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로봇산업 국내.외 분야별 제품별 산업동향 및 연구 기술개발 현황

로봇산업 국내.외 분야별 제품별 산업동향 및 연구 기술개발 현황

  • TF분석실
  • |
  • 트렌드포커스
  • |
  • 2015-06-26 출간
  • |
  • 754페이지
  • |
  • 210 X 300 mm
  • |
  • ISBN 9791195558100
판매가

320,000원

즉시할인가

28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8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지금까지 인간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이라는 도구를 이용해 계속적으로 문명 발전을 이룩해 왔고 진화해 왔다.
이제 인간은 로봇을 통해 또 한번 도약을 이뤄내려 하고 있다. 로봇은 고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의 융합을 통해 만들어지는데, 단지 인간을 도와주는 수준이 아니라 인간의 노동을 대체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산업혁명, 정보혁명을 능가하는 로봇혁명을 가져올 것으로 예측되어지기 때문이다.

전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은 2014년에서 2020년까지 연평균 6.2% 성장해 2020년에는 444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으며, 비즈니스 및 가정에서 사용되어지는 서비스용 로봇 시장은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21.5%로 크게 성장해 2020년에는 194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IT 기술의 발전으로 지능형 로봇의 시대가 빠르게 열리고 있는데 세계 지능형 로봇 시장은 2015년 269억 달러로 추정되고 있으며, 향후 10년 간 CAGR 9%로 성장하여 2025년 세계 로봇 시장은 669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렇게 과거에는 제조업 현장에서의 공장 자동화가 주요 응용분야였으나, 최근 의료, 물류,가정 등 서비스 영역의 로봇 응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무인자동차 역시 넓은 관점에서는 로봇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지능형 자동차 기술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각국의 경쟁이 치열하다. 국내 지능형 로봇산업은 아직까지 초보적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해외 증시에서는 제조 (Kuka), 의료 (Intuitive Surgical), 무인자동차(Mobileye), 가정 (iRobot) 등 지능형 로봇 업체들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 맞춰 본 트렌드 포커스 TF정보분석실 에서는「로봇산업 국내·외 분야별/제품별 산업동향 및 연구 기술개발 현황과 전망」을 발간하게 되었다.
본서 제Ⅰ편에서는 로봇산업의 분야별 산업 현황을 최신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수록 정리 하였으며 제Ⅱ편에서는 로봇산업의 제품별 산업 현황 및 로봇기술 응용분야를 여러 가지다양한 사례와 함께 소개함으로써 관련분야 종사자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유익한 정보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랍니다.


