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바이오 산업 스마트 체외진단 생체인식 센서 및 유전자 분자 진단 개발 현황과 바이오 소재 연구 동향

바이오 산업 스마트 체외진단 생체인식 센서 및 유전자 분자 진단 개발 현황과 바이오 소재 연구 동향

  • TF정보분석실
  • |
  • 트렌드포커스
  • |
  • 2017-08-01 출간
  • |
  • 944페이지
  • |
  • 210 X 297 mm
  • |
  • ISBN 9791195558179
판매가

360,000원

즉시할인가

324,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24,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바이오기술(BT)이 정보기술(IT)에 이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생명공학기술은 인류의 삶의 질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게 하는 기술이고,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 평가되고 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는 생명공학기술이 IT, NT 등 타 기술들과 융·복합되어 2030년까지는 세계경제가 바이오 경제시대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한 바 있습니다.

미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은 바이오기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이는 기술진보의 가속화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바이오기술인 DNA 분석 기술의 경우, 최근 십여 년간 분석 비용이 급격히 하락하여 머지않아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대중화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선진국들 역시 바이오 경제시대 도래에 따른 대응과 준비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특히 최근 한미약품 등 제약기업들의 기술수출이 증가하고 미국의 FDA나 유럽의 EMA에서 승인을 받는 국내 제품들이 많아지면서 미래 성장동력으로 위상이 점점 더 확고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본 트렌드포커스 TF정보분석실 에서는「바이오 산업 스마트 체외진단 생체인식 센서 및 유전자·분자 진단 개발 현황과 바이오 소재 연구 동향」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본서 제1장에서는 바이오 산업의 전반적 현황, 그리고 제2장에서는 바이오 산업 분야별 산업 현황을 제3장에서는 바이오 산업 분야별 최신 연구 동향을 최신 산업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소상히 분석·수록 정리하였으며, 최신 연구개발 사례와 함께 소개함으로써 관련분야 종사자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유익한 정보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랍니다.


목차


제1장 바이오 산업 현황
1. 바이오 분야 개요
1) 정의
2) 범위 및 분류
(1) 범위
(2) 분류
2. 국내외 정책동향
1) 국내 주요 관련 정책 현황
(1) 정부의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정책적 지원
(2) 농수산 ICT 융복합 투자강화
(3) 산업부, 바이오산업 세계 7위, 강점 및 육성분야 달성 비전제시
(4) 바이오 사업화 촉진관련 지원 사업 확대
(5) 기초기술 개발서 상품화까지 전면 지원
(6) 백신개발에 대한 합동 정부투자
(7) 주요 선진국, 바이오경제시대를 대비한 미래 성장 동력 확보 및 기술경쟁력 강화
2) 국내외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사례 조사
(1) 해외 바이오클러스터
(2) 국내 바이오클러스터
3) 주요국 바이오산업 정책 및 창업지원 사례
(1) 주요국 바이오산업 정책 분석
가. 미국
나. 일본
다. 프랑스
라. 영국
(2) 해외 바이오 창업지원 사례
가. 이스라엘 생명공학 인큐베이터 기관 FutuRx
나.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Quantitative Biosciences (QB3)
다. 벨기에의 바이오 인큐베이터 루벤(Bio-incubator Leuven)
라. 독일의 바이오시티 라이프치히(Bio City Leipzig)
마. 시사점
4) 바이오분야 창업지원 정책(안)
(1) 바이오분야 창업 SWOT 분석
가. 강점(Strength)
나. 약점(Weekness)
(a) 기회요인(Opportunity)
(b) 위협요인(Threat)
5) 바이오(신약개발) 창업 및 사업화 단계의 특징
(1) 바이오(신약개발) 사업화 단계
(2) 임상시험 단계별 특징
(3) 국내 임상시험 승인현황
6) 바이오(신약개발) 특화 지원방안
(1) 창업 및 기술사업화 관점의 검토 의견
(2) On-Demand 컨설팅 및 In-Depth 컨설팅으로 이원화
(3) 바이오 전문매니저(BTM : Bi0 Technical Manager) 그룹 조직화 및 지원
