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응용사회심리학 서론 · 1
사회심리학의 정의 3
사회심리학의 역사 4
사회심리학의 초창기: 1880년대 - 1920년대 / 5
본격적 연구활동기: 1930년대 - 1950년대 / 5
확신과 위기의 공존기: 1960년대 - 1970년대 중반 / 7
사회심리학의 성숙기: 1970년대 중반 - 1990년대 / 8
2000년대 이후와 장래에 대한 전망 / 9
사회심리학의 특징들: 기초와 응용사회심리학의 공통 특징들 11
이론의 개발과 검증 / 11
과학적 방법의 사용과 과학적 가치들의 존중 / 12
과학의 목표 추구 / 14
행동과 인지의 원인들의 규명 / 15
응용사회심리학의 정의 18
응용사회심리학의 특징들: 기초사회심리학에 비한 차이들 19
실제적 문제들의 이해와 해결 / 19
귀납적 접근의 사용 / 20
사회문제들의 규정에 대한 개인적 가치들의 역할 / 21
다수의 이론, 중재기법 및 연구법의 사용 / 22
학문 협동적 연구(interdisciplinary research)의 수행 / 23
현장 상황(field settings)에서의 연구 / 24
사회적 유용성의 향상 추구 / 25
응용사회심리학자들의 역할 26
요약 28
제2장 사회심리학의 이론 · 29
과학의 과정과 이론 31
이론의 정의와 관련 용어들 / 31
과학의 과정 속에서의 이론의 위치 / 32
과학의 과정 속에서의 이론의 기능 / 34
응용사회심리학에서의 이론의 역할들 / 35
이론의 특징들 / 36
사회심리학의 이론적 관점들 38
사회심리학이론들의 역사적 뿌리들 / 38
사회심리학의 기초 이론들 / 40
사회문화적 이론들(sociocultural theories) / 51
진화 사회심리학(evolutionary social psychology) / 54
오늘날의 사회심리학이론들 / 56
요약 57
제3장 응용사회심리학의 연구법 · 59
연구목표의 확인 60
변인들의 정의와 측정 61
변인들의 정의 / 61
자기보고방법들(self-report methods) / 62
관찰법 / 67
연구설계들 69
실험 / 69
준실험(quasi-experiments) / 73
상관연구 / 76
기술 연구들(descriptive studies) / 80
단일 방법의 편파를 피하기: 프로그램적 연구(programmatic research)/ 80
연구의 상황 81
질적 연구법들(qualitative research method) 82
연구의 윤리적 및 실제적 고려사항 84
윤리적 고려사항들 / 84
실제적 고려사항들 / 85
자료분석 85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 / 86
추리통계(inferential statistics) / 86
요약 87
제4장 프로그램과 평가 · 89
중재의 설계 90
중재의 본질 / 90
중재의 설계와 실시의 핵심 과업들 / 91
중재의 평가 95
중재평가의 이유들 / 96
중재평가에 있어서 연구설계의 중요성 / 97
평가의 두 가지 유형: 과정평가와 결과평가 / 97
평가에 대한 발전단계적 접근 / 98
프로그램의 필요성(needs)의 평가 100
지표접근들(indicator approaches) / 100
조사접근들(survey approaches) / 101
지역사회 인상접근들 / 101
프로그램 평가의 한 예: 노르웨이에서의 약한 아이 괴롭히기(bullying) 문제의 해결을 위한 프로그램 / 102
프로그램의 평가가능성의 사정 104
프로그램의 목표들 / 105
프로그램 활동들 / 106
프로그램의 논리 또는 이론 / 106
프로그램의 과정과 서비스의 평가 107
경영정보체계들(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 108
프로그램 결과의 평가의 두 가지 접근들 108
양적 접근 / 109
질적 접근 / 111
양적 접근 대 질적 접근 / 111
프로그램 결과에 관련된 비용의 평가 111
비용-이익분석(cost-benefit analysis) / 112
비용-효과분석(cost-effectiveness analysis) / 113
중재의 실제적 문제들 113
중재의 실시과정의 문제들 / 113
윤리문제들 / 115
사회정책(social policy)에 영향을 주기 116
요약 119
제5장 임상과 상담심리학에 대한 사회심리학의 응용 · 121
사회적 불안 122
사회적 불안의 사회심리학적 뿌리들 / 123
자기제시이론(self-presentation theory) / 124
자기제시이론에 대한 지지 연구들 / 126
자기제시이론: 사회적 불안을 치료하기 위한 하나의 접근 / 127
우울증에 관한 하나의 사회심리학적 모형 130
우울증에 관한 무희망이론 / 132
우울증의 치료에 대한 무희망이론적(hopelessness theory) 접근 / 135
신체이미지 장애(disturbed body image) 137
신체이미지의 성차 / 138
신체이미지에 대한 불안의 결과 / 139
신체이미지 장애에 관한 이론적 설명들 / 140
신체이미지 장애의 예방 / 141
낮은 자기존중 142
공황발작(panic attacks) 142
수줍음(shyness) 143
고독(loneliness) 144
관계 문제들 144
애착이론(attachment theory) / 145
애착스타일과 관계의 질 / 146
