
1) 유가금속 함유 폐전자제품
(1) 휴대폰 (2) 컴퓨터 (3) 텔레비전 가. 전자 디스플레이 나. 폐LCD
2) 비철금속 함유 폐전자제품
(1) 냉장고 (2) 세탁기 (3) 기타 전자제품
3) 소형가전제품
4. 폐전자제품 내 금속자원의 경제적 가치
1) 유가금속 함유 폐전자제품
2) 비철금속 함유 폐전자제품
3) 소형가전제품
4) 폐전자제품의 경제적 가치 종합
5. 4대 금속별 폐금속자원 발생 및 재활용 현황
1) 철스크랩 분야
(1) 철스크랩 개요 (2) 철스크랩 재활용 기술개발 필요성
2) 귀금속 현황
3) 일반 비철금속 현황
(1) 범용금속 스크랩 발생 및 재활용 현황
가. 구리 스크랩 나. 재생연 다. 아연 라. 재생 알루미늄
(2) 재활용 기술 현황 가. 동 나. 연 다. 아연 라. 알루미늄
6. 국내ㆍ외 재활용기술 현황 및 전망
1) 국내 재활용기술 현황과 전망
(1) 재활용기술 현황 (2) 재활용기술 전망
2) 국외 재활용기술 현황 및 전망
(1) 재활용기술 현황 가. 미국 나. 유럽 다. 일본 라. 중국
(2) 국외 재활용기술 전망
제Ⅱ장 비철금속산업 기술로드맵
1. 비철산업의 개요
1) 비철산업의 정의
2) 타산업과의 연관성
3) 비철산업의 특징
(1) 범용소재 중심의 저부가가치 산업구조
(2) 그린수송, IT융합의 핵심기반소재로서 미래유망산업
(3) 수요기업과 연관효과가 매우 높은 산업
2. 외부 환경 분석
1) 시장 규모
2) 경쟁 동향
3) 정책 동향
4) 기술 동향
3. 내부 역량 분석
1) 글로벌 포지션
(1) 희소소재 한ㆍ중ㆍ일 3국 수요 공급 구조
(2) 원소재 및 중간재제조 비철산업 기반 취약
2) 핵심 역량/(기술)경쟁력
3) 미래트랜드/핵심이슈
4. 2020 비전 및 목표
5. 산업전략
1) 제품 전략
2) 시장 전략
3) Biz Model 혁신전략
4) 인프라 전략
6. 기술 전략
1) 유망 제품/부품에 필요한 전략기술 도출
2) 유망 제품/부품 육성을 위한 핵심기술
(1) 희소자원 확보와 관련한 전략기술
(2) 수송기기 경량화에 필요한 비철소재 기술
(3) IT 융합에 필요한 신기능 창출형 스마트 비철소재 기술
(4) 도시광산사업에 필요한 기술 및 재활용 소재기술
(5) 친환경 제련 및 저가공정기술
(6) 미래 비철산업의 고도화에 필요한 미래지향적 융복합소재기술
제Ⅲ장 자원개발기술 전략로드맵
1. 추진 배경
2. 추진 경과
3. 국내의 기술개발 현주소
1) R&D; 투자
2) R&D; 성과 및 기술수준
3) 연구인력
4. 비전 및 추진 전략
1) 비전 및 목표
2) 추진 전략
5. 투자 및 기대효과
1) 투자 소요
2) 기대 효과
6. 금속광물(희유금속) 추진전략 및 로드맵
1) 1단계 시나리오 구성
2) 2단계 세부 전략품목 도출
제Ⅳ장 폐금속자원 재활용 대책 및 실행계획
1. 추진배경 및 필요성
2. 폐금속자원 재활용 현황 및 문제점
1) 폐금속자원의 발생 및 경제적 가치
(1) 폐금속자원 보유 및 발생량
가. 폐전기ㆍ전자 제품 나. 폐자동차 다. 폐건전지 라. 사업장 폐기물
(2) 폐금속자원의 경제적 가치
2) 재활용 의무 대상 및 의무율 실태
(1) 전기ㆍ전자 제품 (2) 자동차 (3) 사업장계 폐금속자원 (4) 기타 폐금속 자원
3) 폐금속자원 수거 및 재활용 실태
(1) 전기ㆍ전자제품 가. 수거 나. 재활용
(2) 자동차 가. 수거 나. 재활용
(3) 사업장계 폐금속자원 가. 수거 나. 재활용
(4) 기타 폐금속자원의 수거 및 재활용
4) 폐금속자원 재활용 기술 및 산업
(1) 폐금속자원 재활용 기술개발 및 수준
(2) 폐금속자원 재활용 산업
5) 폐금속자원 재활용 관련 제도
(1) 재활용업 허가 관련
(2) 폐금속자원 운반 및 보관기준 과다
(3) 폐금속자원 해외 유출
3.「폐금속자원 재활용 대책」의 주요내용