(4) 바이오 기술사업화 전문기관(Bio Business Accelerators) 지정
3. 산업이슈 및 동향
1) 산업이슈
(1) 바이오산업, 국내 산업 견인
(2) 저성장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제약 산업은 꾸준한 성장
(3) 세계 의약품 시장, 바이오의약품 중심으로 재편
(4) 개인 유전체에 근거한 맞춤의료 시대의 개막
(5) 첨단과 융합 바이오로의 진화
(6) 바이어시밀러 시장 `순풍`
(7) 바이어시밀러 시장 `순풍`
(8) 신속진단에 대한 니즈 증가
4. 시장동향 및 전망
1) 세계시장
(1) 바이오의약품의 패러다임 시프트
(2) IT 기업의 적극적인 바이오산업 진출
(3) 분자진단시장, 2019년까지 연평균 16.8% 성장 예상
(4) 줄기세포 치료제 시장의 급격한 성장
(5) 미국의 시장동향
(6) 일본의 시장동향
(7) 영국의 시장동향
(8) 독일의 시장동향
(9) 중국의 시장동향
(10) 단클론항체, 글로벌 항체시장 성장 견인
2) 국내시장
(1) 바이오시밀러의 기업 등 바이오벤처기업의 성과 가시화
(2) 바이오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집중
(3) 국내 줄기세포치료제의 파이프라인 확대 가속
5. 기술동향 및 이슈
1) 나노기술의 융합 등 새로운 유전자 및 줄기세포 치료기술의 개발
2) 바이오인포메틱스와 개인 맞춤 유전체 시장 확대
3) 신기술 장착한 `첨단` 바이오 진화
6. 중소기업 전략제품
1) 중소기업 기술수요
2) 중소기업 전략제품
7. 바이오산업 분야 R&D; 수행주체
1) 개요
2) R&D; 수행주체 현황
(1) R&D; 수행주체별 일반 현황
가. 정부연구소
나. 대학
다. 병원
라. 기업
(2) 수행주체별 R&D; 현황
가. 수행주체별 정부R&D;사업 규모
나. 수행주체별 보유연구원수
다. 수행주체별 국가 R&D; 사업 성과
3) R&D; 수행주체 문제점
(1) R&D; 수행주체별 역량 진단
가. R&D; 질적 성과 부진
나. R&D; 수행주체별 연구 성과 미흡
다. R&D; 수행주체 간 연계·협력 부족
4) R&D; 수행주체 시사점
8. 바이오산업 분야 지원기재
1) 개요
2) 지원기제 현황
(1) 인력
(2) 연구자원
(3) 연구시설?장비
(4) 특허
(5) 세제 및 금융
(6) 창업
3) 지원기제 문제점
(1) 인력
가. 인력 공급과 인력 수요 사이의 불일치
나.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인력의 부족
다. 우수 인재의 해외유출
(2) 연구자원
(3) 연구시설·장비
(4) 특허
(5) 세제 및 금융
(6) 창업
4) 지원기제 시사점
9. 보건의료제도
1) 개요
2) 보건의료제도 현황
(1) 규제현황
(2) 규제개선현황
(3) 보험수가 현황
3) 보건의료제도 문제점
(1) 규제시스템
가. 환경 변화와 동떨어진 규제
나. 규제당국의 전문성 미흡
다. 사회적 합의 부족
(2) 보험수가
가. 보험수가와 글로벌 경쟁력
4) 보건의료제도 시사점
10. 바이오산업 혁신시스템 진단 결과
1) 바이오산업 강국을 위한 정부의 역할
2) 바이오산업 혁신시스템 개선을 위한 정책 제언
(1) 바이오산업 분야 범부처 조직 및 중장기계획 정비
(2) 전주기적 지원을 위한 점진적 추진체계 개편
(3) 컨트롤타워 지원을 위한 정책연구조직 구축
(4) 주요 바이오산업 정책결정과정 공개를 통한 전문가 책임성 강화
(5) 바이오산업 분야 상시 규제개선 시스템 구축
(6) 신속 규제심사를 위한 신청자부담금 차별화
(7) 바이오산업 산업생태계에서의 거점기업 지원확대
(8) 바이오산업 분야 출연연의 중개자 역할 강화
(9) 논문, 특허 건수 중심의 평가시스템 개편
(10) 수요자 중심의 바이오산업 인력·인프라 시스템 고도화
11. 바이오 정보 수집 이용 현황
1) 생체인식 정보 수집, 이용 현황
(1) 생체인식 정보의 특성
(2) 인증 및 식별 수단과 생체인식
(3) 생체인식 시스템의 작동 과정
(4) 생체인식 정보의 종류와 기술
가. 지문 인식(fingerprint recognition)
나. 홍채 인식(Iris Recognition)
다. 정맥 인식 (Vein Recognition)
라. 얼굴 인식
마. 음성인식 (Voice Recognition)
바. 필체인식 (Signature)
(5) 주요 활용 분야별 현황
가. 공공 행정
(a) 주민 생체인식 정보수집
(b) 생체인식 신분증
(c) 선거 관리 및 원조 제공
(d) 한국, 전자주민증 논란과 지문정보 전산화
나. 범죄예방 및 수사
(a) 경찰의 지문정보 활용
(b) 방범용 CCTV 등 얼굴인식 수집장치
(c) 영상정보 수집장치와 얼굴인식 기술의 결합
다. 보안 및 출입통제
(a) 생체인식 전자여권
(b) 출입국 관리
(c) 출입통제 및 근태관리용 생체인식 장치
라. 컴퓨터 및 스마트폰 인증, 보안
마. 금융
바. 마케팅 및 서비스
2) 유전정보 수집, 이용 현황
(1) 유전정보의 특징과 활용
(2) 공공영역에서의 DNA 정보 수집
가. DNA 프로파일링
나. DNA 데이터베이스
(a) 개요
(b) DNA의 수집 및 보관
(c) DNA 데이터베이스 등록 현황
다. 실종아동 DNA 데이터베이스
(a) 개요
(b) DNA 정보의 수집, 보관, 활용, 폐기
(c) 수집 현황
라. 국방부 DNA 데이터베이스
(a) 전사자 유해 DNA 데이터베이스
(b) 전사/순직자 발생 대비 혈액 채취
3) 건강관련 정보 수집, 이용 현황
(1) 건강관련 정보의 정의 및 분류
(2) 건강관련 정보의 주요 수집?이용 수단과 전망
(3) 건강관련 정보의 수집?이용 과정 및 주요 기술
(4) 건강관련 정보 수집 기술 및 형태에 따른 분류
가.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과 연동된 기기98)
(a) 어플리케이션만으로 구동되는 제품