사회적 교환과 상호의존이론 / 147
관계 문제들을 예방하기 / 149
요약 150
제6장 건강과 병의 사회심리학 · 153
건강심리학의 정의 154
생물심리사회적 모형 / 156
사회적 변인들과 건강 / 156
건강 증진과 병의 예방 157
매스 미디어의 건강보도의 설득과 사회적 영향 / 159
가족, 또래(peer) 및 학교의 영향 / 163
건강행동의 변화 164
건강신념모형(health belief model) / 165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 168
변화단계들모형(stages of change model) / 170
스트레스, 대처 및 사회적 지원 175
스트레스 사건들의 특징들 / 176
스트레스와 발병 / 177
스트레스를 주는 사건들에 대한 대처 / 179
사회적 지원 / 182
스트레스 관리 / 184
증후들, 병 및 치료 185
병의 증후들의 인식과 해석 / 186
환자와 의사의 상호작용 / 188
심리적 통제력과 치료에 대한 적응 / 190
만성적 병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관점들 191
병의 인지들 / 191
만성적 병과 환자들의 생활변화 / 192
요약 193
제7장 교육과 교실의 사회심리학 · 195
학업성취의 영향요인들과 향상방법들 196
학생들의 ‘학업’성적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196
학생들의 학업성적의 향상방법들 / 202
인간관계 과정들: 교사들과 학생들의 상호작용 209
교사의 기대들과 학생의 성취 / 209
다른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 214
학생들 간의 최악의 상호작용: 학교폭력 / 217
요약 224
제8장 조직의 사회심리학 · 225
인사 선발 226
전통적인 채용면접들 / 226
전통적인 면접들에 대한 ‘과학적인’ 대안들 / 228
업무수행의 평가(performance appraisal) 231
감독자의 평정 / 232
자기 평가 / 233
새롭고 향상된 평가방법들 / 234
공정한 절차의 고려 / 234
직무 만족: 선행요인들과 결과들 235
직무만족의 결정요인들 / 236
직무만족의 결과들 / 241
동기 246
경제적 보수모형들(economic reward models) / 246
보너스, 매수 및 내재적 동기 / 247
형평성(equity)의 고려 / 248
리더십 250
고전적인 특성적 접근(trait approach) / 250
리더십에 관한 연계모형들(contingency models) / 251
교류적 리더십(transactional leadership) / 253
변형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 / 253
여성들의 리더십 / 255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의 사회심리학 256
기업가가 되는 사람들의 사회적, 인지적 및 개인적 요인들 / 257
성공적 기업가들의 특징들 / 258
요약 263
제9장 정치의 사회심리학 · 265
정치심리학연구의 역사적 단계들 266
지도자들의 성격 / 266
태도와 투표행동 / 267
정치적 인지와 정보처리 / 267
최근의 연구추세들 / 267
여론 268
이데올로기(ideology) 270
이데올로기의 종말에 관한 의문 / 270
이데올로기와 가치들 / 271
편견 / 273
투표행동 274
정당동일시(party identification) / 274
경제적 투표 / 276
일관성(consistency)과 이데올로기 / 278
투표 참가 / 280
추론적 행동이론(theory of reasoned action) / 280
투표에 관한 미시간모형(Michigan model) / 281
후보자 평가에 관한 온라인모형(online model) / 283
정치적 사회화(political socialization) 284
초기의 획득 / 284
지속성 / 285
집단 갈등(group conflict) 287
성차(gender gap) / 287
정치적 관용(political tolerance) / 289
정치적 리더십 290
5개의 대형 성격요인들(Big Five) / 291
정치지도자들의 프로파일링(profiling) / 291
위기 의사결정(crisis decision making) / 293
집단 사고(groupthink) / 294
매스 미디어와 정치적 설득 295
한정된 영향들(limited effects) / 295
설득의 장애를 극복하기 / 298
미디어에 대한 새로운 시각 / 303
국제적 갈등(international conflict) 307
적에 대한 이미지들 / 308
신념체계들(belief system) / 309
위기 관리(crisis management) / 310
요약 312
제10장 법의 사회심리학 · 315
범죄와 범죄인 316
범죄의 사회심리학 / 316
범죄행동의 근원들(origins) / 319
범죄의 수사 324
경찰의 수사 / 325
목격자 확인과 증언 / 329
배심원 선정과 의사결정 336
배심원 선정(jury selection) / 337
배심원 의사결정에 관한 이야기모형 / 338
배심원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339