목차


제I편 로봇산업 분야별 산업 현황 분석

제1장 로봇산업 국내·외 현황
1. 로봇산업 개요
1) 로봇의 개념
2) 로봇의 종류
(1) 제조업용 로봇
(2) 전문서비스용 로봇
(3) 개인서비스용 로봇
3) 로봇산업의 R&D; 방향
(1) 서비스 로봇의 성과 입증으로 관련 투자 가속화
(2) 연구 개발의 중심축도 산업용에서 서비스 로봇으로 이동
4) 로봇의 3대 구성 요소별 기술 진화
(1) 감지 관련 기술
(2) 동작 관련 기술
(3) 지능 관련 기술
2. 로봇산업의 추진 방향
1) 개인 서비스 로봇
2) 전문 서비스 로봇
3) 로봇의 확산이 몰고 올 변화
(1) 로봇의 확산은 시간 문제
(2) 장기적으로는 산업 구조의 변화도 초래
(3) 사람과 로봇 간의 관계 재정립의 필요성 대두
3. 세계 로봇산업의 주요 트렌드
1) 일본
(1) 로봇 신전략 발표
(2) 전 분야 기반을 위한 액션플랜
가. 로봇혁명 이니셔티브(Robot Revolution Initiative) 협의회 설립
나. 차세대를 위한 기술개발
다. 표준화 및 실증필드 정비
라. 로봇 관련 규제개혁 실행
(3) 분야별 액션플랜
2) 미국
3) 유럽
4) 중국
4. 세계 로봇산업 동향
1) 해외 시장동향
2) 주요국의 로봇산업 육성정책
(1) 일본
(2) 미국
(3) 유럽
가. SPARC 프로젝트
(a) RoboHOW
(b) RADHAR
(c) Stiff-Flop
(d) ROBOFOOT
(e) ROBOFOOT
(4) 중국
3) 세계 로봇산업 전망
(1) 세계시장 전체 전망
(2) 주요국별 시장전망
가. 제조업용 로봇
(a) 제조업용 로봇 새로운 돌파구“인간 협업 로봇(Co-Robot)”
(b) 다양한 산업분야의 제조업용 로봇 활용 증가
나. 서비스용 로봇
(a) 각 국의 확산 정책과 대기업 진출로 중장기적 큰 증가세 예상
(b) 글로벌 경쟁 대응 위해 로봇기업 협력체계 구축 필요
(3) 국제분업 동향과 전망
(4) 주요 기업 M&A; 및 전략적 제휴 동향
(5) 글로벌 대기업의 로봇산업 진출 동향
가. 美 구글, 구글카 다음과제는 가라데 로봇 이안(Ian) 개발
나. 일본 소프트뱅크, 인공지능로봇 Pepper 개발 2015년 미, 일 출시
다. 아마존, 물류관리 로봇 키바로봇, 택배 무인비행로봇(옥토콥터)활용
라. 국내 한화그룹, 삼성테크윈 인수 후 로봇 무인화사업 육성에 주력
(6) 기술경쟁력 분야별 전망
5. 국내 로봇산업 동향
1) 정부의 로봇 육성 정책방향 및 추진내용
(1) 로봇산업 관련 정부정책 추진체계
(2) 정부의 로봇관련 주요 산업 육성 정책
가. 신성장동력 종합 추진계획
나. 지능형로봇 기본계획
2) 국내 기술의 현 위상
3) 미래 기술발전 속도 및 단계 전망
4) 기술경쟁력 분야별 전망
6. 국내 로봇산업 전망
1) 국내 로봇산업 시장 현황
(1) 매출규모
(2) 기업설립 분포
(3) 설비투자 재원조달 현황
2) 국내 연구개발 현황
3) 인력 현황
4) 위상, 생산방법 및 수위탁 현황
5) 지역 분포 현황
7. 국내 로봇산업 시장 전망
1) 국내 시장 전망
2) 국내 로봇 산업의 세계 속 위상
3) 연관산업 고도화의 미래상
(1) 제조업용 로봇
(2) 전문서비스용 로봇
(3) 개인서비스용 로봇
4) 로봇기업의 혁신활동
8. 로봇산업 경제기여도 및 산업연관효과
1) 전후방 연관산업 구조 분석방법
2) 국민경제 기여도
3) 산업연관효과와 변화
(1) 중간투입률