(b) 스마트폰에 내장된 별도의 센서를 통해 건강관련 정보를 수집 이용하는 제품
(c) 스마트폰 부착형 건강 관련 정부 수집 이용 제품
나. 주요 웨어러블 디바이스
(a) 손목밴드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b) 부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c) 입는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d)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다. 피드백을 제공하는 확장된 어플리케이션 및 플랫폼
라.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 IoT)
(5) 건강관련 정보 제품 시장 현황(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가. 최근 해외 동향
나. 최근 국내 동향
12. 바이오 정보 수집 이용과 정보 인권
1) 생체인식 정보 활용시 문제점과 피해사례
(1) 생체인식 정보의 특성과 위험성
(2) 생체인식 기술의 불완전성
(3) 바이오인증 시스템의 보안 위협
(4) 바이오 정보의 위조
(5) 바이오 정보의 유출
(6) 바이오 정보의 상업적 이용과 프라이버시 침해
(7)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감시의 문제
2) 유전정보 활용시 문제점과 피해사례
(1) DNA 신원확인정보의 개별적 활용
(2) DNA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가. DNA 데이터베이스의 확장
나. 생물학적 정보의 획득
다. DNA 신원확인정보의 한계
(3) 군대 등에서의 활용
가. 유해 발굴 사업
나. 전사/순직자 발생 대비 혈액 채취
3) 건강관련 정보 활용시 문제점과 피해사례
13. 바이오 정보 관련 국내·외 법제도 현황
1) 국내 현황
2) 해외 현황
(1) 유럽
가. 일반 원칙
나. 개인정보보호규정(GDPR)의 원칙
(2) 미국
(3) 기타 국제 규범
3) 시사점

제2장 바이오 산업 분야별 산업 현황
1. 생체적합성 소재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산업환경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2) 경쟁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3) 무역현황
4) 기술환경분석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다양한 형태로 응용범위 확대
나. 일회용 의료용구 사용 증가
다. 국산화 소재 개발
라. 안전성 및 유효성 확보, 생체 내 이용률 향상 요구
(2)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가. 해외업체동향
나. 국내업체동향
(3) 기술인프라 현황
(4)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라. 주요출원인 분석
마. 국내 출원인 동향
5) 중소기업 환경
(1) 중소기업 경쟁력
(2) 중소기업 기술수요
(3) 중소기업 핵심기술
가.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나. 요소기술 도출
다. 핵심기술 선정
6) 기술로드맵 기획
(1) 생체적합성 소재 기술로드맵
(2) 연구개발 목표 설정
2. 바이오 칩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a) DNA칩
(b) 단백질칩
(c) 세포칩
나. 공급망 관점
2) 산업환경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의 특징
(2) 산업의 구조
(3) 경쟁환경
(4)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3) 무역현황
4) 기술환경분석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자동화 및 편의성 제고
나. 기술간 융합으로 개선점 도출
다. 바이오 칩 고유의 장점 극대화
(2)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가. 해외업체동향
(a) Affymetrix
(b) Abbott
(c) Agilent Technologies
(d) Illumina
(e) Partek
나. 국내업체동향
(a) 마크로젠
(3) 기술인프라 현황
(4)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라. 주요출원인 분석
마. 국내 출원인 동향
5) 중소기업 환경
(1) 중소기업 경쟁력
(2) 중소기업 기술수요
(3) 중소기업 핵심기술
가.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나. 핵심기술 선정
6) 기술로드맵 기획
(1) 바이오 칩 기술로드맵
(2) 연구개발 목표 설정
3. 분자진단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a) 기술 관점의 기술 분류
나. 공급망 관점
2) 산업환경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2) 경쟁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3) 무역현황
4) 기술환경분석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유전체 시장성장에 따른 분자진단 응용분야 및 시장기회에 대한 주목
나. 치료중심에서 예방중심으로 보건의료분야 트랜트의 변화
