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는 1965년 독립 후 반세기 만에 제3세계의 가난한 항구 도시에서 세계에서 가장 발전되고 정교한 부동산 시장을 갖춘 최고 수준의 메트로폴리스로 변화하였다. 이는 매우 놀라운 일이다. 전 세계적으로 싱가포르처럼 짧은 기간에 높은 수준의 성취를 이뤄낸 나라는 극히 드물다. 고난과 역경 속에서 성장한 싱가포르 부동산 산업의 지난 반세기 동안의 여정은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 상호 간의 성공적인 파트너십을 반영한다. 이는 실용성에 입각한 정부 정책과 기업가 정신으로 무장한 민간 기업 상호 간 협력의 결과이다. - 31 페이지
싱가포르의 토지 이용 계획은 2단계 시스템으로 이원화되어 운용된다. 첫 번째는 컨셉 플랜으로 국가 차원에서 사회, 경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기적, 전략적 계획을 반영한다. 두 번째는 마스터 플랜으로 각 지역의 요구들을 충족할 수 있도록 각 토지 구획별로 상세한 항목들을 규정하는데, 토지 용도, 건물 밀도, 도로 교통망, 공용 공간, 건물 형태, 건물 높이 등에 대한 상세한 규정들을 정한다. 이러한 컨셉 플랜 및 마스터 플랜은 각 지역 사회 주민들의 사회, 상업, 산업, 교통 및 여가 시설에 대한 요구를 반영한다. 장기적 관점에서의 상세 계획들은 싱가포르 발전사에 있어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 67 페이지
부동산 개발 사업 및 실물 자산 매입을 위한 투자 방법론은 오랜 기간 변하지 않았으며 그것의 자본 구조는 개인이 집을 구매할 때와 마찬가지로 자기 자본 및 은행 대출로 구성된다. 근본적인 펀딩 구조는 변하지 않았지만, 지난 20년 동안 부동산 산업과 자본 시장에서의 혁신들은 사적 및 공적 시장에서 자본 거래가 가능하게 하였고 부동산에 대한 유동성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혁신적 변화는 시장에서의 부동산 투자 기구 및 수단의 종류를 크게 증가시켰다. 실제로 부동산을 매입하거나 매각하는 것을 넘어, 자본 시장의 새로운 혁신들로 인해서 자본 구조 상의 자본(주식) 및 대출의 거래가 가능하게 되었다. - 230 페이지
싱가포르 리츠의 성공은 싱가포르 민간 기업과 정부 상호간의 효과적인 파트너십을 증명하는 또 다른 사례가 되었다. 민간 기업들은 부동산이 자본 시장과 결합되는 글로벌 트렌드를 읽고 부동산을 증권화 하는 기회를 포착하였으며 정부 차원에서의 지원이 이를 가능하게 하였다. 아시아 부동산 투자에 대한 관심 증대와 싱가포르가 갖는 아시아 금융 중심지로서의 위상으로 인해 싱가포르는 아시아 지역 투자에 있어 펀드 매니저들을 위한 지역적 거점이 되었다. - 239 페이지
적정 가격의 주택 공급과 주택 소유권 확보는 1959년 자체 정부 수립 이래로 싱가포르 정부가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건국 과제이다. 오늘 날 싱가포르 가정의 80% 이상이 공공 주택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 중 90% 이상이 공공 주택을 소유하고 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의 주택 보유율이다. - 445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