(2) 부가가치율
(3) 취업자 수
(4) 생산유발계수
(5) 부가가치유발계수
(6) 수입유발계수
(7) 취업유발계수
(8) 고용유발계수
9. 로봇산업 발전전략
1) SWOT 분석
(1) 제조업용 로봇
(2) 전문서비스용 로봇
(3) 개인서비스용 로봇
2) 경쟁력 변화 전망
3) 기본 발전방향
(1) 제조업용 로봇
(2) 전문서비스용 로봇
(3) 개인서비스용 로봇
4) 세부 발전방안
(1) 메가트렌드 반영/범부처 연계형 R&D; 강화
(2) 창조융합형 비즈니스전략 수립
가. 창조적 융합의 범위 확장
나. 창조경제기반 융합비즈니스전략 수립
다. 부처간 협업 활성화
라. 산·학연·관 연계 내실화
마. 시장창출형 로봇보급사업에 대한 중장기 계획 수립 및 활성화
바. 시장창출형 로봇보급사업의 글로벌화 추진
(3) 창의성을 갖춘 통섭형 인력 양성
(4) 로봇산업 창조생태계 조성
가. 개방형 창조생태계 조성
나. 수평적 기업관계 구축 활성화
(5) 지역창조역량과의 연계 강화
가. 지역문화산업과 로봇을 연계한 로봇수요확산 방안
나. 지역 간 연계협력을 통한 로봇기업 마케팅 및 수출지원 방안
다. 지역 로봇기업 분석을 통한 경쟁력강화 및 창업기반조성 방안
10. 국내 로봇산업 기업현황
1) 로봇사업 분야
2) 기업 규모
3) 매출 현황
4) 매출 현황_로봇사업 분야별
5) 인력(취업)현황
6) 기업설립 분포 현황
7) 부설 연구소 운영 현황
8) 법적기준 충족 기업 현황
11. 국내 로봇산업 설비투자 현황
1) 투자목적별 설비투자 현황
2) 제조업용 로봇 투자목적별 설비투자 현황
3) 전문서비스용 로봇 투자목적별 설비투자 현황
4) 개인서비스용 로봇 투자목적별 설비투자 현황
5) 로봇부품 및 부분품 투자목적별 설비투자 현황
12. 국내 로봇산업 연구개발 현황
1) 로봇 연구개발 현황
2) 제조업용 로봇 연구개발 현황
3) 전문서비스용 로봇 연구개발 현황
4) 개인서비스용 로봇 연구개발 현황
5) 로봇부품 및 부분품 연구개발 현황
13. 국내 로봇산업 생산현황
1) 로봇 생산현황
2) 제조업용 로봇 생산현황
3) 제조업용 로봇 생산현황(기계구조, 적용산업별)
4) 전문서비스용 로봇 생산현황
5) 개인서비스용 로봇 생산현황
6) 로봇부품 및 부분품 생산현황
14. 국내 로봇산업 출하현황
1) 로봇 출하현황
2) 로봇 내수현황
3) 로봇 수출현황
4) 제조업용 로봇 출하현황
5) 제조업용 로봇 내수현황
6) 제조업용 로봇 수출현황
7) 제조업용 로봇 출하현황(기계구조, 적용산업별)
8) 전문서비스용 로봇 출하현황
9) 전문서비스용 로봇 내수현황
10) 전문서비스용 로봇 수출현황
11) 개인서비스용 로봇 출하현황
12) 개인서비스용 로봇 내수현황
13) 개인서비스용 로봇 수출현황
14) 로봇부품 및 부분품 출하현황
15) 로봇부품 및 부분품 내수현황
16) 로봇부품 및 부분품 수출현황
15. 국내 로봇 단품 및 부품 수입현황
1) 로봇 단품 및 부품 수입현황
2) 로봇 단품 및 부품 수출현황
16. 국내 로봇산업 인력 현황
1) 인력 현황
2) 제조업용 로봇 인력 현황
3) 전문서비스용 로봇 인력 현황
4) 개인서비스용 로봇 인력 현황
5) 로봇부품 및 부분품 인력 현황
17. 국내 지역별 로봇산업 현황
1) 지역별 사업유형
2) 지역별 기업형태
3) 지역별 로봇 매출 현황
4) 지역별 로봇 생산 현황
5) 지역별 로봇 출하 현황
6) 지역별 인력 현황