다. 새로운 진단 분야, 동반 진단
라. 3세대 핵산증폭기술, 디지털 PCR
(2)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가. 해외업체동향
나. 국내업체동향
(3) 기술인프라 현황
(4)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라. 주요출원인 분석
마. 국내 출원인 동향
5) 중소기업 환경
(1) 중소기업 경쟁력
(2) 중소기업 기술수요
(3) 중소기업 핵심기술
가.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나. 핵심기술 선정
6) 기술로드맵 기획
(1) 분자진단 기술로드맵
(2) 연구개발 목표 설정
4. 면역화학 진단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산업환경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의 특징
(2) 산업의 구조
(3) 경쟁환경
(4)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4) 기술환경분석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노령화, 소득수준 향상 등에 의해 바이오진단 시스템 관련 시장 성장
(2)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가. 해외업체동향
나. 국내업체동향
(3)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4) 국가별 출원현황
가.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나. 주요출원인 분석
다. 국내 출원인 동향
5) 중소기업 환경
(1) 중소기업 경쟁력
(2) 중소기업 기술수요
(3) 중소기업 핵심기술
가.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나. 요소기술 도출
다. 핵심기술 선정
6) 기술로드맵 기획
(1) 면역화학 진단 기술로드맵
(2) 연구개발 목표 설정
5. 유전체 분석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a) 장비 및 시스템
(b) 소모품
(c) 서비스
나. 공급망 관점
2) 산업환경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2) 경쟁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3) 무역현황
4) 기술환경분석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분석 비용 절감
나. 데이터 정제 및 2차 가공 고도화
다. 융합
(2)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가. 해외업체동향
(a) 23andMe
(b) Pathway Genomics
(c) Seven Bridges
(d) Amazon Web Service
나. 국내업체동향
(a) 마크로젠
(b) 디엔에이링크
(c) 테라젠이텍스
(d) 신테카바이오 & 휴레이포지티브
(e) KT, 삼성SDS
(f)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1센터 1중소기업 협력프로그램’
(g)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바이오기업 상용화 역량 강화 프로그램
(4)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라. 주요출원인 분석
마. 국내 출원인 동향
5) 중소기업 환경
(1) 중소기업 경쟁력
(2) 중소기업 기술수요
(3) 중소기업 핵심기술
가.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나. 요소기술 도출
다. 핵심기술 선정
6) 기술로드맵 기획
(1) 유전체 분석 기술로드맵
(2) 연구개발 목표 설정
6. 웰빙 전통 및 친환경 편의식품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2) 산업환경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2) 경쟁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3) 무역현황
4) 기술환경분석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웰빙 전통식품
나. 주요제품
다. 웰빙 친환경 식품 R&D; 동향
(2)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가. 해외업체동향
나. 국내업체동향
(3) 기술인프라 현황
(4)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다. 주요출원인 분석
라. 국내 출원인 동향
5) 중소기업 환경
(1) 중소기업 경쟁력
(2) 중소기업 기술수요
(3) 중소기업 핵심기술
가.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나. 요소기술 도출
다. 핵심기술 선정
6) 기술로드맵 기획
(1) 웰빙 전통 및 친환경 편의식품 기술로드맵
(2) 연구개발 목표 설정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고시형 원료 및 제품
나. 개별인정형 원료 및 제품
2) 산업환경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2) 경쟁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3) 무역현황
