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민중신학, 마르크시즘, 주체사상간의 대화

민중신학, 마르크시즘, 주체사상간의 대화

  • 김병균
  • |
  •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 |
  • 2019-08-20 출간
  • |
  • 578페이지
  • |
  • 153 X 225 X 30 mm /866g
  • |
  • ISBN 9788968496493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4,25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4,2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주요 자료

1. 연구의 범위
본 저서는 갈릴리 신학대학원장 홍성현의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종교비판을 넘어서』를 기본적인 틀로 이해하면서, 목원대학교 신학과 명예교수인 김흥수의 한반도 북부지역의 기독교사 강의자료집 안에 들어 있는 논문들을 사상적ㆍ신학적 분석의 기본으로 삼았다. 민중신학과 주체사상의 대화부문에서는 전 목원대교수 송기득의 『그리스도교 신앙과 인간해방』과 씨알사상연구소장인 박재순의 『열린 사회를 위한 민중신학』 등을 읽고 도움을 받았다. 주체사상 연구에 관하여는 조선그리스도교연맹 목사 고기준의 “사회주의와 기독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전 국방위원장 김정일의 “주체사상에 대하여”, 북측 주체주의사상연구소장 박승덕의 “기독교에 대하는 주체사상의 새로운 관점” 등 수편의 논문들을 남-북교회의 분단역사 갈등과 대립의 역사를 청산하고 선교적 화해추구를 위한 현장신학실천의 중요자료로 삼았다. 또한 남측의 경우 정권안보를 위해 공안정국을 조성하여 평화통일 세력을 좌경, 용공으로 내몰았던 ‘빨갱이 몰이’에 의한 지난날의 죄악상을 통찰하고, 향후 정권과 한국교회와 평화통일운동이 정전협정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이뤄내야 한다는 당위성과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민중신학과 주체사상의 신학적ㆍ사상적 이해 및 대화 모색, 남북교회간의 만남 및 한국교회협의회 선언문 정신, 남북교류 및 한반도 평화협정 제안, 한국교회의 평화통일 역할 및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열정을 갖고서 본서를 집필하였다.

2. 주요 자료
1) 민족분단과 남북교회의 갈등 상황 관련
부르스 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 권오창, 『우리민족끼리』; 고기준, “사회주의와 기독교”; 윤정란, 『한국전쟁과 기독교』; 김병희, 『한경직 목사』; 한경직, 『건국과 기독교』; 김동춘, 『대한민국은 왜?』; 김흥수, “분단 70년, 북한 기독교의 이해”; 김양선, 『한국기독교해방십년사』.

2) 사회주의 사상과 예수의 하나님 나라 이해 관련
유시민, 『부자의 경제학 빈민의 경제학』; 김병균, 『새날을 향한 예언자의 소리』; 홍성현,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종교비판을 넘어서서』; Karl Marx, The Difference Between the Natural Philosophy of Democritus and the Natural Philosophy of Epicurus; 임석진, 『철학사전』; 최영숙, 『러시아의 동방정교』; 송기득, 『끝내 사람이고자』; 강신준, 『러시아 혁명과 두 개의 마르크스』; 정상영, 『100년을 이어온 러시아 혁명』; 송기득, 『하느님의 두 아들』; 안병무, 『갈릴래아의 예수』; G. 엥겔스(박준석 외 옮김), 『영국 노동자계급의 상태』; 홍성현 편저, 『중국교회의 전기와 새로운 중국의 신학』; 김애영, 『칼 바르트 신학의 정치ㆍ사회적 해석』; 울리히 단네만, 이신건 역, 『칼 바르트의 정치신학』; 김균진, 『20세기 신학사상』; E. 부에스/M. 마트뮐러, 손규태 역, 『예언자적 사회주의』.