제2장 개인 서비스용 로봇 산업현황
1. 개인 서비스용 로봇
1) 개념 및 범위
2) 주요 제품
2. 산업현황분석
1) 환경분석
(1) 정책(Politics)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경제요인(Economy)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3) 사회요인(Society)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4) 기술요인(Technology)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산업특징 및 구조
(1) 산업의 특성
(2) 산업구조
3. 시장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2) 무역현황
3) 글로벌 수출입 유망품목
4) 업체동향
(1) 해외업체동향
(2) 국내업체동향
5) 기업니즈조사
6) R&D; 현황분석
4. 기술 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3) 대표 기술군 선별
2) 기술지수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중소기업 적합성 분석
3) 종합결론
5. 시사점 및 제언

제3장 전문 서비스용 로봇 산업현황
1. 전문 서비스용 로봇
1) 개념 및 범위
2) 주요 제품
2. 산업현황분석
1) 환경분석
(1) 정책(Politics)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경제요인(Economy)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3) 사회요인(Society)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4) 기술요인(Technology)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산업특징 및 구조
(1) 산업의 특성
(2) 산업구조
3. 시장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2) 무역현황
3) 글로벌 수출입 유망품목
4) 업체동향
(1) 해외업체동향
(2) 국내업체동향
5) 기업니즈조사
6) R&D; 현황분석
4. 기술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3) 대표 기술군 선별
2) 기술지수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중소기업 적합성 분석
3) 종합결론
4) 시사점