4) 기술환경분석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신규 기능성 원료 개발
나. 안전성 확보 원료 개발
다. 기능 및 특이성분 확보 시급
라. 신제형 기술 및 원료 개발
(2)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가. 해외업체동향
나. 국내업체동향
(3) 기술인프라 현황
(4)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라. 주요출원인 분석
마. 국내 출원인 동향
5) 중소기업 환경
(1) 중소기업 경쟁력
(2) 중소기업 기술수요
(3) 중소기업 핵심기술
가.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나. 요소기술 도출
다. 핵심기술 선정
6) 기술로드맵 기획
(1) 건강기능식품, 고령친화식품 기술로드맵
(2) 연구개발 목표 설정
제3장 바이오 산업 분야별 연구 현황
1. 바이오산업
1) 미세조류 바이오매스의 자원화 활용에 대한 연구
(1) 미세조류 바이오매스의 생산 및 이용기술 현황
가. 경제적 미세조류 배양기술
나. 미세조류 바이오매스 수확 및 전 처리 기술
다. 미세조류 고부가가치 물질 탐색기술
라. 바이오매스 생산 및 이용기술의 개선점
(2) 미세조류의 고부가가치 자원 활용
가. 바이오기능성 소재의 생산기술 현황
(a) 자원화 연구 및 제품화 동향
(b) 자원화 시장 규모
(c) 자원화 제도
나. 바이오 플라스틱의 생산기술 현황
(a) 자원화 연구 및 제품화 동향
(b) 자원화 시장 규모
(c) 자원화 제도
(3) 미세조류의 환경 분야 활용 가능성
(4) 결론 및 시사점
가. 자원화 측면
나. 환경적 측면
다. 연구의 한계
2)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
(1) 개요
(2) 3D 바이오 프린터 개발 현황
가. RegenHU(스위스) - 3DDiscovery, Bio factory
나. 3D Bioprinting Solution(러시아) - FABICON
다. Aspect Biosystem(캐나다) - Lab-on-a-printer
(3) 인공조직·장기 제조를 위한 3D바이오 프린팅 시스템
가. 인공지지체 기반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
나. 3D 세포 프린팅 기술
(a) Organovo
(b) Cyfuse Biomedical
(4) 인공조직·장기 제작기술
가. 인공피부
나. 인공 간
다. 인공 심근
라. 인공 근육
마. 인공 뼈
바. 인공 혈관
(5) 결론
3) 기능성 단백질의 산업적 연구동향
(1) 서론
(2) KIOST 관련 연구사업 소개
가. 필요성
나. 주요내용
(a) 상피세포 성장인자 (Epidermal growth factor, EGF)
(b) 항산화 효소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peroxiredoxin6 등)
다. 국제동향
(a) 기능성 단백질 생산 세포 시스템
(b) 기능성 단백질 정제 시스템
라. 결론
4) 살아있는 생체 내부 깊은 곳을 볼 수 있는 고해상도 광학 현미경 연구
(1) 서론
(2) 기존 연구 동향
(3) 초고심도 이미징으로 가는 길 I: 시분해 이미징
(4) 초고심도 이미징으로 가는 길 II: 운동량 보존 법칙
(5) CASS 현미경의 구조 및 실험 결과
(6) 향후 전망
5) 인체 통신 방식 캡슐 내시경을 위한 인체 채널 모델링 방안 연구
(1) 서 론
(2) WBAN 채널 모델
(3) HBC 채널 모델
가. 주파수 영역 채널 사운딩(Frequency Domain Channel Sounding)
나. 시간 영역 채널 사운딩(Time Domain Channel Sounding)
(4) 인체 통신 방식 캡슐내시경을 위한 채널 모델링
(5) 결론
6) 체온에 따른 형상기억거동의 생체기반 폴리우레탄
(1) 서론
(2) 실험
가. 재료
나. 폴리락타이드 공중합체의 합성과 bio-PUs 준비
다. 특성
(3) 결과 및 토론
가. bio-PUs 의 합성 및 특성
나. bio-PUs의 열적 기계적 특성
다. 바이오기반 폴리우레탄의 형상기억 특성
라. 결론
7) 의료용 고분자의 현황과 미래
(1) 서론
(2) 의료용 적용을 위한 고분자와 생체시스템의 기초와 계면현상
가. 혈액성분과 고분자의 계면현상
나. 세포와 고분자의 계면현상
다. 조직/세포적합성 고분자의 설계
(3) 비분해성 의료용 고분자
가. 비분해성 고분자 소개
나. 비분해성 고분자의 종류와 응용
(a) 폴리올레핀(Polyethylene, Polypropylene)
(b)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d) 아크릴계 고분자 [Poly(methyl methacrylate)(PMMA)
(e) 폴리실록산(Polysiloxane)
(f) 폴리우레탄(Polyurethanes)
다. 비분해성 고분자의 전망
(4) 의료용 천연고분자
가. 의료용으로서 천연고분자의 응용 및 동향
(a) 키토산
ⅰ) 창상피복 보호재로서 키토산
ⅱ) 치과 ?안과용 소재로서 키토산
(b) 알긴산
ⅰ) 연골재생 소재로서 알긴산
ⅱ) 신경재생 소재로서 알긴산
(c) 콜라겐
ⅰ) 스텐트 소재로서 콜라겐
ⅱ) 각막 ?망막 소재로서 콜라겐
(5) 의료용 고분자-무기 하이브리드 재료
가. 하이브리드 고분자 생체재료
나. 스텐트(Stent)
다. 정형외과용 골절소재
(6) 고분자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조직재생 및 약물전달 기술
(7) 조직공학용 의료용 고분자
(8) 결론
2. 스마트 체외진단 및 생체인식
1) 스마트 체외진단 시장 동향
(1) 개요
(2) 체외진단 시장 분류
(3) 체외진단 시장 산업동향
(4) 유럽의 스마트 의료서비스 기술 동향