1) 개념 및 비전ㆍ목표
(1) 폐금속자원 재활용의 개념
가. 폐금속자원의 정의 나. 폐금속자원 재활용의 정의
(2) 비전 및 추진목표
2) 분야별 추진과제
(1) 폐금속자원 재활용 체계 강화
(2) 폐금속자원 수거체계 효율화
(3) 폐금속자원 재활용 기술개발 및 산업경쟁력 제고
(4) 폐금속자원 재활용 제도개선 및 기반구축
4. 분야별 세부 실행계획
1) 폐금속자원 재활용 체계 강화
(1) 폐전기ㆍ전자제품의 재활용 범위 확대
가. 추진배경 나. 그간 추진실적 다. 세부 추진내용
(2) 폐자동차 재활용 체계 강화
가. 추진배경 나. 그간 추진실적 다. 세부추진내용
(3) 폐전지 재활용 체계 강화
가. 추진배경 나. 그간 추진실적 다. 세부추진내용
(4) 사업장계 폐금속자원 재활용 범위 확대
가. 추진배경 나. 그간 추진실적 다. 세부추진내용
(5) 특정 폐금속자원(압수물) 재활용 활성화 방안
가. 추진배경 나. 그간 추진실적 다. 세부추진내용
2) 폐금속자원 수거체계 효율화
(1) 폐금속자원 상시 수거체계 확립
가. 추진배경 나. 그간 추진실적 다. 세부추진내용
(2) 범국민 폐금속자원 수거운동 실시
가. 추진배경 나. 그간 추진실적 다. 세부추진내용
(3) 폐금속자원 운반체계 선진화
가. 추진배경 나. 그간 추진실적 다. 세부추진내용
3) 폐금속자원 재활용 기술개발 및 산업경쟁력 제고
(1) 전략 재활용 대상 금속 선정
가. 추진배경 나. 그간 추진실적 다. 세부추진내용
(2) 재활용 기술개발 수행
가. 추진배경 나. 그간 추진실적 다. 세부추진내용
(3) 재활용금속의 안정적 수요ㆍ공급기반 확립
가. 추진배경 나. 그간 추진실적 다. 세부 추진내용 (지경부)
(4) 수집ㆍ보관 선별장 확충ㆍ관리
가. 추진배경 나. 그간 추진실적 다. 세부추진내용
(5) 폐금속자원 재활용업 지원
가. 추진배경 나. 그간 추진실적 다. 세부추진내용
(6) 자원순환특화단지 조성 확대 및 자원순환망 구축
가. 추진배경 나. 그간 추진실적 다. 세부 추진내용
(7) 생태산업단지 확대
가. 추진배경 나. 그간 추진실적 다. 세부추진내용 (지경부)
4) 폐금속자원 재활용 제도개선 및 기반구축
(1) 폐금속자원 재활용 관련 제도 정비
가. 추진배경 나. 그간 추진실적 다. 세부 추진내용
(2) 정보화 및 통계기반 구축
가. 추진배경 나. 그간 추진실적 다. 세부추진내용
(3) 교육 및 홍보 전략 마련
가. 추진배경 나. 그간 추진실적 다. 세부추진내용
5. 투자계획 및 기대효과
1) 투자계획
2) 기대효과 ("10년~"13년)
(1) 경제적 기대효과
가. 폐금속자원의 회수ㆍ재활용에 따른 금속자원 생산 증대
나. 재활용된 금속의 수입량 대체에 따른 무역역조 절감
다. 일자리 창출효과
(2) 환경개선효과
6. 비전 및 목표
제Ⅴ장 국내ㆍ외 폐금속자원 산업동향
1. 국내의 폐금속자원 동향
1) 폐금속자원 산업
2) 폐희유금속 재활용 업황
3) 폐희유금속 재활용 기술 동향 및 수준
2. 해외의 폐금속자원 동향
1) 폐희유금속 현황 (1) 일본 (2) 중국
2) 폐금속자원 재활용 관련 법 및 제도 현황 (1) 일본 (2) 중국
3) 희유금속 관련 정책 현황
(1) 일본
가. 희유금속 정책 변화 과정
나. 희유금속 비축제도
다. 희유금속 관련 정책 기관
라. 희유금속 회수를 위한 최근 동향
(2) 중국 가. 수출규제정책 나. 희유금속 재활용 정책
4) 폐금속자원 재활용 업체 동향
(1) 일본 가. 도와홀딩스 나. 니꼬금속(주) 다. 요코하마 금속
(2) 중국
5) 폐희유금속 재활용 기술 동향 (1) 일본 (2) 중국 (3) 유럽
3. 폐금속자원 재활용 기술 및 특허분석
1) 폐금속자원 재활용 기술 분석
(1) 국내 산업 경쟁력 분석 (2) 국내 기술 수준 분석
2) 폐금속자원 재활용 특허 분석