제4장 제조용 로봇 산업현황
1. 제조용 로봇
1) 개념 및 범위
2) 주요 제품
2. 산업현황분석
1) 환경분석
(1) 정책(Politics)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경제요인(Economy)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3) 사회요인(Society)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4) 기술요인(Technology)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산업특징 및 구조
(1) 산업의 특성
(2) 산업구조
3. 시장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2) 무역현황
3) 글로벌 수출입 유망품목
4) 업체동향
(1) 해외업체동향
(2) 국내업체동향
5) 기업니즈조사
6) R&D; 현황분석
4. 기술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3) 대표 기술군 선별
2) 기술지수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중소기업 적합성 분석
3) 종합결론
4) 시사점

제5장 로봇부품 및 부분품 산업현황
1. 로봇부품 및 부분품
1) 개념 및 범위
2) 주요 제품
2. 산업현황분석
1) 환경분석
(1) 정책(Politics)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경제요인(Economy)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3) 사회요인(Society)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4) 기술요인(Technology)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산업특징 및 구조
(1) 산업의 특성
(2) 산업구조
3. 시장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2) 무역현황
3) 글로벌 수출입 유망품목
4) 업체동향
(1) 해외업체
(2) 국내업체
5) 기업니즈조사
6) R&D; 현황분석
4. 기술 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3) 대표 기술군 선별
2) 기술지수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중소기업 적합성 분석
3) 종합결론
4) 시사점

제6장 지능형 로봇 산업 현황
1. 지능형 로봇 개요
1) 개념 및 범위
2) 중점기술의 범위
3) 표준화 대상항목의 정의
(1) ISO
(2) IEC
(3) OMG
4) 국내표준화
5) 기술개발 및 정책 / 산업
6) 추진경과 및 중점 추진방향
(1) 추진경과
(2) 중점 추진방향
2. 지능형 로봇 표준화의 Vision 및 기대효과
1) 표준화의 필요성
(1) 기술적 측면
가. 지능형 로봇은 핵심 제품기술
나. 지능형로봇 산업 방향을 선도하는 기술로서 선행표준 필요
(2) 산업구조 측면
(3) 국민경제 측면
2) 표준화의 목표
3) Vision 및 기대효과
(1) 비전
(2) 기대효과
3. 국내·외 지능형 로봇산업의 현황 및 육성 정책
1) 국내 지능형 로봇산업의 현황
(1) 생산
(2) 국내 주요 로봇 생산업체 현황
(3) 고용
(4) 수출
(5) 수입
2) 국내 지능형 로봇산업 육성 정책
3) 해외 지능형 로봇산업의 현황 및 육성 정책
(1) 해외 지능형 로봇산업의 동향
가. 주요 제조업체 현황 및 주요 사업내용
(2) 주요국의 지능형 로봇산업 육성 정책
가. 미국
나. 일본
다. EU
4. 지능형 로봇산업 유망기술 동향
1) 로봇 자율주행 기술
(1) 대상 기술의 정의
(2) 대상 기술 및 제품의 중요성
(3) 대상 기술 및 제품의 필요성
(4) 국내 기술 동향
가. 계층적 시맨틱 맵핑
나. 영상기반 자기위치인식 및 맵핑
다. 범용 로봇주행 라이브러리
(5) 국외 기술 동향
(6) 활용 방안
(7) 기대 효과
가. 기술적인 측면
나. 경제적 산업적 측면
(8) 시사점
(9) 정책 제언 및 결론
2) 자동운전 자동차
(1) 자동운전 자동차의 구성과 핵심 요인
(2) 자동운전 자동차의 도입 시 기대 효과
(3) 자동운전 자동차 추진 현황
가. 구글의 추진 현황
나. 자동차 업계의 추진 현황
(4) 자동운전 자동차에 대한 관점과 구글의 수익모델
가. 구글과 자동차업계의 관점
나. 구글의 수익모델
(5) 결론 및 시사점
3) 무인 주행 차량의 하이브리드 경로 생성을 위한 B-spline 곡선
(1) 서론
(2) B-spline 곡선 경로 생성 알고리즘
가. B-spline 곡선 개요
나. 조정점 선정 알고리즘
(3) B-spline 곡선 경로 추종
가. B-spline 곡선의 곡률반경
나. 최대 주행 가능 속도 계획
다. 경로추종 조향 각
(4) 주행시간 평가 시뮬레이션
가. 시뮬레이션 조건
나. 시뮬레이션 결과
(5) 결론
4) 무인 자동차의 주변 환경 인식을 위한 그래프 기반 물체 분할 방법
(1) 서론
(2) 도시 환경에서의 그래프 기반 물체 분할 방법
가. LiDAR를 이용한 연속적인 거리 정보 획득
나. 주변점(neighbor)의 검색
다. 법선 벡터(normal vector)의 추정
라. 점진적 그래프 기반 물체 분할 방법
(a) 최소 신장 트리(minimum spanning tree)
(b) 가중치 함수(weight cost function)의 정의
(c) 물체 분할의 결정
(4) 점진적 그래프 기반 물체 분할 방법의 수행 과정
(3) 실험결과 및 분석
가. 센서 시스템 및 실험 데이터
나. 실험 결과
(a) 정성적 분석 결과
(b) 연산 속도에 관한 분석
(c) 정확성에 관한 분석
(d) 주변점 개수에 관한 분석
(e) 기존 연구와의 비교 및 분석
(4) 결 론
5) 재난 로봇
(1) 재난 로봇 개요
(2) 재난 로봇 기술 현황
가. 3대 핵심 기술
(a) 감지기술
(b)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c) 동작기술
나. 엔도모픽 (자율) 시스템
다. 협업형 자율 무인시스템
라. 미래 지능적 자율 시스템
(3) 재난 구조로봇 활용 현황
가. 후쿠시마 원전 사고
(a) 사고 현황
(b) 재난대응로봇 투입
(c) 재난대응로봇 수행 작업
(d) 재난대응로봇 투입 결과
나. 소방방재 로봇
다. 해양 로봇
6) DARPA 로봇공학 챌린지(DRC)
(1) DARPA Robotics Challenge 개요
(2) 국내 참가팀
(3) 재난대응로봇 관련 주요국 정책동향
가. 미국
나. 일본
다. EU
라. 대한민국
(4) DARPA 로봇공학 챌린지 KAIST팀 우승
제II편 로봇산업 제품별 산업 현황 분석