가. 배경 및 필요성
나. 목적
다. 전략
라. 기대효과
마. 기술적 도전과제
바. 연구협력이 가능한 응용 및 기술 분야
사. 스마트 의료서비스 구축 관련 로드맵
(5) 유럽 의료기술 정책 및 관련 기업 현황
가. 보건 의료 산업관련 입법 현황
(a) 임상 시험관련 입법
(b) 의약품 평가·승인 및 마케팅 권한부여 절차
(c) 후보 의약제품 (Orphan medicinal products) 관련 지원 정책
(d) 첨단 치료 의약품 관련 지원 정책
(e) 유럽 의약품 안전청 (EMA) 산하 중소기업 사무소
(f) 약물감시 관련 정책
나. 유럽연합 보건 의료 기업 현황
(a) 유럽 보건 의료 생명 공학 산업 현황
다. 유럽 생명공학 관련 기업 현황
라. 재정적 성과
마. 전세계 주요 지역의 매출 성장률이 감소
바. 미국에서만 연구개발 비용이 증가
(6) 결론
2) 메르스 체외 진단용 의료기기 개발 동향
(1) 매르스 발생 현황
(2) 메르스 체외진단용 의료기기 시장 현황
(3) 유전자 검출 기반 메르스 체외진단 기술 개발 동향
가. 유전자 검출 기반 메르스 체외진단 기준
나. 유전자 검출 기반의 메르스 체외진단용 의료기기
(4) 항원·항체 기반의 메르스 체외진단 개발 동향
가. 항원·항체 기반의 메르스 체외진단 기준
나. 항원·항체 기반의 메르스 체외진단용 의료기기
(5) 차세대 바이러스 체외진단 기술
(6) 메르스 체외진단용 의료기기 개발의 한계점
가. 메르스 체외진단용 의료기기 평가 가이드라인 필요
나.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시료 확보방안 필요
(7) 결 론
3) 원격의료 환경에서 개인생체정보의 인증 및 접근제어에 관한
(1) 서론
(2) 관련 연구
가. 원격의료 환경에 적용 가능한 암호화 기법
나. RFC 2246 TLS 핸드쉐이킹 프로토콜
(3) 제안하는 상호인증 및 접근제어 방법
가. RFC 2246 TLS 핸드쉐이킹 프로토콜에 기반한 게이트웨이와 HMC 상호 인중
나. AES와 OTP에 기반한 PHD와 게이트웨이 간 상호인증
(4) 결론 및 향후 연구방향
4) 스마트폰을 이용한 효율적 치매 검진 및 관리 시스템
(1) 서론
(2) 관련 연구
(3) 시스템 설계 및 구현
5) 웨어러블/임플랜터블 스마트 의료기기
(1) 서론
(2) 본론
가. 생체삽입형 전극 어레이
나. 스마트 콘택트 렌즈
다. 피부부착형와 복용형 스마트 생체센서
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망 및 시사점
(3) 결 론
6) 동시출현단어분석을 활용한 생체인식 동향 분석
(1) 서 론
(2) 관련연구
가. 홍채인식
나. 동시출현단어 분석
(3) 연구방법
가. 데이터 선택 및 데이터 수집
나. 데이터 전처리
다. 동시출현단어 행렬 생성
라. 근접 중심성 분석
마. 연구목적과 연구대상 분석
(4) 분석결과
가. 2001년 ~ 2008년 홍채인식 연구동향
나. 2009년 ~ 2016년 홍채인식 연구동향
(5) 결 론
7) 모바일 클라우드 환경에서 생체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 설계
(1) 서론
(2) 관련 연구
가. 멀티 클라우드
나. SSO(Single Sign-On)
다. 클라우드 서비스 브로커
라. 생체인식
(a) FIDO UAF의 등록 프로토콜
(b) 2.4.2 FIDO UAF의 인증 프로토콜
(3) 제안 프로토콜
가. 개요
나. 인증 과정
(a) 생체인증 과정
(b) 추가 클라우드 중개 및 키 합의
(4) 안전성 분석
가. 키의 안전성
나. Mutual Authentication
다. Man-in the-Middle Attack
라. Replay Attack
마. Message Forgery Attack
바. Sniffing
(5) 결론
8) 스마트 디바이스 착신정보 중계 기반 손목형 모듈 시스템 설계 및 구현
(1) 서 론
(2) 웨어러블 관련 기술
가. 기본기능 동향
나. 기술 분류
(a) 액세서리형
(b) 의류일체형
(c) 신체부착형
(3) 시스템 설계 및 구현
가. 착신정보 송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설계
나. 착신정보 연동을 위한 리피터 설계
다. 착신정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설계
라. 사용자 중심 Design
(4) 성능 측정 및 분석
가. 스마트폰과 리피터 간 통신 테스트
나. 손목형 모듈 시스템 통신 거리 테스트
(a) 수납공간 재질별 블루투스 통신 가능 여부와 거리 측정 결과
(b) 장소별 블루투스 통신 가능 여부와 거리 측정 결과
(5) 결 론
9) 세포 내 생체회로의 설계 원리
(1) 서론
(2) Tinkering: 설계의 부재
(3) 집적회로(IC) vs. 유전자회로
(4) 생체회로의 특성
가. 확률적인 사건에 의존
나. 스스로 짜여져 있다
다. 견고하다
(5) Biomimicry: 생체회로에 기반한 공학적 설계원리
가. 무작위성(randomness)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나. 집단행동(collectivity)을 따른다
다. 진동(oscillation)한다
라. 단위체(motif)를 조립한다
마. 고비성(criticality)을 이용한다
(6) “회로이론”의 한계와 돌파구: lac 오페론
가. 네트워크 재구성의 문제
나. 연결망 정보의 불완전성
(7) 맺는 글
10) 사물인터넷 시대의 생체인식 스마트 센서 기술과 연구 동향
(1) 서 론
(2) 생체인식 산업의 특성과 국내외 시장 동향
(3) 모바일 생체인식 기술개발 동향
(4) 모바일 지문인식 센서 및 모듈 패키징 기술개발 동향
(5) 결 론
3. 바이오센서
1) 나노구조체에 기반한 발색형 스마트 바이오센서
(1) 서론
(2) 본론