(1) 폐금속자원 재활용 전반
가. 포트폴리오로 본 IT폐자원 순환활용과 관련한 기술 분야의 위치
나. IT폐자원 순환활용 기술과 관련한 각 국별 세부기술 포트폴리오
다. IT폐자원 순환활용 관련 기술의 국가별 기술수준 및 시장확보지수 분석
라. IT폐자원 순환활용 관련 기술의 국가별 기술수준
(2) 재활용기술개발 대상별 특허분석
가. 폐전기ㆍ전자기기 재활용분야
나. 폐자동차 재활용분야
다. 공정 폐액
라. 리튬 및 망간전지
마. 실리콘 슬러지
바. 탈황 촉매
사. 티타늄
아. 철계 및 범용금속 폐자원 재활용분야
제Ⅵ장 국내ㆍ외 폐기물관련법과 자원순환법
1. 국내 폐기물관련법
1) 폐기물 관리정책
(1) 도입 현황
(2) 시대별 관련법 현황
가. 폐기물 관리위주의 안전처리시기 (1986~1992)
나. 폐기물관리에서 재활용 시대 (1993~2005)
다. 폐기물관리에서 자원순환 시대 (2006~현재)
(3) 폐기물 관리법 체계 가. 생활 폐기물 나. 사업장 폐기물
(4) 폐기물 처리업
(5) 지정폐기물의 처리증명
2)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법 체계
(1) 자원순환 기본계획의 수립 (2)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3)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법 체계
(1)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정책 (2) 순환골재의 품질기준 및 사용촉진
4) 폐기물처리시설설치촉진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체계
5) 전기ㆍ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
6) 폐기물관련법제 정비 필요성
7) 녹색성장과 자원순환
2. 국내 자원순환 관련법
3. 해외 폐기물 관리법
1) EU의 폐기물 관리법
(1) 전기ㆍ전자장비 폐기물처리 지침 (WEEE: 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2) ELV 폐차처리지침 (Directive 2000/53/EC on end-of-life vehicles)
(3) 에너지 사용제품 친환경설계 규정 (EuP: Eco-design requirements for
Energy-using Products)
(4) 통합제품정책 (IPP: Integrated Product Policy)
(5) 화학물질평가제도 (REACH: Registration, Evaluation and Authorization of
Chemicals System)
(6) EU의 환경관련 개념 시사점
2) 일본의 폐기물 관리법
(1) 폐기물 처리 및 청소법
가. 배출억제 또는 감량화 등에 대한 각 주체의 역할 규정
나. 적정처리 규제강화
다. 공공폐기물처리장 설치 촉진
(2) 자원유효이용촉진법
(3) 용기포장리사이클법
(4) 가전리사이클법
(5) 건설리사이클법
(6) 식품리사이클법
(7) 그린구입법
(8) 일본 폐기물관련법 개정에 관한 시사점
4. 해외 자원순환법
1) 독일 (1) 순환관리 및 폐기물법의 체계 (2) 순환관리 및 폐기물법의 시사점
2) 일본
(1) 순환형사회형성추진기본법 체계
(2) 순환형사회형성추진기본법 제정의 시사점
5. 자원순환사회구축 촉진을 위한 폐기물관련법의 문제점
1) 재활용 폐기물 범위의 불명확성
2) 폐기물감량개념의 불명확성
3) 발생원에 따른 폐기물 분류의 문제점
4) 사업장폐기물배출자의 법적책임 미흡
5) 폐기물처리의 기본원칙의 비명문화
6) 폐기물재활용사업자에 대한 관리감독 부재
7) 방치폐기물처리에서의 문제점