제1장 개인 서비스용 로봇 제품별 현황
1. 엔터테인먼트 로봇
1) 개념 및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2. 산업 및 시장분석
1) 니즈분석
(1) 가격 경쟁력이 확보된 로봇 시장
(2) 오락 및 게임용 콘텐츠 시장 확대
(3) 여가 활동에 적합한 고품격의 취미 생활
(4) 정서적인 교감이 가능한 애착 대상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 및 전망분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3. 기업니즈 기술 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1) 특허를 이용한 기술군 클러스터링
(2)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기반의 요소기술 도출
3) 기술지수 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기술장벽 분석
4. 교육용 로봇
1) 개념 및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5. 산업 및 시장분석
1) 니즈분석
(1) 교과목의 다양성, 창의 교육의 필요성 제기
(2)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집중 및 몰입을 위한 방안
(3) 로봇 서비스 콘텐츠의 표준화
(4) 로봇 교육을 통한 과학 교육의 활성화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 및 전망분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6. 기업니즈 기술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1) 특허를 이용한 기술군 클러스터링
(2)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기반의 요소기술 도출
3) 기술지수 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기술장벽 분석
7. 요소기술 후보군 및 핵심요소기술 선정
1) 요소기술 후보군
2) 핵심요소기술 선정
8. 가사지원 로봇
1) 개념 및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9. 산업 및 시장분석
1) 니즈분석
(1) 자율 작업형 가사 도우미 로봇
(2) 우수한 성능 및 저가격화에 대한 요구
(3) 새로운 형태의 가사지원 로봇의 요구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 및 전망분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10. 기업니즈 기술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1) 특허를 이용한 기술군 클러스터링
(2)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기반의 요소기술 도출
3) 기술지수 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기술장벽 분석
11. 요소기술 후보군 및 핵심요소기술 선정
1) 요소기술 후보군
2) 핵심요소기술 선정