가. 금 나노입자에 기반한 발색 바이오센서
나. 폴리다이아세틸렌에 기반한 발색 바이오센서
다. 나노자임에 기반한 발색 바이오센서
라. 발색형 스마트 바이오센서로의 연구 동향
(3) 결론
2) 생물공정 모니터링을 위한 광섬유 포도당 및 젖산 센서의 개발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가. 시약 및 재료
나. 광섬유 센서의 제작
다. 고정화 효소의 특성
라. 광섬유 포도당센서 및 젖산센서 시스템 및 특성
마. 포도당과 젖산의 온라인 모니터링 및 오프라인 분석
(3) 결과 및 토의
가. 고정화 효소의 특성
(a) 효소의 고정화 방법에 따른 특성
(b) 효소의 고정화 조건에 따른 특성
(c) 고정화 효소막의 표면 특성
(d) 효소의 반응속도 상수
나. 광섬유 포도당센서와 젖산센서의 특성
(a) 센서의 저장 안정성
(b) 센서의 조작 안정성
(c) 센서의 pH 영향성
(d) 센서의 온도 영향성
다. 모사공정에서 포도당 및 젖산의 온라인 모니터링
(4) 결론
3) 페이퍼 기반 바이오센서 기술개발 동향
1) 서론
2) 페이퍼 기반 바이오센서 기술개발 동향
(1) 다중진단을 위한 페이퍼 패터닝 기술
(2) 고감도 검출을 위한 페이퍼 기반 바이오센서 기술
(3) 결론
3) 바이오 전자코
(1) 서론
(2) 본론
가. 바이오전자코의 개념
나. 후각 수용체 생산
다. 센서 플랫폼과 후각 수용체와의 결합을 통한 바이오전자코의 개발
라. 다채널 바이오전자코의 개발
(3) 결론
4) 마이크로 LED 응용 연구 동향
(1) 서론
(2) 마이크로 LED 공정기술
가. 마이크로 LED 광원 제조기술
나. 마이크로 LED 전사기술
(3) 마이크로 LED 응용 기술
가. 디스플레이
나. 의료/바이오
다. 자동차
라. 통신
마. 웨어러블 기기
(4) 결 론
5)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바이오 소자 응용기술
(1) 서론
(2) 나노와이어 성장
(3) Bottom-up 방식의 나노와이어 성장
(4) Top-down 방식의 나노와이어 성장
(5) 바이오 소자 응용
가. 나노와이어 바이오 감지 소자
나. 나노와이어 바이오 신호 소자
다. 나노와이어 바이오 자극 소자
(6) 맺음말
5) 바이오마커 검출을 위한 마이크로니들 기반 센서
(1) 서론
(2) 본론 - 다양한 마이크로니들을 활용한 바이오마커 검출용 센서
가. 중공형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한 혈액 샘플 채취
나. 팽윤형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한 바이오마커 검출
다. 표면 활성된 비팽윤형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한 바이오마커 검출
(3) 맺음말
4. 유전자 가위
1) 개요
(1) 1세대 유전자 가위기술
(2) 2세대 유전자 가위기술
(3) 3세대 유전자 가위기술
2) 유전자 가위기술의 개발 현황
(1) 국내외 유전자 가위기술의 특허 현황
(2) 국내외 유전자 가위기술의 비임상연구 현황
(3) 국내외 유전자 가위기술의 임상연구 및 주요 파이프라인 현황
3) 유전자 가위기술 관련 국가별 규제 현황
(1) 유럽의 유전자 가위기술 관련 규제 현황
(2) 미국의 유전자 가위기술 관련 규제 현황
(3) 일본 및 중국의 유전자 가위기술의 관련 규제 현황
(4) 우리나라의 유전자 가위기술의 관련 규제 현황
4) 유전체 편집기술을 이용한 In vivo 치료제 개발 동향
(1) 서론
(2) 본론
가. CRISPR/Cas9 기술
나. CRISPR/Cas9 기술이 in vivo에 적용 되기 위한 조건
다. CRISPR/Cas9 전달벡터
(a) Viral 전달벡터
ⅰ) In vivo 유전자 교정 사례
(b) Viral 전달벡터의 단점 및 미래
나. Non-viral 전달벡터
(a) In vivo 유전자 교정 사례 - Physical methods
(b) 지질 나노입자(Lipid Nanoparticle)
(c) In vivo 유전자 교정 사례 ? 지질 나노입자
라. In vivo 유전자 치료제의 임상적용을 위한 고려사항
(a) 유전자 치료제의 대량생산
(b) 유전자 치료제의 규제
(3) 결론
5) 벼에서 CRISPR/Cas9 활용 고빈도 유전자 편집 방법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가. RGEN (RNA-guided engineered nuclease)의 선정
나. 디자인된 RGEN의 합성
다. Ti-plasmid 벡터내 Cas9 유전자 구축
라. 형질전환 벼 육성 및 도입확인
마. NGS 분석을 통한 변이체 확인
바. Taq-Man PCR 분석을 통한 single copy 선발
(3) 결과 및 고찰
가. sgRNA 디자인 및 CRISPR-Cas9 벡터 구축
나. 구축한 CRISPR/Cas9 벡터의 효용성 평가
다. 선발한 sgRNA의 형질전환체 육성
라. 형질전환체의 T-DNA 도입 확인 및 single copy 선발
마. T1 세대에서 Null 형질전환체 선발
바. 선발 Null 식물체의 표적유전자 편집여부 확인 및 표현형
(3) 결론
6) 유전자 편집기술
(1) 개요
(2) 개념
(3) 해외 동향
(4) 국내 현황
(5) 시사점
5. 생체적합 바이오소재
1) 침입형 탄소 확산을 이용하여 제조한 고강도 Ti 합금
(1) 서 론
(2) 실험방법
가. Ti 소결체 제조
나. 고용된 C 조성 분석 및 미세조직 관찰
다. 기계적 특성 평가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2) DNA 하이드로젤 기반 기능성 바이오소재
(1) 서론
(2) 본론
가. 바이오소재로서의 DNA의 특성
나. 생물학적 반응을 통한 DNA 하이드로젤 제작 및 응용
