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0 지혜는 국어다 문학

2020 지혜는 국어다 문학

  • 임지혜
  • |
  • 북이그잼
  • |
  • 2019-09-10 출간
  • |
  • 429페이지
  • |
  • 210 X 270 X 30 mm / 815g
  • |
  • ISBN 9791156838579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교재에 공무원 시험에 대비하기 위한 기본 이론을 최대한 꼼꼼히 수록하였습니다. 기초부터 반복해가며 공부의 영역을 조금씩 넓혀 가시길 바랍니다. 교재의 모든 내용을 처음부터 이해하려다보면 벅차다 느낄 수 있습니다. 처음 공부를 하는 당신이라면 강의를 통해 기본 이론 위주로 따라오길 권합니다. 강의와 함께 웃으며 이론 정리를 하다보면 어느새 이론의 체계가 잡힐 겁니다. 그 후 반복학습을 하며 공부의 영역을 깊고 넓게 확장해 가신다면 분명 국어에서 고득점이 가능하리라 봅니다.
1. 문학 영역이 많이 흔들리는 분들은
혼자 해결하려 하지 말고 강의의 도움을 받으며 꼭 작품 정리를 하길 바랍니다. 문학이 많이 약한
분들은 ‘기초 고전 문학, 기초 현대 문학’ 강의를 들으며 문학 작품을 공부하면 시간과 노력을 덜
들일 수 있습니다. 그 내용을 바탕으로 기출문제를 적용하다 보면 문학 문제를 해결하는 적용 능력이 자연스럽게 향상될 것입니다. 약한 영역일수록 기본과 기초에 충실해야 합니다.
2. 문학이 어느 정도 공부가 되었다면
작품의 주요 핵심 내용을 빠르게 정리하고, 여러 직렬의 다양한 기출문제를 접하며 작품을 다시
복습해야 합니다. 기출은 언제나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2007년에 출제되었던 시조 작품이 2017년에 다시 출제되는가 하면, 2016년 9급에 출제되었던 작품이 2019년 7급에 출제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니 문학은 기출을 반복하며 작품에
대한 공부와 문제해결 능력을 동시에 키워야 합니다.
시험에 낯선 작품들이 자주 등장하지는 않습니다. 우리가 ‘필수 작품’이라 일컫는 작품들이 주로 출제됩니다. 특히나 고전은 더욱 그러합니다. 그러니 문학은 ‘감’으로 해결하려 하지 말고 꼭 작품 내용과 주요 이론을 정리해서 확실하게 공부를 해두길 바랍니다.