(1) 원인자책임구현 미비
(2) 토지소유자의 승계인에 대한 조치명령의 불명확성
8) 폐기물관련법제의 체계 및 연계성 문제
6. 자원순환사회구축 촉진을 위한 폐기물관련법제의 개선방안
1) 정책기조의 변화와 사고의 전환
2) 자원순환사회 구축을 위한 폐기물정책의 기본원칙 수립
(1) 사전배려의 원칙
(2) 발생지내 근접지처리 원칙
(3) 오염자책임의 원칙
(4) 협동의 원칙
가. 소비자(국민)의 역할
나. 생산자(기업)의 역할
다. 지자체(지방정부)의 역할
라. 중앙정부의 역할
마. 폐기물정보공개 및 주민참여의 원칙
바. 폐기물의 자원화 우선원칙
3) 제품의 전과정평가제도 구축
4) 원료의 물질흐름 분석 및 비용분석
5) 폐기물관련법제의 체계 및 연계성 개선방안
6) 개편방안

제2편 도시광산업과 희소금속산업
제Ⅰ장 도시광산업(Urban Mining)의 현황과 전망
1. 도시광산업(Urban Mining)의 개요
1) 도시광산의 개념
2) 도시광산의 종류
3) 도시광산업의 부상 배경
(1) 경제적 요인 (2) 신성장산업의 발전 (3) 환경적 요인 (4) 대외적 요인
4) 도시광산의 필요성
(1)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희유금속의 안정적인 확보수단
(2) 희소금속 보유국들의 자원민족주의 강화에 따른 대응책
(3) 시황에 따라 가격 변동성이 큰 비철금속의 수급대비책
(4) 새로운 녹색사업으로서의 투자기회
2. 국내ㆍ외 도시광산업 동향
1) 국내 동향
(1) 국내 현황 (2) 국내 폐가전제품 회수 및 재활용 경로 (3) 국내 도시광업체 현황
2) 해외 동향
3. 도시광산의 폐전자제품 현황
1) 폐전자제품 재활용 관련 법 제도
2) 폐가전제품의 회수 및 유가금속 이용
3) 폐전자제품의 유가금속 회수 및 리사이클링 기술
4. 도시광산업 발전 전망과 활성화 방안
1) 도시광산업의 발전 전망
2) 도시광산업의 활성화 방안
제Ⅱ장 도시광산 사업의 효율적 추진과 정책과제
1. 도시광산 사업의 의의
1) 도시광산의 개념
2) 도시광산 사업의 추진배경
(1) 자원수요 급증과 공급의 편재성 (2) 천연자원의 고갈 위험
2. 도시광산의 중요성과 의의
1) 도시광산의 경제적 중요성
2) 녹색성장 원천으로서의 도시광산
3) 해외사례
3. 국내의 도시광산 현황
1) 국내 도시광산 통계 부재
2) 업계의 영세성과 유통체계의 낙후성
3) 기술수준 열위
4. 사업효율화를 위한 주요 정책과제
1) 입지규제의 조기 철폐와 실효성 확보
2) 도시광산을 제조업으로 재분류
3) 폐금속자원 수집 및 유통체계의 선진화
4) 도시광산 기술개발의 체계화
5) 물질흐름 분석과 도시광산 관련 통계기반 구축
5. 도시광산화 사업의 추진방안
1) 사업의 비전 및 추진목표
(1) 비전 및 추진목표
가. 폐금속자원 재활용 체계 강화
나. 폐금속자원 수거체계 효율화
다. 폐금속자원 재활용 기술개발 및 산업경쟁력 제고
라. 폐금속자원 재활용 제도개선 및 기반구축
(2) 폐금속자원 재활용 방안
(3) 지방자치단체 폐금속자원 재활용 사례
(4) 법적 근거규정
2) 도시광산화 사업 추진방안
(1) 폐가전 및 폐휴대전화 수거체계 수립
(2) 재활용특화기업 육성
(3) 도시광산화 정책 시행방안
3) 기대효과
제Ⅲ장 희소금속의 자원순환과 연구개발 동향
1. 희소금속의 개요
1) 희소금속의 의의
2) 희소금속의 정의
3) 희소금속의 용도
2. 희소금속산업의 자원순환
1) 희소금속과 화석연료
2) 희소금속 순환
3. 희소금속의 R&D; 현황과 확보방안
1) 희소금속의 R&D; 현황
(1) 부존현황 (2) 생산현황 (3) 주요 희소금속의 수요전망
2) 희소금속의 확보방안
(1) 해외자원개발 (2) 국내광산개발 (3) 비중확대
