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3.1운동 현장과 혁명의 기억과 공간

3.1운동 현장과 혁명의 기억과 공간

  • 박환
  • |
  • 민속원
  • |
  • 2019-03-30 출간
  • |
  • 653페이지
  • |
  • 237 X 181 X 50 mm /1541g
  • |
  • ISBN 9788928512454
판매가

65,000원

즉시할인가

63,05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63,0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 책은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하여 100년 만에 기획되었다 

 풍부한 사진과 영상 자료를 통해 문헌자료로는 바라볼 수 없는 3·1운동의 생생한 모습을 입체적으로 복원하였다.

 

3·1운동을 이해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가해자 측인 일본의 문헌 자료, 특히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신문조서, 보고문, 예심종결서, 판결문 등 일본측의 논리를 보여주는 것들이 그 중심을 이루고 있다, 아울러 직접 참여자들이 생존해 있는 경우, 생존 지사들의 구술 또는 체험기록을 남긴 경우 그 기록물 등이 중요한 주체 측 자료로서 의미를 갖는다.

 

그런데 우리가 주목해야 할 또 하나의 자료 유형이 있다. 사진 자료가 바로 그것이다. 사진 자료의 경우 주지하는 바와 같이 당시의 상황을 생생히 보여주고 있다는 측면에서 그 사료적 가치는 이루말 할 수 없다. 그러나 사진의 경우 촬영자의 주관적 견해가 때에 따라서는 많이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 또한 주의해야 할 부분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진의 경우는 3·1운동 당시를 생동감 있게 전해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우리의 시선을 끈다.

 

현재 우리에게 알려진 사진 자료들은 대부분 선교사들이 찍은 것들이다. 특히 캐나다 선교사인 스코필드 박사의 것이 대부분이다. 이 사진들은 3·1운동의 현장성을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사진들로 사료적 가치가 크다.

 

지금까지 일본 측이 촬영한 사진 자료들은 보이지 않고 있다. 다만 일본 측 촬영 사진들로 우리에게 알려진 것은 주로 형무소에서 촬영한 수형자카드가 그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일본 측이 촬영한 다른 사진들도 있다. 3·1운동 당시 국내에 있던 일본 신문기자들이 촬영한 것이 그것이다. 일본 도쿄·오사카大阪 아사히신문朝日新聞 등에 그 사진들이 실려 있다. 이 부분에 대한 앞으로의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 책에서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사진들와 더불어 지금까지 설명이 잘못 기술된 사진들, 그리고 사진의 출처들을 새롭게 밝히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아울러 『신한청년』(국한문혼용본) 등 새로운 책자를 발굴하여 소개하는 한편, 해방 이후 한국과 일본에서 개최된 3·1운동 기념식 영상, 북한에서의 3·1운동 행사들도 처음으로 공개하여 독자들께 3·1운동 100주년의 감동을 더해주고자 하였다.

목차


Ⅰ. 새로 발굴된 3·1운동 자료들 - 김광만 컬렉션
1. 3·1운동 계보도
2. 민족대회소집청원서
3. 2·8독립선언서

Ⅱ. 외국에 전해진 3·1운동의 표상
1. 신한청년 新韓靑年 THE YOUNG KOREA
2. 조선녀자읍고세계부녀서 朝鮮女子泣告世界婦女書 AN OPEN LETTER BY THE WOMEN OF KOREA
3.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4. The CASE of KOREA
5. The Japan Advertiser
6. L’IND?PENDANCE DE LA COR?E DE LA PAIX
7. 일본 도쿄아사히신문
8. 일본 오사카아사히신문

Ⅲ. 국내·외의 3·1운동
1. 국내에서의 3·1운동
2. 만주지역의 3·1운동
3. 러시아지역의 3·1운동
4. 미주지역의 3·1운동

Ⅳ. 정면대결의 만세운동 - 수원군
1. 수원읍지역의 3·1운동
2. 송산지역의 3·1운동
3. 우정·장안지역 만세운동 - 화수리항쟁
4. 제암리 학살사건
5. 일본의 회유

Ⅴ. 2일 간의 해방 - 안성군의 만세운동
1. 양성·원곡의 3·1운동
2. 안성 3·1운동 관련 도면들
3. 주요 참여자들
4. 양성공립보통학교 만세운동
5. 독립운동 기록의 다양한 유형들

Ⅵ. 3·1운동 기억의 공간
해방이전
1. 대한민국임시정부 3·1절 기념
2. 미주지역 3·1운동 기념식
3. 러시아지역 3·1운동 1주년 기념식
해방이후
1. 해방정국 좌·우익의 3·1운동 기념
2. 북한에서의 3·1운동 기억
3. 일본에서의 3·1운동 1주년 기념식
4. 경북 청도군 3·1운동
5. 잊혀진 경성여고보 3·1운동 참여자‘독립운동의 거괴’ 김숙자

Ⅶ. 해방 후 3·1운동 기념 책자
1. 신생
2. 새한민보
3. 3·1운동사

Ⅷ. 조선독립의 외침 - 독립선언서
1. 2·8독립선언서
2. 독립선언서
3. 대한독립선언서(무오독립선언서)
4. 대한독립여자선언서
5. 러시아지역 독립선언서
6. 미주지역에 배포된 영문독립선언서
7. 대한독립선언서(하와이)
8. 3·1운동 분포도

Ⅸ. 논고
1. 경기남부지역의 정면대결 시위.수원·안성지역을 중심으로
2. 서로의 사료로 본 한·중역사.간도지역 3·1운동
3. 대한국민의회와 연해주지역 3·1운동의 전개

*****

부록 DVD

문헌
[1] 3·1운동 계보도
[2] 3·1운동 분포도
① 국내의 3·1운동 분포도
② 만주·러시아지역의 3·1운동 분포도
[3] 안성지역의 3·1운동
① 양성공립보통학교 학적부(1914~1923)
② 안성지역 재판 관련 서류
[4] 『로동신문』에 매년 보도된 3·1운동 기념식(1958~1997)
[5] 해방 후 3·1운동 기념 책자
① 신생
② 새한민보
③ 3·1운동사

영상
[1] 해방 직후 한국에서의 3·1운동 기념 행사 영상 [해방 후 조선을 가다]
[2] 1946년 3월 1일 동경 히비야공원에서 열린 3·1운동 기념식 영상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