다. 물리적 상호작용을 통한 DNA 하이드로젤 제작 및 응용
라. 화학 반응을 통한 DNA 하이드로젤 제작 및 응용
(3) 결론
3) 순수 타이타늄 고강도화 위한 인발공정설계 및 기계적 특성 제어 기술
(1) 서론
(2) 실험방법 및 공정설계
가. 원소재 분석
나. 인발공정설계
다. 고강도 순수 타이타늄 제조공정설계
(3) 결과
가. 원소재의 기계적 성질
나. 인발응력을 고려한 인발공정 설계
다. 고강도 순수 타이타늄의 기계적 특성 제어
(4) 결론
4) 유전체 빅데이터 공유 및 인공지능 시대
(1) 서론
(2) 공개된 유전체 빅데이터
(3) 공개된 유전체 데이터 재사용의 중요성
(4) 웹 기반 공개된 유전체 데이터 재분석 및 해석 플랫폼
(5) 유전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6) 결론
5) 치과용 복합레진으로 수리된 CAD-CAM hybrid 수복물의 전단결합강도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4) 고찰
(5) 결론
6) U헬스 스마트 의류의 상용화 기술 개발 모델에 관한 연구
(1) 서론
가. 연구배경 및 목적
나.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이론적 배경
가. 스마트 의류
나. 심장질환과 심전도 측정
(3) 심전도 측정 스마트 의류의 개발 사례
가. 국내 심전도 측정 스마트 의류의 개발 사례
나. 국외 심전도 측정 스마트 의류 개발 사례
(4) 4060세대의 심전도 측정 스마트의류 상용화 기술 개발 모델
가. 소재 개발
나. 신체 사이즈와 체형
다. 디자인
라. 커뮤니케이션
(5) 결론 및 제언
6. 유전자/분자/면역화학 진단 및 유전체 분석
1) 라만분광학의 바이오메디컬 응용
(1) 서론
(2) 라만분광학
가. 라만분광학의 원리
나. 표면증강라만산란
(3) 바이오메디칼 영역에서의 라만분광학
가. 생체접착제의 세포독성 평가
나. 녹농균 바이오필름의 항생제 효과
다. 치아교정 초기단계에서 치은 열구액의 생화학적 변화
라. 근시억제를 위한 콜라겐 교차결합의 생화학적 변화
마. 라만분광법을 이용한 생체 내 (in-vivo) 진단
(4) 결 론
3) 히르슈슈프룽병 진단에서 직장흡인생검을 통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의 유용성
(1) 서론
(2) 대상 및 방법
가. 연구대상
나. 직장흡인생검법
다. Calretinin 면역조직화학염색
라. 통계분석
(3) 결 과
가. Calretinin 면역조직화학염색법
나. Acetylcholinesterase 면역조직화학염색
다. H&E; 염색법
(4) 고 찰
4) 나노자임을 이용한 생체물질 진단 및 처리기술 개발
(1) 서론
(2) 본론
가. 나노자임의 활성 및 그 종류
나. 나노자임의 생체물질 검출에의 응용
다. 나노자임의 생체물질 처리에의 응용
(3) 결론
5) 대장신생물 선별도구로서의 분변잠혈검사
(1) 서 론
(2) 방 법
가. 연구 대상
나. 연구방법
(a) 인구학 특성
(b) 신체 계측
(c) 면역화학 분변잠혈검사
(d) 대장내시경검사
다. 통계분석
(3) 결 과
가.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나. 분변잠혈검사에 따른 대장내시경검사 결과의 분석
다. 분변잠혈검사의 대장신생물 진단 도구로서의 유효성
라. 대장내시경 결과에 따른 분변잠혈검사 결과의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4) 고 찰
6) DNA 합성 기술의 최근 연구 동향
(1) DNA 합성 기술의 최근 연구 동향 개요
(2) DNA를 이용한 정보저장 연구 현황
(3) 초저가 오류 없는 DNA 합성 기술개발 현황
가. NGS를 이용하여 서열 확인된 에러 없는 올리고들의 PCR 기반 회수 기술
나. 차세대 시퀀싱 기판에서 물리적으로 회수
다. random 올리고를 이용한 차세대 DNA 마이크로 어레이 합성 기술
라. 유전체 합성분야의 근황
(a) 최소 인공 유전체 합성
(b) Sc2.0 : 인공 효모 유전체 합성 프로젝트
(c) Human Genome Write 프로젝트
2) 시퀀스 유사도에 기반한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압축 및 영향 분석
(1) 서 론
(2) 본 론
(3) 실험 결과
가. 데이터
나. 압축효과
다. 분류 단계별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라. 분류 분석에 미치는 영향
마. 대표시퀀스의 기하학적 변환
(4) 결 론
3) 생물정보학을 이용한 단일 세포 유전체 연구 소개
(1) 서론
(2) 본론
가. 단일 세포 분리 및 시퀀싱 절차
나. 단일 세포 전사 유전체 분석 절차 및 활용
(3) 결론
4) 한국인칩을 이용한 정밀의료 응용: 약물유전체연구 분야
(1) 서론
(2) 본론
(3) 결론
5) Myxococcus stipitatus DSM 14675의 melithiazol 생합성 유전자 분석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가. 균주
나. 플라스미드 및 균주의 제조
다. 배지 및 배양조건
라. 배양추출물의 제조
마.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분석
바. 항진균 활성 조사
사. 서열 분석
(3) 결과 및 고찰
가. 유전체 분석에 의한 균주의 melithiazol 생합성 유전자 탐색
나. 삽입돌연변이에 의한 생합성 유전자의 불활성
다. 플라스미드 삽입에 의한 melithiazol 생산능 상실
라. Melithiazol 생합성 유전자군의 분석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