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대용의 일탈적이고 파격적인 주장을 담은 의산문답,
당대의 시공간적 맥락에 맞는 독해법을 제시하다
일반적으로 『의산문답』은 홍대용이 실옹(實翁)과 허자(虛子)라는 두 가상의 인물을 설정하고, 이들이 묻고 답하는 형식으로 과학 사상을 전개하는 내용으로 알려져 있다. 우주의 원리뿐만 아니라 천체와 기상 현상, 인류 역사의 탄생 등 천문, 역법, 산술, 지질학 등 자연과학 분야의 다양한 이론이 전개된다. 특히 홍대용이 땅이 원형(구형)임을 주장하고 무한우주에서의 다세계설을 펼치는 사색의 근대성은 큰 주목을 받았다.
뿐만 아니라 사람과 사물의 차원에서 ‘사람과 사물은 균등하다’는 인물균(人物均)과 ‘중화와 이적은 같다’는 ‘화이일야(華夷一也)’를 주장한 내용은 ‘조선’이라는 나라에 대한 상식으로 볼 때 일탈적이고 파격적인 주장이다. 그러나 이 책의 역해자 문중양 교수에 따르면 『의산문답』은 당대의 시공간의 맥락을 살펴서 읽어야 한다. 가령 홍대용의 후배 이규경은 홍대용의 다세계설을 우언으로서 호사가들의 좋은 이야깃거리였다고 일축했다.
“정인보 이래 대부분의 근대 연구자들은 『의산문답』에서 지구 중심의 편협하고 유한한 우주를 넘어선 무한우주에서의 다세계설을 펼치는 사색의 근대성을 보았다. 그러나 홍대용의 후배 이규경은 홍대용의 다세계설을 우언으로서 호사가들의 좋은 이야깃거리였다고 일축했다. 그 거리가 너무나 멀다. 『의산문답』의 이야기를 우화로 보면 특권 지배 세력으로서 여유 있는 지적 유희를 즐길 수 있었던 홍대용이 펼친 과격한 논의들을 이해할 수 있다. 원굉도가 『장자』의 우화를 흉내 내어 더 황당한 상상의 나래를 펼친 것처럼 조선 유학자 홍대용도 『의산문답』에서 유학자로서의 영역을 넘나드는 지적 유희를 펼쳤다고 볼 수는 없을까.”(<해제> 에서)
실제로 『의산문답』의 편찬과 출간내력을 살펴보면 1930년대 이전 조선시대에 『의산문답』은 널리 유통되지 않았고 홍대용과 교류가 있는 노론계 학인들 중심으로 소수에게만 필사본으로만 회람된 것으로 추정된다. 오히려 『의산문답』은 정인보와 같은 일제 식민지기 조선학운동을 펼치던 국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조선 과학의 부재’를 통탄하며 조선의 자주독립을 위해 과학적 지식을 창출해야 한다고 부르짖던 조선학운동가들에게 한 줄기 빛처럼 보였다.
정인보가 ‘실학적 지식’을 규정하면서 과학을 중심에 두었던 것을 고려하면 당연한 일일 수 있다. 그중에서도 『의산문답』은 홍대용의 사상과 지식의 성격을 대표하는 것으로서 정인보는 『의산문답』의 핵심 내용을 지구설과 지동설, 그리고 ‘역외춘추론’으로 알려진 탈화이론적 세계관으로 요약했다. 그러나 역해자가 보기에 정인보와 같은 1930년대 ‘실학’ 연구 선구자들의 『의산문답』 읽기는 우리가 갖고 있던 근대성의 필터를 거친 것으로서 역사적 맥락에서 많이 벗어났다고 할 수 있다.
역해자는 “오래전에 쓰인 텍스트를 읽을 때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중요한 것이 독자 자신이 서 있는 시공간적 위치에서 읽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가능하면 독자가 가진 근대 학문의 필터를 지우고 텍스트가 쓰인 오래전 당대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텍스트를 읽어야 한다. 그럴 때 텍스트의 저자가 의도한 바를 제대로 읽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강조한다. 당시 조선의 분위기를 생각할 때 놀라운 통찰력이 담겨 있고, 전통 유교의 성리학과 근대적인 서양과학 사이에 서 있는 홍대용 자신의 두 가지 면모를 흥미롭게 읽어볼 수 있는 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