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사물인터넷(IoT) 활용분야별 비즈니스 현황과 최근 주요 이슈 종합분석

사물인터넷(IoT) 활용분야별 비즈니스 현황과 최근 주요 이슈 종합분석

  • 편집부
  • |
  • IRS Global
  • |
  • 2016-05-27 출간
  • |
  • 577페이지
  • |
  • 210 X 300 X 35 mm /1842g
  • |
  • ISBN 9788998207366
판매가

400,000원

즉시할인가

360,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60,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사물인터넷(IoT)의 개념적 이해와 산업 범위

1. 사물인터넷의 등장배경 및 기대효과
1-1. ICT 융합의 진전과 사물인터넷 환경의 도래
1) 사물인터넷의 등장배경과 의미
(1) 사물인터넷 환경의 도래
(2) 사물인터넷 시대의 새로운 변화
2) 산업 사물인터넷의 등장 배경과 의미
3) 사물인터넷 기반의 빅데이터 등장배경과 의미
1-2. 사물인터넷 도입에 따른 기대 효과와 진화 방향
1) 사물인터넷 도입에 따른 기대 효과
2) 사물인터넷 기술의 진화 방향
3) 산업 사물인터넷 도입에 따른 기대 효과
2. 사물인터넷의 개념 정의

3. 사물인터넷 생태계의 구성요소 및 범위
3-1. 사물인터넷 생태계의 구성요소
3-2. 사물인터넷 생태계 분야별 주요 특징
1) 반도체칩
2) 센서
3) 통신모듈
4) 단말기
5) 플랫폼
6) 통신
3-3. 사물인터넷의 확산에 따른 생태계 변화
3-4. 사물인터넷의 주요 활용서비스 분야

Ⅱ. 사물인터넷(IoT) 산업의 시장 현황 및 최근 주요 이슈

1. 국내외 사물인터넷 산업 동향과 시장 전망
1-1. 글로벌 사물인터넷 산업의 시장 규모 및 전망
1-2. 국내 사물인터넷 산업의 시장 규모 및 전망
1-3. 국내 사물인터넷 산업 현황
1) 조사 개요
2) 조사결과
(1) 사업체 현황
(2) 매출(내수/수출) 및 수입 현황
(3) 사물인터넷 적용 서비스 분야별 매출, 수입 현황
(4) 기술 인력 현황
(5) 사물인터넷 시장 전망
(6) 애로사항 및 지원 요구사항

2. 사물인터넷 가치사슬별 시장 현황과 전망
2-1.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시장
1) 글로벌 시장 현황
(1) 개관
(2) 시장 규모 및 전망
(3) 주요 사업자별 최근 현황
2) 국내 시장 현황
(1) 개관
(2) 시장 규모 및 전망
(3) 주요 사업자별 최근 현황
2-2. 사물인터넷 통신서비스 시장
1) 글로벌 시장 현황
(1) 개관
(2) 시장 규모 및 전망
(3) 주요 사업자별 최근 현황
2) 국내 시장 현황
(1) 시장 규모 및 전망
(2) 주요 사업자별 최근 현황
2-3. 사물인터넷 플랫폼 시장
1) 글로벌 시장 현황
(1) 개관
(2) 시장 규모 및 전망
(3) 주요 사업자별 최근 현황
2) 국내 시장 현황
(1) 개관
(2) 주요 사업자별 최근 현황

3. 사물인터넷 주요 활용분야별 시장 현황과 전망
3-1. 스마트헬스케어 분야
1) 개관
2) 글로벌 시장 규모 및 전망
3) 국내 시장 규모 및 전망
3-2. 스마트홈/가전 분야
1) 개관
2) 글로벌 시장 규모 및 전망
3) 국내 시장 규모 및 전망
3-3. 스마트카 분야
1) 개관
2) 글로벌 시장 규모 및 전망
3) 국내 시장 규모 및 전망
3-4. 스마트에너지 분야
1) 개관
2) 글로벌 시장 규모 및 전망
3) 국내 시장 규모 및 전망
3-5. 스마트시티 분야
1) 개관
2) 글로벌 시장 규모 및 전망
3) 국내 시장 규모 및 전망