3) 민중신학과 주체사상과의 대화 관련
박순경ㆍ파블로 이햐르 외, 『제3세계의 상황신학(서문, 박형규)』; 성서 : 공동번역, 대한성서공회; 이원규, 『한국교회와 사회』; 박순경, 「민족통일과 민중신학의 문제」; 박재순, 『열린사회를 위한 민중신학』; 서남동, 『민중신학의 탐구』; 송기득, 『그리스도교 신학과 인간해방』; 안병무, 『민중신학 이야기』; 조현, 「다시 조명받는 ‘한국 민중신학」; 김진호, 「21세기와 민중, 그리고 신학적 상상력」; 송기득, 『끝내 사람이고자』; 류장현, 「한국그리스도교 사회주의의 태동과 의의」; 이반송ㆍ김정명 편저, 「식민지 시대 사회운동」; 이광수, 「금일 조선야소교회의 결점」; 주재용, 「한국민중과 개신교」; 김창순ㆍ김준엽, 「한국 공산주의 운동사 Ⅱ」; 류장현, 「한국그리스도교 사회주의의 태동과 의의」; 유경상, 「社會主義者 예수」; 홍동근, 「조선 기독교의 사회주의 크리스천들」; 고기준, 「사회주의와 기독교“; 고태우, 『한 권으로 보는 북한사 100장면』; 김정일, 「주체사상에 대하여」; 박승덕, “기독교에 대하는 주체사상의 새로운 관점”; 김정일, 「주체사상에 대하여」;「주체사상 교양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박재순, 『열린사회를 위한 민중신학』; 김일성, 「외국기자들이 제기한 질문에 대한 대답’ 3권」; 김정일, 「영화예술론」; 서재진, 『주체사상의 이반』; 김삼웅, 『사료로 보는 20세기 한국사』; 심주일, 『성경에서 훔친 주체사상』; 이제훈ㆍ황춘화, 「근현대사 유례없는 ‘3대 승계’ 추진」; 김진향, 『개성공단 사람들』.

4) 한국교회의 반공주의 극복과 남북화해 관련
고기준, “사회주의와 기독교”; 고태우, 『한 권으로 보는 북한사 100장면』; 김정일, “주체사상에 대하여”; 박승덕, “기독교에 대하는 주체사상의 새로운 관점”; 서재진, 『주체사상의 이반』; 김삼웅, 『사료로 보는 20세기 한국사』; 심주일, 『성경에서 훔친 주체사상』; 사회과학출판사 철학연구소, 『공산당 선언』; 이제훈ㆍ황춘화, “근현대사 유래없는 ‘3대 승계’ 추진”(한겨레신문, 2010년 9월 29일); 박재순, 「김일성 사상 비판」; 김일성, 「외국기자들이 제기한 질문에 대한 대답 3권」; 김정일, 「영화예술론」; 김정일, “주체사상 교양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박재순, 『열린 사회를 위한 민중신학』; 최형묵, 『민중신학과 마르크스주의』; 류장현, 「한국그리스도교 사회주의의 태동과 의의」; 이반송ㆍ김정명 편저, 「식민지 시대 사회운동」; 이광수, “금일 조선야소교회의 결점” 「청년」 1917년 11월호); 주재용, “한국민중과 개신교”; 김창순ㆍ김준엽, 「한국 공산주의 운동사’ Ⅱ」; 유경상, “社會主義者 예수”; 홍동근, “조선 기독교의 사회주의 크리스천들”; 윌프레드 켄트웰 스미스ㆍ길희성(역), 『종교의 의미와 목적』; 윤하영ㆍ한경직(Ha Young Youn and Kyong Chik Han)의 편지, “Gentleman”; 김양선, 『한국기독교해방십년사』.

5) 민중신학과 주체사상의 대화 필연성 관련
박재순, 『열린사회를 위한 민중신학』; 최형묵, “민중신학과 마르크스주의”; 송기득, 『그리스도 신학과 인간해방』 등.