목차


제1편 고전 문학
제1장 고전 문학의 이해 ··························· 12
제2장 고전 시가 작품 ··· 16
01 고대 가요 ········ 16
1.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 17
2. 구지가(龜旨歌) ····················· 18
3. 황조가(黃鳥歌) ····················· 20
4. 정읍사(井邑詞) ····················· 22
02 향 가 ················ 25
1. 서동요(薯童謠) ····················· 26
2. 헌화가 ········ 28
3. 제망매가(祭亡妹歌) ············· 30
4.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32
5. 안민가(安民歌) ····················· 35
03 한 시 ················ 38
1. 추야우중(秋夜雨中)[가을비 내리는 밤에] ·· 40
2. 고시(古詩) 8 ························· 41
3. 절명시(絶命詩) ····················· 42
04 고려 가요, 경기체가 ················· 44
1. 서경별곡(西京別曲) ············· 46
2. 가시리 ········ 49
3. 정석가(鄭石歌) ····················· 51
4. 청산별곡(靑山別曲) ············· 54
5. 동동(動動) · 56
6. 정과정(鄭瓜亭) ····················· 59
05 시 조 ················ 62
1. 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 ····· 64
2. 오륜가(五倫歌) ····················· 66
3. 훈민가(訓民歌) ····················· 67
4. 견회요(遣懷謠) ····················· 71
5. 만흥(漫興) · 72
6.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74
7. 오우가(五友歌) ····················· 77
8. 사설시조 모음 ······················· 79
9. 우국과 충절, 회고와 절개, 연군과 지조 ····· 88
10. 인생과 탄로 ························ 94
11. 연모와 애상 ························ 96
12. 자연과 풍류, 강호한정 ····· 104
06 악 장 ················ 118
1.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 120
07 가 사 ················ 123
1. 상춘곡(賞春曲) ····················· 126
2. 관동별곡(關東別曲) ············· 129
3. 사미인곡(思美人曲) ············· 137
4. 속미인곡(續美人曲) ············· 141
5. 규원가(閨怨歌) ····················· 145
6. 누항사(陋巷詞) ····················· 149
7. 용부가(庸婦歌) ····················· 153
08 민 요 ················ 158
1. 시집살이 노래 ······················ 159
09 개화기 시가 ···· 161
1. 해(海)에게서 소년(少年)에게 ························ 163
제3장 고전 산문 작품 ··· 166
01 상고 시대 ········ 166
01 설 화 ············· 166
1. 단군 신화(檀君神話) ··········· 168
2. 주몽 신화(朱蒙神話) ··········· 170
3. 조신 설화(調信說話) ··········· 173
02 고려 시대 ········ 178
01 가전 ·············· 178
1. 공방전(孔方傳) ····················· 179
2. 국순전(麴醇傳) ····················· 181
02 패관 문학 ···· 184
1. 경설(鏡說) · 185
2. 주뢰설(舟賂設) ····················· 187
3. 차마설(借馬說) ····················· 189
03 조선 시대 ········ 192
01 소설 ·············· 192
1.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195
2. 광문자전(廣文者傳) ············· 198
3. 구운몽(九雲夢) ····················· 200
4. 민옹전(閔翁傳) ····················· 205
5.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 ····· 208
6. 양반전(兩班傳) ····················· 211
7. 유충렬전(劉忠烈傳) ············· 214
8. 춘향전(春香傳) ····················· 218
9. 허생전(許生傳) ····················· 221
10. 호질(虎叱) ··························· 224
02 수필 ·············· 227
1. 유재론(遺才論) ····················· 228
2. 규중칠우쟁론기(閨中七友爭論記) ················ 230
3. 조침문(弔針文) ····················· 233
03 판소리 ·········· 235
1. 적벽가(赤壁歌) ····················· 237
2. 춘향가 ········ 240
3. 흥보가(興甫歌) ····················· 243
04 민속극 ·········· 249
1. 봉산(鳳山)탈춤(제6과장: 양반 과장) ·········· 251
04 개화기 소설 ···· 257
제2편 현대 문학
제1장 현대 문학의 이해 ··························· 260
01 시의 이해 ········· 260
02 소설의 이해 ···· 268
제2장 현대시 작품 ·········· 278
01 1910년대(개화기와 1910년대의 시) ·············· 278
02 1920년대 ········ 280
1. 접동새 ········ 282
2. 진달래꽃 ···· 284
3. 초혼(招魂) · 286
4. 님의 침묵 ··· 288
03 1930년대 ········ 290
1. 바다와 나비 ·························· 291
2. 모란이 피기까지는 ·············· 292
3. 여승 ············ 296
4. 거울 ············ 298
5. 고향 ············ 300
6. 유리창Ⅰ ···· 302
04 1940년대 ········ 304
1. 해 ················ 306
2. 견우의 노래 ·························· 308
3. 귀촉도(歸蜀途) ····················· 310
4. 쉽게 씌어진 시 ····················· 312
5. 참회록 ········ 314
6. 광야 ············ 316
7. 절정(絶頂) · 318
05 1950년대 ········ 322
1. 눈 ················ 324
2. 꽃 ················ 326
3. 하관 ············ 328
4. 추천사(?韆詞)-춘향의 말 1 ························ 330
06 1960년대 ········ 332
1. 눈길 ············ 334
2. 성북동 비둘기 ······················ 336
3. 풀 ················ 338
4. 껍데기는 가라 ······················ 340
07 1970~1980년대 ······················ 342
ㆍ1970년대 ········· 344
1. 농무(濃霧) · 344
2. 벼 ················ 346
3. 귀천(歸天) · 348
ㆍ1980년대 ········· 350
1. 엄마 걱정 ··· 350
2. 하숙 ············ 352
ㆍ1990년대~ ····· 354
1. 흔들리며 피는 꽃 ················· 354
제3장 현대 소설 작품 ··· 356
01 1910년대 ········ 356
02 1920년대 ········ 357
1. 만세전(萬歲前) ····················· 358
2. 고향(故鄕) · 360
3. 운수 좋은 날 ························· 363
03 1930년대 ········ 365
1. 동백꽃 ········ 366
2. 봄봄 ············ 370
3. 소설가 구보 씨(仇甫氏)의 일일(一日) ········· 372
4. 메밀꽃 필 무렵 ····················· 376
5. 사랑손님과 어머니 ·············· 378
6. 태평천하(太平天下) ············· 380
04 1940년대 ········ 382
1. 역마(驛馬) · 384
2. 돌다리 ········ 386
05 1950년대 ········ 388
1. 오발탄(誤發彈) ····················· 389
2. 수난이대(受難二大) ············· 392
06 1960년대 ········ 395
1. 토지(土地) · 396
2. 광장(廣場) · 399
3. 닳아지는 살들 ······················ 402
4. 무진기행(霧津紀行) ············· 405
07 1970년대~ ····· 409
1.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 410
2. 눈길 ············ 412
3.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 415
4. 뫼비우스의 띠 ······················ 417
5. 삼포(森浦) 가는 길 ·············· 419
6. 그 여자네 집 ························· 421
제4장 현대 수필 작품 ··· 424
제5장 희곡?시나리오 작품 ···················· 426
1. 만선(滿船) · 428

저자소개

임지혜 

약력 

현) 아모르이그잼 국어 전임 강사 

 

저서 

지혜는 국어다 〈문법〉 

지혜는 국어다 〈어휘 · 한자> 

지혜는 국어다 〈고전문학〉 

지혜는 국어다 〈현대문학〉 

지혜는 국어다 〈어휘 · 한자> 

지혜는 국어다 〈점수를 끌어올리는 핵심 분석 노트〉 

지혜는 국어다 〈점수를 끌어올리는 몰입 문제 완성> 

지혜는 국어다 〈정답유출 기출문제집> 

지혜는 국어다 〈최고정리> 

지혜는 국어다 〈기출의 시작> 

 

"지혜는 국어다" 다음카페 

http://cafe.daum.net/koreanjihye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