Ⅲ. 사물인터넷(IoT) 관련 정책추진 동향 및 법제도 이슈

1. 국가별 사물인터넷 정책추진 동향
1-1. 개관
1-2. 미국 정책 동향
1-3. EU 정책 동향
1-4. 독일 정책 동향
1-5. 영국 정책 동향
1-6. 중국 정책 동향
1-7. 일본 정책 동향
1-8. 인도 정책 동향
1-9. 캐나다 정책 동향
1-10. 국내 정책 동향

2. 사물인터넷 관련 법률 체계 현황
2-1. 사물인터넷 관련 국내 법규 현황
1) 개관
2) 사업자 진입규제 및 법률상 지위 관련 법규 현황
(1) ICT 특별법
(2) 전기통신사업법
(3) 위치정보법
3) 개인정보의 보호에 관한 법규 현황
(1) 개인정보보호법
(2) 정보통신망법
(3) 위치정보법
4) 정보보안 체계에 관한 법규 현황
5) 개별 서비스의 활성화에 관한 법규 현황
2-2. 사물인터넷 활성화 관련 특별법 제정 논의
1) 사물인터넷 법제도 정비 필요성
2) 사물인터넷 법제도적 장애요소 유형
3) 사물인터넷 특별법 제정 논의 현황
(1) 개관
(2) 사물인터넷 특별법 논의방향
(3) 최근 사물인터넷 특별법 입법 논의
4) 사물인터넷 산업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이슈
(1) ICT 특별법상 신규 사업자의 법적지위 보장 문제
(2) 전기통신사업법상 전기통신사업자의 진입규제 완화 문제

3. 사물인터넷 활용분야별 법제도 이슈
3-1. 스마트 홈/가전 분야
3-2. 스마트 교통/물류 분야
1) 도시주차장 서비스
2) 스마트하이웨이
3) 무인자동차
3-3. 헬스케어 분야
1) 원격 의료ㆍ의약품 원격 판매
2) 웨어러블(Wearable) 기기

4. 사물인터넷 개인정보 이슈
4-1. 최근 개인정보 환경의 변화
1) 데이터 활용 증가
2) 개인정보 환경의 변화
3) 최근 개인정보 침해 현황 및 유출 사건
4-2. 사물인터넷 기기의 개인정보 활용 및 침해발생 사례
1) 사물인터넷 기기의 개인정보 활용 예시
2) 개인정보 침해 및 보안위협 사례
(1) 구글 글래스(Google Glass)
(2) 프리즘스카이랩(비콘 기술)
(3) 스마트 그리드
(4) 해킹 시연
3) 개인정보 침해 규제 사례
(1) 온스타(Onstar)의 개인정보 무단수집 사건
(2) 트렌드넷(TRENDnet)의 동영상 유출 사건
4) 국내외 개인정보보호 정책 동향
(1) 개관
(2) 국내 개인정보 정책 동향
(3) 주요국 개인정보 정책 동향

Ⅳ. 사물인터넷(IoT) 활용분야별 주요 업체동향 및 사업전략

1. 스마트헬스케어 분야
1-1. 주요 업체간 경쟁구도 현황
1-2. 글로벌 업체동향 및 사업전략
1) Google
2) Apple
3) Microsoft
4) Qualcomm
5) IBM
6) Nike
7) Fitbit
8) Sony
9) Healbe
10) Lively
11) Artefact
12) AT&T;
13) SoftBank
14) Orange
15) 기타
1-3. 국내 업체동향 및 사업전략
1) 삼성전자
2) LG전자