(4) R&D; 활성화 (5) 국제공조강화 (6) 권역별 진출 전략
4. 녹색 희소금속의 가치사슬
1) 녹색 희소금속별 가치사슬
(1) 텅스텐 (2) 리튬 (3) 희토류 (4) 코발트 (5) 마그네슘
(6) 백금 (7) 갈륨 (8) 인듐 (9) 니켈
2) 기타 희소금속의 수급현황
(1) 크롬 가. 부존현황 나. 생산현황 다. 수입현황
(2) 망간 가. 부존현황 나. 생산현황 다. 망간 수입현황
(3) 몰리브덴 가. 부존현황 나. 생산현황 다. 수입동향
3) 국내 희소금속 가치사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4) 가치사슬 분석 및 시사점
5. 희소금속의 산업현황 및 각국의 확보 전략
6. 희소금속의 연구개발 동향
제Ⅳ장 녹색기술산업의 희소금속
1. 희소금속과의 연계성
1) 녹색성장 개념과 추진 전략
2) 신성장동력과 희소금속과의 연계성
3) 녹색 희소금속의 선정
2. 주요 녹색에너지 산업별 희소금속 수요 전망
1) 태양광
(1) 태양광 발전의 희소금속 수요 (태양전지) (2) 태양전지의 희소금속 수요량 전망
2) 풍력발전
(1) 풍력 발전의 희소금속 수요 (영구자석) (2) 풍력발전의 희소금속 수요량 전망
3) 그린카
(1) 자동차(그린카 포함)의 희소금속 수요 (2) 전기자동차 희소금속 수요량 전망
4) 연료전지
(1) 연료전지의 희소금속 수요 (2) 연료 전지의 희소금속 수요량 전망
5) LED
(1) LED의 희소금속 수요 (2) LED 국내외 시장 전망
3. 주요 녹색에너지산업의 희소금속 향후 전망
제Ⅴ장 희소금속의 국내ㆍ외 개발현황과 정책동향
1. 국내 희소금속 개발 및 관리 정책
1) 국내의 희소금속 산업화 현황
2) 국내의 희소금속 개발 및 관리 정책
(1) 해외자원개발 (2) 국내 자원개발 (3) 비축확대
(4) 부산물 회수, 금속 재활용 및 대체재 개발 (5) 소재산업 발전
2. 희소금속 산업 생태계 조성 정책
1) 추진 배경 및 현황
(1) 희소금속의 생산과 특성 가. 생산 나. 특성
(2) 글로벌 시장 동향 가. 공급불안 나. 확보경쟁 (3) 국내 상황
2) 주요산업별 희소금속 산업생태계 분석
(1) 리튬이온 배터리:리튬(Li), 코발트(Co)
(2) 모터용 희토류 영구 자석:네오디움(Nd), 디스프로슘(Dy)
(3) 디스플레이:ITO 타켓인듐(In)
(4) LED:갈륨(Ga)
(5) 초경량 마그네슘 소재:마그네슘(Mg)
(6) 원자로 핵연료봉 피복관:지르코늄(Zr)
3) 희소금속 산업생태계 조성 대책
(1) 11대 전략 희소금속 발굴 및 40개 Loofhole Technology 개발
(2) 희소금속 안정적 공급원 확보
(3) 희소금속 산업지원 인프라 확보
3. 해외 주요국들의 희소금속 개발 및 관리 정책
1) 희소금속 개발 및 관리 정책
(1) 미국 (2) EU (3) 중국 (4) 일본 (5) 기타
2) EU 주요국별 희소금속 확보 동향
(1) EU 집행위 가. 광물 선정 나. 정책 현황
(2) 프랑스 가. 정책 현황 나. 해외진출 현황 다. 기업 현황
(3) 독일 가. 정책 현황 나. 해외진출 현황 다. 기업 현황
(4) 네덜란드 가. 정책 현황 나. 기업 현황
(5) 이탈리아 가. 정책 현황 나. 해외진출 현황 다. 기업 현황
제Ⅵ장 고순도 희유소재 제조기술의 특허 동향분석
1. 서론
2. 기술분류 및 분석범위
1) 기술분류
2) 분석 범위
3. 특허출원동향 분석
1) 국가별 출원점유율 및 연도별 출원동향분석
2) 주요 출원인 동향분석
3) 기술분야별 출원동향분석
4) 희유금속 원소별 출원동향분석
5) 미국특허를 통한 기술수준분석
4. 결론 및 시사점
제Ⅶ장 폐전기전자제품의 희유금속 회수기술 특허ㆍ논문 동향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