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8월, 한국 헌법재판소의 판결로 당시 이명박 정부는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일본 정부에 적극적으로 제기하게 되고, 그로 인해 양국의 대립관계는 급속히 악화일로로 치닫게 된다. 이 상황은 2013년 2월 박근혜 정부에도 계승되어 양국 간 정상회담마저 실시할 수 없는 상황으로 치솟는다.
2015년 12월, 한일 양국 정부는 일본군위안부 문제가 최종적인 불가역적으로 종결되었음을 공식 선포하고, 이로 인해 양국 간에 사태가 호전되는 것처럼 보였으나, 한국의 여론들은 ‘일본군위안부 합의’의 파기를 요청했고, 일본에서는 합의와 동시에 진행된 ‘소녀상’의 설치를 둘러싼 한국 측의 자세를 비난하는 여론의 소리가 커져만 같다.
그리고 한국어판의 서론을 쓰고 있는 지금도, 한일 양국 간에는 다시 역사인식 문제가 격렬해지고 있다.
2018년 10월,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일본기업의 손해배상 책임을 인정한 한국 헌법재판소의 판결과, 같은 해 12월, 일본 해상초계기 저공위협 비행 사건으로 양국의 대립은 의사소통마저 할 수 없는 단절된 상태로 접어들고 있다.
한일 간 역사인식 문제를 둘러싼 견해차는 현재까지도, 양국 간 진지한 분석이 이루어진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그로 인해 한국사회의 <반일 감정>이나 일본사회의 <혐한, 우경화>와 같은 요소들만 존재할 뿐이다. 문제의 원인을 모르면 해법과 대처법도 당연히 알 수 없을 것이다.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양국 정부가 주관적 보단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오늘날과 같은 상황에 이른 원인을 명확히 찾아 풀어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