2. 스마트홈/가전 분야
2-1. 주요 업체간 경쟁구도 현황
2-2. 글로벌 업체동향 및 사업전략
1) Google
2) Apple
3) Amazon
4) AT&T;
5) Verizon
6) Orange
7) 기타
2-3. 국내 업체동향 및 사업전략
1) 삼성전자
2) LG전자
3) SKT
4) KT
5) LG U+

3. 스마트카 분야
3-1. 주요 업체간 경쟁구도 현황
3-2. 글로벌 업체동향 및 사업전략
1) Google
2) Apple
3) Ford
4) GM
5) Toyota
6) BMW
7) Audi
8) AT&T;
9) Verizon
10) Sprint
11) 기타
3-3. 국내 업체동향 및 사업전략

4. 스마트물류/교통 서비스 분야
4-1. 주요 업체간 경쟁구도 현황
4-2. 글로벌 업체동향 및 사업전략
1) Amazon
2) FedEx
3) SAP
4) AT&T;
4-3. 국내 업체동향 및 사업전략
1) CJ대한통운
2) SKT
3) 기타

5. 스마트그리드 분야
5-1. 주요 업체간 경쟁구도 현황
5-2. 글로벌 업체동향 및 사업전략
1) AT&T;
2) Landis+Gyr
3) Siemens
4) OSIsoft
5) 기타
5-3. 국내 업체동향 및 사업전략
1) SKT
2) KT
3) 포스코

6. 스마트시티 분야
6-1. 주요 업체간 경쟁구도 현황
6-2. 글로벌 업체동향 및 사업전략
1) IBM
2) Cisco
3) Accenture
4) China Mobile
5) China Unicom
6) 기타
6-3. 국내 업체동향 및 사업전략

Ⅴ. 사물인터넷(IoT) 관련 핵심기술, 표준화, 보안 및 특허 동향

1. 사물인터넷 핵심기술 개발 및 업체 동향
1-1. 국내외 사물인터넷 기술 관련 일반 현황
1) 사물인터넷 기술발전 현황 개요
2) 사물인터넷 기술개발 업체 현황
1-2. 사물인터넷 센서기술 개발 동향
1-3. 사물인터넷 서비스 인터페이스기술 개발 동향
1-4. 사물인터넷 통신기술 개발 동향
1) 접속기술 동향
2) 통신인프라 환경 동향
1-5. 인공지능(AI) 등 분석ㆍ추론기술 개발 동향
1-6.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플랫폼기술 개발 동향
1) 센싱 디바이스 운영체제(OS) 동향
2) 사물인터넷 플랫폼 개발 동향
1-7. 사물인터넷의 향후 기술 전망

2. 사물인터넷 표준화 동향
2-1. 사물인터넷 표준화 논의 배경 및 주요 이슈
2-2. 사물인터넷 표준화 연합체 현황
1) 국제 표준화 기구
(1) ITU-T
(2) JTC 1
(3)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4)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 oneM2M
(6)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7)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8) OMA
2) 산업체 주도의 표준연합체 현황
(1) OIC(Open Interconnect Consortium)
(2) Thread Group
(3) IIC(Industrial Internet Consortium)
(4) Allseen Aliance
(5)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2-3 사물인터넷 표준화 연합체간 경쟁구도
2-4. 국내 표준화 현황
1) 개요
2) TTA 특별기술위원회(STC 1)
3) 사물인터넷포럼
2-5. 사물인터넷 사업자의 표준화 추진 방향

