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반불)진해의 벚꽃

(반불)진해의 벚꽃

  • 다케쿠니도모야스
  • |
  • 논형
  • |
  • 2019-03-30 출간
  • |
  • 312페이지
  • |
  • 152 X 225 mm
  • |
  • ISBN 9788963572208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7,1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7,1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진해 지역이 조일관계사(朝日關係史)의 정식 무대로 다시 등장하는 것은 러일전쟁으로 향하는 시기부터이다.
일본군이 러시아에 대해 작전행동에 들어간 1904년 2월 5일(선전포고는 2월 10일), 해군은 ‘제3 함대사령장관은 신속히 진해만을 점령하여 우선 조선해협을 경계할 것’이라는 명령을 내리고 있었다. 그리고 이 명령에 따라서 일본해군은 2월 6일부터 7일 이틀에 걸쳐 진해만 일대를 장악했다. 이 작전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러시아와의 전쟁에 대비하여 <전선기지(前線基地)>를 진해만에 건설하는 데 있었다. 이 지역은 동지나해·황해와 동해를 잇는 ‘대한해협’인 쓰시마해협에 가깝게 마주하며 또 러시아 해군기지가 있는 블라디보스토크와 뤼순(중국으로부터 조차)의 바로 중간 지점에 있는 전략적 요충이다.
(2장 러일전쟁과 진해만)

1909년 6월, 해군성은 현지 조사에 앞서 ‘군항의 성질, 가치 및 이것에 필요한 시설 방침’을 책정했다.

제1관(款) 군항의 성질
제1 전시적 성질
출정함대의 근거지로 한다. 단 전시의 군수품 공급은 이것을 사세보에 요청할 것.
제2 평시적 성질
1. 각 진수부 소관(所管)함정의 교육 훈련을 위해 해상 연병장에 적합한 설비를 할 것.
2. 공창은 함정 수리를 주된 목표로 한다.
3. 함정을 재적시키지 않을 것.
4. 한국 주변 바다 경비에 임할 것. (앞의 문서)

진해군항의 군사상 성격 중에서도 ‘제2 평시적 성질’의 제2항 ‘공창은 함정 수리를 주된 목표로 한다.’라는 이유 즉 왜 공창(군대의 제조공장)의 규모를 함정 건조(建造) 수준이 아닌 수리 수준으로 멈추었는지에 관한 설명이 대단히 흥미롭다.
(3장 군항 도시 진해)

일본 패전 때, 조선 전 국토에는 관폐사(官幣社)가 조선신궁·부여신궁(건축 중)의 2군데 신사, 국폐소사(?幣小社)가 경성·전주·광주·대구·용두산·평양·강원·함흥의 8군데, 그리고 일반 신사가 69군데 있었다. 일본의 신사 몇 개가 8·15 직후 조선인들의 손으로 맨 먼저 파괴된다든지 불태워진 것은 역시 황민화정책 아래에 신사참배강요에 대한 반감이 뿌리 깊게 조선인 사이에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제신(祭神)이 천황과 연결된다는 것도 큰 이유였을 것이다.
패전 다음 날인 8월 16일 조선신궁이나 경성신사의 신관 초고위직들과 총독부의 협의에 따라 제신을 일본에 돌아가게 한다는 승신식을 조선의 모든 신사에서 실시하도록 각 도청에 통지되어 있었다.
(4장 진해에서 살았던 사람들)

당시 진해에는 ‘벚꽃축제’라고 부를만한 특별한 행사가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4월 초순의 벚꽃 개화기에는 조선 각지에서 벚꽃 관람객으로 시가지 전체가 활기차고 북적거렸다. 모든 거리에 벚나무가 심어져 지금과 똑같이 진해의 시가지는 벚꽃으로 메워져 있었다. 해군 운동장 옆의 ‘벚꽃장(사쿠라노바바)’는 몇 미터 간격으로 벚꽃이 빼곡히 심어져 있었다. 일본인은 향우회나 가족단위로 벚나무 아래에서 도시락을 펼쳐놓고 꽃구경을 즐기고 있었는데 그 옆에는 조선인들이 노래를 부르고 즐겁게 춤추며 장구나 꽹과리 소리가 조화롭게 계속해서 울려 퍼지고 있었다.
(5장 벚꽃축제 속에서)
식민지시대에 진해의 제황산 정상에 세워진 ‘일본해해전기념탑’은 8·15 이후에 해체되어 같은 장소에 진해탑이 세워졌는데(1967년), 이 진해탑에서 동쪽으로 내려오는 계단은 해전기념탑이 만들어진 당시의 모습 그대로이다. 일본은 패전까지 러일전쟁을 그 전쟁이 있었던 연호로 ‘메이지 37, 8년 전역(戰役, 전쟁)’이라고 부르고 있었다. 그 부르는 방식에 맞추어 이 계단은 아래 계단 부분이 37계단, 위의 계단 부분이 38계단으로 설치되었다.
그것을 증명하는 것으로서 이 돌계단을 활용하여,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일본어와 한국어로 설명된 안내판을 일본에서 오는 관광객도 방문하는 제황산 정상 그 돌계단 옆에 세울 수는 없을까.