인정불가능한 증거 / 341
배심의 심의 / 344
법체계에 대한 사회심리학자들의 기여 346
전문가 증언 / 346
법정고문의 소송사건적요서들 / 348
교도소 상황 348
교도소의 목표들 / 349
교도소들의 사회적 풍토 / 350
교정에 대한 교도소의 접근들: 치료적 공동체들(therapeutic communities) / 353
요약 355
제11장 미디어의 사회심리학 · 357
TV의 인지적 및 교육적 영향 359
상관 연구들 / 360
준실험 연구들(quasi-experimental studies) / 361
미디어 폭력의 영향 364
미디어 폭력 시청의 결과들 / 365
공격의 모방 / 368
미디어 폭력과 공격적 사고들 / 372
미디어 폭력과 공포 / 373
외설물 시청의 영향 376
비폭력적 외설물에 대한 장기적 노출의 영향 / 379
삽입된 폭력적인 성적 재료에 대한 노출의 영향 / 382
폭력적인 성적 재료에 대한 노출의 유해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방법 / 382
정치적 뉴스보도의 영향 385
미디어가 시청자들의 사고에 미치는 영향 / 385
정부에 대한 부정적인 미디어보도의 영향 / 389
정치적 광고의 나쁜 결과 / 392
요약 394
제12장 환경의 사회심리학 · 395
환경이 인간의 안녕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 397
과밀(crowding) / 397
하나의 스트레스원으로서의 소음 / 400
행동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403
환경문제들과 인간 행동 / 403
환경적 행동들의 이해 / 404
친환경적 행동의 증진 / 412
건축된 환경(built environment) 415
사회적 설계(social design) / 415
방어가능한 공간 / 425
요약 430
제13장 성(gender) 문제들 · 431
성(gender)의 정의와 인식 432
성역할들(gender roles)의 분리 433
성 고정관념들(gender stereotypes) 434
매스 미디어에서의 양성의 이미지들 / 435
문화적 고정관념과 개인적 고정관념 / 436
성의 하위유형들(gender subtypes) / 438
고정관념의 활성화 / 439
고정관념의 위험성 / 441
수행의 평가 / 443
성과 자기 447
성 정체성(gender identity) / 447
심리적 남성성, 여성성 및 양성성에 관한 초기의 분석들 / 449
심리적 남성성과 여성성에 관한 현재의 견해들 / 452
성에 관한 이론적 관점들 454
생물학(biology) / 454
사회화 / 455
사회적 역할 / 457
사회적 상황들 / 458
여성과 남성의 사회적 행동의 비교 460
성차들의 메타분석(meta-analysis) / 460
공격 / 461
동조 / 462
비언어적 의사소통 / 463
성행동(sexuality) / 464
개인적 자격(personal entitlement) / 466
성차들의 전망 / 467
남자들과 여자들의 역할 변화들 468
성역할에 관한 태도의 변화 / 468
직장과 가정에서의 남녀의 일들 / 469
남성의 지배 / 470
요약 471
제14장 갈등과 갈등관리 · 473
사회적 딜레마들 476
사회적 딜레마들의 유형들 / 476
협동의 결정요인들 / 479
협상 490
협상의 기본 개념 / 490
협상에 관한 심리학 연구들 / 490
협상전략들과 이것들의 영향 / 491
전략적 선택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 / 493
상대측의 요구와 양보에 대한 반응들 / 497
탁월한 해결책들과 공정성의 판단들 / 499
협상에서의 인지과정들 / 499
협상에 관한 결론들 / 500
폭넓은 갈등 501
갈등행동의 유형들 / 501
전략선택의 심리적 요인들 / 503
관계들과 전략적 선택 / 504
전략선택에 대한 기타의 영향들 / 505
갈등해결 507
갈등감축을 고무시키는 동인들과 지각들 / 507
갈등감축을 고무시키는 조건들 / 507
논쟁자에 의한 화해적 주도들 / 508
중재(mediation) / 509
중재자에 대한 논쟁자의 행동 / 511
제삼자 중재(third-party intervention)의 다른 형태들 / 511
요약 514
제15장 다양성에 대한 응용사회심리학 · 517
21세기의 이주와 문화 다양성 518
국제적 이주와 문화적 다양성 / 518
사람들의 이주동기 / 520
문화적 다양성 / 522
문화변용의 이론과 연구 / 528
문화변용에 관한 다차원 모형들 / 530
사회심리학적 이론들과 연구들 / 532
문화변용연구들과 사회심리학이론들 / 534
개인적 다양성 : 인구통계치들 536
성별(gender) / 536
인종(종족)배경(ethnic background) / 539
사회계층 / 541
다양성: 기회들 542
창의성과 혁신 / 543
문제해결 / 544
다양성: 도전들 544
편견과 차별대우 / 545
갈등(conflict) 546
갈등 이론들 / 547
갈등의 관리와 해결 / 551
요약 557
찾아보기 / 559
참고문헌 / 5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