3. 사물인터넷 보안 동향
3-1. 사물인터넷 보안 기술의 중요성
1) 사물인터넷 환경의 특성
2) 사물인터넷의 보완 취약성
3) 사물인터넷 특성에 의해 발생 가능한 문제점
3-2. 사물인터넷 보안 취약성 사례
1) 자동온도조절장치
2) 사물인터넷 체중계
3) 헬스케어 기기
3-3. 사물인터넷 보안 기술 동향
1)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보안 이슈
2)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보안
3) 사물인터넷 데이터 보안
4) 사물인터넷 서비스 보안
5) 사물인터넷 시스템 보안
6) 사물인터넷 프라이버시 보호
3-4. 사물인터넷 보안 표준화 동향
1) ITU-T 사물인터넷 보안 관련 표준
2) IETF 사물인터넷 보안 관련 표준
3) OneM2M, ISO/IEC JTC1 IoT 사물인터넷 보안 관련 표준
4) GSMA 사물인터넷 보안 가이드라인의 주요 내용
5) 국내 사물인터넷 보안 표준화 동향
3-5. 사물인터넷 보안산업 동향
1) 보안산업 시장 규모
2) 보안산업 생태계 동향

4. 사물인터넷 특허출원 및 등록 동향
4-1. 사물인터넷 관련 특허 동향 개관
1) 국내외 사물인터넷 특허출원 및 등록 현황(2010~2013년)
2) 사물인터넷 관련 특허 주요 출원인 현황
3) 다출원 상위 5개 기업의 특허시장력 현황
4-2. 사물인터넷 세부 분야 특허 동향
1) 사물인터넷 웨어러블 디바이스 특허 동향
2) 사물인터넷 가전 특허 동향
3) 사물인터넷과 AR 기술 결합 특허 동향
4) 사물인터넷 정보보안 특허 동향
5) 사물인터넷 기타 분야 특허 동향
4-3. 사물인터넷 관련 주요 공개특허 예시
1) CCTV 감시장치 관제시스템
2)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기기간 통신
3) IPTV 기반 M2M 서비스시스템
4)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
5) 제조현장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
6) 차량에 실시간 컨텐츠 제공 시스템
7) 사물인터넷 가전 특허 출원 사례

Ⅵ. 부록
1. 국내 사물인터넷 기기업체 현황 조사
1) 네커스
2) 네톰
3) 대단
4) 대명ITS
5) 대양전기공업
6) 대우IS
7) 데키스트
8) 동일기연
9) 디앤디솔루션
10) 라이콤
11) 라코스시스템
12) 링스텔레콤
13) 맥스포
14) 메버릭시스템
15) 모텍스
16) 미래엔씨티
17) 백금T&A;
18) 비츠로셀
19) 삼성피아이티
20) 세연테크놀로지
21) 손텍
22) 쓰리에이로직스
23) 씨앤피인스트루먼트
24) 씨티투피솔루션스
25) 아이네크
26) 아이렉스넷
27) 알에프윈도우
28) 알엔웨어
29) 앰투앰넷
30) 에스아이티코리아
31) 에프씨언와이어드
32) 엑스톤
33) 엔티모아
34) 엠디에스테크놀로지
35) 엠쓰리모바일
36) 옴니시스템
37) 유비즈코아
38) 유시스
39) 유우일렉트로닉스
40) 유타렉스
41) 이그잭스
42) 이노피아테크
43) 이도링크
44) 이씨글로벌
45) 제이씨스퀘어
46) 제일기술
47) 주식회사터크코리아
48) 지모드
49) 지앤시스템
50) 지에스엠비즈
51) 차후
52) 케이아이씨시스템즈
53) 케이웍스
54) 코리아디지탈
55) 텔레웍스
56) 파루
57) 패커드코리아
58) 퓨쳐텍
59) 하나마이크론
60) 하이디어솔루션즈
61) 한국후지필름
62) 한창시스템
63) ATID
64) BNB솔루션
65) EMW안테나
66) HDB정보통신
67) NEID

2. ‘CES 2016’의 주요 이슈
2-1. 주요 이슈
1) 기기간 융합 활성화
2) 미래 제품 및 서비스 대중화
3) B2B 시장의 중요성 부각
4) 중국기업의 기술 분야 확장
5) 전기자동차 및 자율주행자동차의 부각
(1) 전기자동차 부문
(2) 자율주행자동차 부문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