제2장 전문 서비스용 로봇 제품별 현황
1. 라이프케어 로봇
1) 개념 및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2. 산업 및 시장분석
1) 니즈분석
(1) 노인 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 로봇의 필요성 증대
(2) 맞춤형 개인 건강관리 시스템의 필요성
(3) 새로의 의료 분야 시장으로 진출 및 고부가가치화
(4) 최소한의 사회 복지 비용으로 최대한의 효과
2) 산업 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 및 전망분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3. 기업니즈 기술분석
1) 기술 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1) 특허를 이용한 기술군 클러스터링
(2)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기반의 요소기술 도출
3) 기술지수 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기술장벽 분석
4. 요소기술 후보군 및 핵심요소기술 선정
1) 요소기술 후보군
2) 핵심요소기술 선정
5. 스포츠 기술 지원 로봇
1) 개념 및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6. 산업 및 시장분석
1) 니즈분석
(1) 스포츠 산업 규모 증가
(2) 스포츠 융·복합
(3) 스포츠 활동을 통한 건강한 삶
(4) 스포츠 활동을 통한 건강한 삶 지속성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 및 전망분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7. 기업니즈 기술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1) 특허를 이용한 기술군 클러스터링
(2)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기반의 요소기술 도출
3) 기술지수 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기술장벽 분석
8. 요소기술 후보군
9. 핵심요소기술 선정

제3장 제조용 로봇 제품별 현황
1. 조립용 로봇
1) 개념 및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2. 산업 및 시장분석
1) 니즈분석
(1) 고부가가치 지능형 제조 서비스의 요구
(2) 산업현장의 혁신화에 의한 신개념의 생산 체제화
(3) 열악한 작업 및 근로 환경의 개선
(4) 지능형 제조용 로봇의 수요 증대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 및 전망분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3. 기업니즈 기술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1) 특허를 이용한 기술군 클러스터링
(2)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기반의 요소기술 도출
3) 기술지수 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기술장벽 분석
4. 요소기술 후보군 및 핵심요소기술 선정
1) 요소기술 후보군
2) 핵심요소기술 선정
5. 가공용 로봇
1) 개념 및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6. 산업 및 시장분석
1) 니즈분석
(1) 개인화 또는 맞춤화된 다품종 소량 생산 서비스 요구
(2) 노동 인력 감소와 인간 삶의 질에 대한 관심 증가
(3) 지능형 제조용 로봇의 수요 증대
(4) 제조 기술의 혁신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 및 전망분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7. 기업니즈 기술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1) 특허를 이용한 기술군 클러스터링
(2)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기반의 요소기술 도출
3) 기술지수 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기술장벽 분석
8. 요소기술 후보군
9. 핵심요소기술 선정

제4장 로봇부품 및 부분품 제품별 현황
1. 로봇 액추에이터
1) 개념 및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2. 산업 및 시장분석
1) 니즈분석
(1) 에너지 효율성 및 신뢰성이 높은 제품의 요구
(2) 로봇의 생산 가격을 결정하는 액추에이터의 저가화
(3) 초 소형 로봇에 활용되는 고정밀 경량의 액추에이터 필요
(4) 위치 정보의 정밀도 향상 및 저소음, 진동 감소 등에 필요한 임베디드 제어기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 및 전망분석
3. 기업니즈 기술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1) 특허를 이용한 기술군 클러스터링
(2)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기반의 요소기술 도출
3) 기술지수 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기술장벽 분석
4. 요소기술 후보군 및 핵심요소기술 선정
1) 요소기술 후보군
2) 핵심기술 선정
5. 로봇 제어용 스마트 센서
1) 개념 및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6. 산업 및 시장분석
1) 니즈분석
(1) 고성능화, 고 신뢰성이 높은 제품의 요구
(2) 로봇의 핵심 부품 산업인 센서의 저비용화 필요
(3) 초 소형 로봇에 활용되는 고정밀 나노급 스마트 센서 수요 증가
(4) 센싱 네트워크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 모듈화 기술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 및 전망분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7. 기업니즈 기술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1) 특허를 이용한 기술군 클러스터링
(2)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기반의 요소기술 도출
3) 기술지수 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8. 요소기술 후보군
9. 핵심요소기술 선정
10. 로봇 근육 및 관절
1) 개념 및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11. 산업 및 시장분석
1) 니즈분석
(1) 로봇을 활용한 다양한 재활 치료 요구
(2) 인간의 움직임을 모사한 로봇의 움직임에 대한 욕구
(3) 기계적 강도가 높은 저 전력 로봇 액추에이터에 대한 필요성
(4) 실 생활에 적용이 용이한 극소형 및 경량의 구동 시스템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 및 전망분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12. 기업니즈 기술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1) 특허를 이용한 기술군 클러스터링
(2)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기반의 요소기술 도출
3) 기술지수 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기술장벽 분석
13. 요소기술 후보군
14. 핵심요소기술 선정