목차


제1장 서론 / 25
제1절 본서 저술의 동기와 목적 / 25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주요 자료 / 30

제2장 강대국에 의한 민족분단과 한국전쟁 이후 남북 대결구도 / 35
제1절 해방 이후 강대국 미국과 소련에 의해 분단된 정황 / 35
제2절 한국전쟁의 원인과 책임 / 46

제3장 한반도 분단 상황에서 남북교회의 이데올로기 갈등 / 56
제1절 북한식 사회주의와 기독교 / 58
제2절 분단 70년, 북한 기독교의 이해 / 68
제3절 6.25전쟁을 전후한 남북교회의 이념갈등 / 73
제4절 한국교회 신학의 현주소와 반공주의적 행태가 갖는 문제점 / 94

제4장 마르크시스트의 종교비판 배경과 이해 / 100
제1절 칼 하인리히 마르크스의 성장과정과 공산당 선언까지 / 100
제2절 칼 마르크스의 ‘공산당 선언’과 ‘자본론’에 대한 이해 / 113
제3절 마르크스의 종교비판 / 130
제4절 레닌의 종교관 / 143
제5절 마르크시스트 도전에 대한 그리스도교의 대처 방안 / 163
제6절 신마르크시즘과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사회적 휴머니즘 / 183

제5장 예수의 ‘하나님 나라’ 신학과 사회주의와의 대화 / 194
제1절 예수의 ‘하나님 나라’와 사회주의의 유사성 / 194
제2절 예언자적 사회주의자 크리스토프 불룸하르트 / 209
제3절 라가츠의 종교사회주의 운동 / 222
제4절 칼 바르트의 하나님의 혁명신학과 사회주의와의 대화 / 231

제6장 사회주의적 신앙과 역사적 실천 / 278
제1절 중국식 사회주의 체제에서 팅 주교의 신앙과 신학의 성장 / 278
제2절 피델 카스트로의 사회주의 실현과 종교에 관한 이해 / 292
제3절 기독교인 사회주의자 김수행의 사상과 신앙관 / 303

제7장 민중신학과 역사적 실천 / 309
제1절 한국의 상황신학인 민중신학 서설 / 310
제2절 민중신학을 보는 신학적 관점 / 316
제3절 민중신학자 서남동과 송기득의 대담 / 326
제4절 안병무의 성서적 민중신학 / 338
제5절 3세대 민중신학자의 관점 / 359
제6절 마르크시즘에 대한 민중신학의 비판 / 366
제7절 한국 그리스도교 사회주의의 태동과 신학적 의의 / 373

제8장 민중신학과 주체사상과의 대화 / 389
제1절 주체사상의 창시에 관하여 / 389
제2절 주체사상의 철학적 원리에 관하여 / 393
제3절 기독교에 대한 주체사상의 관점 / 398
제4절 주체사상은 마르크시즘과 확연히 다르다 / 405
제5절 주체사상에 대한 주요내용과 비판적 견해 / 413

제9장 민족의 화해와 통일을 저해하는 극우반공주의 극복 / 441
제1절 한국기독교 신학의 현주소와 반공주의적 행태가 갖는 문제점 / 441
제2절 한반도 평화통일의 걸림돌 종북몰이ㆍ빨갱이 몰이에 대한 반론과 대책 / 444
제3절 분단의 장벽을 넘어서 평화협정을 이루어야 한다 / 469
제4절 분단의 증오에 대한 죄책고백과 화해신학 / 474
제5절 남북교회의 화해운동과 북한교회의 현실 / 484
제6절 남북교회는 민족화해의 중심에 서야 한다 / 494

제10장 주체사상과 민중신학의 대화 필연성에 관하여 / 512
제1절 주체사상과 민중신학의 만남의 필요성 / 513
제2절 주체사상과 민중신학 사이의 대화 가능성 / 523
제3절 주체사상과 민중신학을 견줄만한 “몇 가지 주제들” / 526
제4절 주체사상과 민중신학의 상호보완과 연대의 길 모색 / 532

제11장 결론 / 535

참고문헌 / 551
Abstract / 556
찾아보기(Index) / 565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