‘1904·5년의 러일전쟁 때, 일본해군은 진해만 일대를 제압 아래, 진해만에 집결한 연합함대는 해전 연습을 거듭한 후 발틱함대와의 결전에 출격했다. 이 전쟁에서의 일본의 승리는, 그러나 한국에 대한 일본 지배를 더 한층 강화하였다. 이곳 진해에서는 1910년부터 일본해군이 군항도시 건설을 시작하므로, 그 건설지역에 살고 있던 한국인들은 시가지에서 떨어진 경화동 지구로 집단 강제 이주당했다. 이 계단은 1929년에 일본해군이 일본해해전기념탑을 제황산 정상에 세웠을 때 ?메이지 37, 8 전역(戰役)?(러일전쟁)에 맞추어 아래쪽이 37계단, 위쪽이 38계단이 되도록 만들어진 당시의 것이다.’

젊은이들도 함께 참여해서 한일 연구자와 시민들이 말하지 않는 물증을 앞에 보면서, 이와 같은 역사를 말해주는 공통의 장소를 갖고, 제각기 퍼올린 기억을 서로 겹쳐서 엮어 만들어가는 협동적인 행위를 실현할 수 있다면, 역사의 증언자로서 그 돌계단은, 일본해해전을 자기중심적으로 ‘기념(記念)’하는 것이 아니고, 동북아시아의 평화를 타자(他者)와 함께 ‘기념(祈念)’하는 것으로서 이윽고 다시 태어날 것이다.
(?마치며?에서)


목차


시작하며
1장 진해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다

1. 왜구 시대
제포와 삼포왜란/ 웅천과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침략
2. 웅천에 남은 일본의 성(城)
왜성을 걷다/ 왜성 잔존물/ 이순신의 전사

2장 러일전쟁과 진해만

1. 근대 조일관계사(朝日?係史)의 기초 지식
대학입시 문제에서
2. 전략적 요충
해군근거지 찾기
3. 거제도·가(假)근거지 건설 실태
토지수용과 공사/ 해군근거지 건설과 주민/ 헐값으로 토지수용/ 진해만방위대에 의한 군령 공포
4. ‘일본해군 가(假)근거지’ 흔적
기지건설 때의 증언/ 진해만과 『언덕 위의 구름(坂の上の雲)』/ 표적(標的) ?취도(吹島)
5. ‘제국’의 건설
한국의 교과서에서/ 러일전쟁의 의미
6. 군항건설 계획이 시작되다
군항계획/ 군사도시 건설
3장 군항도시 진해

1. 진해의 도시계획
군항의 성격/ 거주구역 ‘격리’/ ‘동양무쌍(東洋無??)의 대군항’/ 로터리의 큰 팽나무(대가, 大?)/ 건축조례

2. 초기의 이민자들
임대인 명단/ 오쿠라구미(大倉組)와 조선/ 유곽지 계획/ 조선 이주 가이드북

3. 군항건설 계획의 변경
진수부(鎭守府)에서 요항부(要港府)로/ 일본의 제사업(製?業) 진출/ 장시간 노동?저임금

4. 해군지원병 훈련소
지원병의 징용과 훈련소

5. 일본의 패전과 일본인 귀환
‘우리들의 아량’/ 일본인의 귀환/ 진해에서 물러남

4장 진해에서 살았던 사람들

1. 일본해해전기념탑과 한 사람의 일본인
부엉산의 산신령/ 아사히 간세이와 지쿄(慈?)학원

2. 송진포의 해전기념비 복원 소동
기념비 철거/ 복원계획/ 계획 좌절의 의미

3. 로터리와 진해신사 흔적
패전 때의 신사

4. 진해고등여학교
『오우인』/ 진해고녀 동창회

5. 3 ·1독립운동과 진해공립보통학교
신사참배 거부/ ‘내선공학(?鮮共學)’으로/ 3·1 독립운동과 학교/ ‘불평 및 희망’/ 진해의 ‘졸업기념 사진첩’

6. 덕환관음과 대화재
영화감상회 사건/ 진해콩과 스나짱/ 스나짱의 이름

7. 최초의 이순신 동상
진해의 이순신 동상/ 해수욕장과 어시장/ 일본인의 조선어

5장 벚꽃축제 속에서

1. 진해의 벚꽃축제
다시 찾은 벚꽃축제/ 벚꽃축제의 유래/ 벚꽃 명소/ 한국 해방 이후의 벚나무 식수 운동/ 동창회의 벚나무

2. 벚꽃과 내셔널리즘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와 야마다 요시오(山田孝雄)/ 제주도 원산의 벚꽃/ 소메이요시노의 출생/ 김밥과
노리마키
마치며/ 참고문헌/ 저자의 한국어판 후기: 「벚꽃 전선」으로 연결되는 한일의 미래로 - 회고와 제언/ 역자후기/ 한국어판 색인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