제5장 로봇기술 응용분야
1. 원격조종로봇 및 원격제어기술과 응용분야
1) 기술의 개념
2) 기술의 필요성
3) 응용 분야
(1) 위험작업 활용
(2) 인간 작업능력 증대
4) 연구개발 동향
5) 시사점
6) 정책제안
2. 산업용 착용식 근력 증강 로봇 스타일링 연구
1) 서론
(1) 로봇 스타일링의 필요
(2) 개발 배경
(3) 연구 목표
2) 사용자 분석
(1) 투입 환경 조사 및 선정
(2) 조립 작업 선정
가. FEM 작업 분석
나. 목표 공정에 필요한 사용자 동작
(3) 인체 치수 분석
(4) 로봇 크기 결정
(5) 로봇 하드웨어 디자인 (Robot hardware design)
3) 착용식 로봇 스타일링
(1) 디자인 전개 (Design development)
가. 디자인 컨셉 (Design Concept)
다. 아이디어 스케치 (Idea sketch)
라. 1차 라인 테이프 드로잉 (First round line tape drawing)
(2) 렌더링 (Rendering)
(3) 디자인 설계 검증
(4) 1차 디지털 스타일링 (First round digital styling)
가. 3D 프린트 목업 제작
나. 2차 라인 테이프 드로잉
(5) 2차 디지털 스타일링 (Second round digital styling)
가. 사용자 근력·동작 지원
나. FEM (Front End Module) 작업 그립
다. 작업 램프
라. 인디케이터
마. 로봇 다리 관절부
바. 로봇 착용 부위 최소화
바. 스티로폼 모형 제작
사. 3차 라인 테이프 드로잉
(6) 3차 디지털 스타일링 (Third round digital styling)
(7) 칼라 계획
(8) 하드 목업 제작
가. 워킹 목업 제작
나. 목업 비교
(9) 최종 평가
가. 스타일링 프로세스 개선
4) 결론
(1) 선행 스타일링의 중요
(2) 제작 지원
(3) 다양한 로봇 스타일링 프로세스 개발
(4) 사람과 함께 존재 해야 하는 로봇
(5) 로봇 기술 개발의 필요
3. 위험지역 감시스마트로봇의 설계와 동작에 관한 연구
1) 서 론
2) 감시스마트로봇시스템
(1) 시스템 구현 주요 기능
가. PC 및 Android
나. 카메라 스트리밍
다. Wi-Fi Module
라. Embedded device
마. RPC Remote Control
바. Sensors
(2) 하드웨어 회로도
(3) 동작 Flowchart와 의사코드
3) 실험 및 고찰
4) 결 론
4. 최소침습수술용 의료로봇 기술개발연구
1) 서론
2) 의료용 로봇기술과 동향
3) 최소침습수술용 초소형 고자유도 다관절 수술로봇 기술
4) 최소침습수술용 초소형 고자유도 다관절 수술로봇 기술의 전략방향 설정
5) 결 론
5. 다빈치 수술로봇
1) 서론
2) 로봇수술의 역사
3) 다빈치 수술로봇 현황
4) 결론
6. 생체신호 인터페이스 및 재활보행로봇에의 적용기술
1) 기술의 개념
2) 기술의 필요성
3) 국내·외 제품 동향
4)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5) 시사점
6) 정책제안
7. 의료용 로봇의 미진동제어를 위한 가변감쇠형 동조질량감쇠기 기술 개발
1) 서론
2) 시스템의 동역학 모델
(1) 동조질량감쇠기(Tuned Mass Damper)
(2) 비감쇠 TMD
(3) 감쇠기를 가진 TMD
(4) 가변 감쇠시스템
3) 주파수응답 수치해석
4) MF-TMD 설계
(1) 가변주파수
(2) 실험용 MF-TMD 제작
(3) 예비 실험 결과
5) 성능 실험
6) 결론
8. 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
1) 관련 기술의 개념
2) 국내·외 기술 개발 현황
(1) 지식처리 기반 심층 질의응답 기술
(2) 자가학습형 지식베이스 구축 및 추론 기술
(3) 인간모사형 자가 학습 기술
(4) 자율지능형 지식 에이전트·기기 간 협업 기술
3) 기술의 발전 전략
(1)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지능형 지식처리 SW 기술이 미래기술로 부상
(2) 국가 차원의 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플랫폼 확보를 위한 노력 진행
(3) 관련 기술의 특허 및 표준화 현황
4)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1) 전통산업의 ICT화 및 지능형 지식서비스 산업 창출
(2) 기술적 기대 효과
(3) 경제적 기대효과
(4) 사회·문화적 기대 효과
5) 정책적 시사점
(1) 선진국의 지식·지능 처리 인공지능 기술 개발 박차 움직임
(2) 인공지능 기술개발 경쟁에서 기술 및 시장을 선점하는 차별화 전략 필요
9. 뉴로시냅틱 인지컴퓨팅 기술 동향
1) 서론
2) 뉴로시냅틱 인지컴퓨팅 개념
(1) 개념
(2) 인지컴퓨팅 기술 개발의 필요성
3) 뉴로시냅틱 인지컴퓨팅 기술의 특성
(1) 뉴로시냅틱 칩 기술
(2) 교차 모달리티 기술
(3) 지식 확장형 인지기술
4) 국내외 기술 및 연구 동향
(1) 세계 기술 개발 및 연구 현황
(2) 국내 기술 개발 및 연구 현황
5) 국내외 시장 현황 및 전망
(1) 세계시장 현황 및 전망
(2) 국내시장 현황 및 전망
6) 결론
10. 공연로봇기술의 활용현황 및 발전방향
1) 개요
(1) 공연로봇기술의 분류
가. 스테이지 오토메이션 기술
나. 플라잉 기술
다. 오브젝트 컨트롤 기술
라. 로봇 액터 기술
2) 적용사례
(1) 로봇기술을 통한 공연작품의 신 가치 창출 사례
가. 뮤지컬 적용 사례
(a) 위키드 (Wicked)
(b) 스파이더맨(Spider-Man: Turn Off the Dark)
(c) 반지의 제왕 (The Lord of the Rings)
나. 대형 공연 적용 사례
(a) 오페라 니벨룽겐의 반지
(b) 태양의 서커스‘SPARKED’
(c) 가수 싸이 콘서트
3) 시사점 및 정책제안
(1) 시사점
(2) 기대효과
(3) 정책제안
4) 결론
11. 수중로봇 개발 동향
1) 수중로봇의 정의 및 분류
2) 수중로봇 개발의 필요성
3) 해외 수중로봇 기술개발 및 운용 현황
(1) 미국
(2) EU
(3) 일본
(4) 중국 및 기타 국가
(5) 특수 목적용 수중로봇 기술개발 현황
4) 국내 수중로봇 기술개발 및 운용 현황
5) 수중로봇 기술 분류 및 국내외 기술 수준
(1) 수중로봇의 기술 분류
가. 수중로봇 선체 설계 기술
나. 추진기 설계 기술
다. 수중로봇의 운동방정식 및 유체력 계수 도출 기술
라. 항법 기술
마. 제어 기술
바. 통신 기술
사. 에너지 개발 기술
아. 자율 기술
자. 조작 기술
차. 다양한 센서 기술
카. 기타 주요 기술
(2) 국내외 기술 수준 현황
가. 수중로봇 선체 설계 기술
나. 추진기 설계 기술
다. 항법 기술
라. 제어 기술
마. 통신 기술
바. 자율 기술
사. 조작 기술
아. 다양한 센서 기술
(3) 국내외 시장 동향 분석 현황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