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불교의 기원

불교의 기원

  • 고빈드찬드라판데
  • |
  • 민족사
  • |
  • 2019-02-25 출간
  • |
  • 740페이지
  • |
  • 162 X 230 X 47 mm /1039g
  • |
  • ISBN 9791189269197
판매가

48,000원

즉시할인가

43,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3,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세존학술총서 3번째 책.

『불교의 기원』
Studies in the Origins of Buddhism
고빈드 찬드라 판데 지음 / 정준영 옮김

불교는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붓다의 원음으로 만나는 불교의 기원

이 책의 저자인 고빈드 찬드라 판데는 종교 전통의 불교가 아닌 고대 인도에서 불교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탐색하려 한다. 이는 대승, 상좌부, 금강승이라는 불교 전통에서 벗어나 붓다를 직접 만나려고 시도하는 것이다. 그는 붓다의 원음을 찾고자 현재 전승되어 남아 있는 경전 안에서, 그리고 하나의 경전 안에서까지 고층과 신층을 구분하려 노력한다.
이런 연구 결과, 니까야 안에서 법수의 형태로 정의되는 교리들에 대해 붓다의 말씀이라 보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삼법인, 사성제, 팔정도, 12연기라는 초기불교의 대표적 교리들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저자는 경전 안에서 나타나는 형이상학적 · 신비적 · 추상적 표현들을 모두 붓다의 원음에서 제외하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은 최근에 우리나라에 초기불교라는 이름으로 유행하는 상좌부불교 중심의 불교 이해에 경종을 울리는 듯하다.
본서의 2장에서 7장까지는 니까야와 관련된 내용이다. 빠알리 원전이나 우리말 경전 번역을 함께 살핀다면 저자의 흥미로운 연구를 따라가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불교학은 세계 각국에서 발전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최근 나카무라 교수의 『인도불교』 (Delhi, 1987)에서 연구한 몇몇 문헌조사가 주목할 만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진행하고 있는 많은 연구들은 일부 불교학파와 나라별 전통에서 이해하는 방식대로 고대의 문헌을 출판 혹은 해석하고 있다. 이처럼 불교를 이해하는 데 있어 오래된 국가적 교리나 새로운 해석이 추가되어 왔으며, 새로운 관념이나 방법론 역시 제시되었다.
올덴베르그(Oldenberg)로부터 호너(I.B. Horner)까지 이어져 온 불교에 대한 역사적 비평의 저서들은 빠알리(P?li) 경전이 상대적으로 더 고대의 것임을 인지하고, 이것이 초기불교를 이해하는 데 고유한 가치를 지녔음을 확인하는 토대가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사실은 북방 전통에서 찾은 반대주장에 의해 논박당하거나 간과 혹은 축소되어 왔다. 북방 전통은 거의 다 유실된 인도 원전(原典)의 한역본과 티베트 번역본을 따르는 것이 대부분이다. 게다가 산스크리트나 쁘라크리트로 된 경전 중 일부분이 발견되긴 했지만 애가 탈 정도로 적은 양이다. 고대의 한역본 역시 훨씬 뒤에 번역된 티베트 번역본만큼이나 의역(意譯)이 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으로 미루어 볼 때 초기불교의 역사에 대한 최고의 단서는 여전히 빠알리 경전에 있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다.

붓다는 자신의 가르침이 제자들의 언어로 기억되는 것을 허용했다. 따라서 다양한 부파에서 다양한 표현으로 경전 전통이 발달하는 것은 불가피했을 것이다. 방대한 확장 안에서 테라와다(Therav?din, 上座部)의 빠알리 경전만이 온전히 보존되어왔다는 사실은 어쩌면 역사적 우연에 불과할는지 모르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붓다의 삶과 가르침을 일별(一瞥)할 수 있는 유일한 창구가 되어 주는 것도 사실이다. 물론 테라와다 불교를 초기불교로 여긴다거나 빠알리 경전을 붓다의 직설(Bhuddhavacana, 붓다의 敎說)로 간주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다만, 붓 다의 직설을 찾아내기 위한 어떤 계획이든 빠알리 경전에서 발견되는 내용에 더욱 의지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후대의 마하야나 (Mah?y?na, 大乘) 문헌에서 언급하고 인용하는 내용들 역시 붓다의 직설 중 일부일 수도 있는 몇 가지 경전이나 빠리야야(pary?ya, 分別)를 보여 주고 있다.

빠알리 경전의 문구들과 한역 또는 산스크리트 경전의 문구들을 비교했던 시도를 통해, 이들이 서로 다르게 구성된 모음에 존재했고, 주제나 의도, 개념, 환경적 배경에서는 포괄적으로 유사한 반면에 내용의 일부가 상당히 추가되거나 수정되어 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대반열반경』은 상당 부분 개정되긴 했으나 까뜨야 야나(K?ty?yana, 迦?延)에 대한 가르침은 다른 버전들 사이에서도 본질적 동일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빠알리 경전과 다른 버전의 문구를 비교하는 작업은 붓다의 직설에서 아비다르마(Abhidharma, 論藏)와 같은 부파불교의 경전, 즉 후대 불 교 문헌의 상당 부분을 제외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불멸 후 200년 이내에 부파가 생겼다면, 특정 부파의 성향을 띠지 않는 근본적인 경전 내용들은 불멸 후 1세기에 해당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런 내용들 역시 순수한 붓다의 직설이 아니라 그 당시 수행 전통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을 뿐이다. 결과적으로 붓다의 직설을 찾기 위해서는 빠알리 경전에서 가장 오래되고 완벽한 모음을 찾고, 가능한 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시대를 구분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라는 결론에 도달한다. 신앙적 정통이나 전통적 빠알리 학파의 정통성이 이런 과업을 방해하도록 내버려 둬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본서의 방법론은 전통적 빠알리 학파든 일본이나 티베트 학파든 모든 전통적 입장에 거리를 두고 접근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중국·티베트·일본 자료를 연구하는 일부 연구자들이 빠알리 경전이 상대적으로 더 오래되었다는 데 의문을 제기한 것이 사실이지만, 마찬가지로 과거에 히나야나(H?nay?na, 小乘) 부파에서 마하야나(Mah?y?na, 大乘) 경전의 진위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런 논쟁은 - 『쿳다까니까야 (Khuddaka Nik?ya, 小部)』의 몇 가지 내용을 제외하고 - 어느 부파에도 속하지 않는 아소카(A?oka) 왕 이전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삐따까(Pi?aka, 經藏·律藏)의 특징을 충분히 계산하지 못했기에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맥락에서 결집의 역사적 시기로서 붓다의 열반(Nirv??a, 涅槃) 시기를 바라보는 관점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때로는 한역 아가마 (?gama, 阿含)를 통해 비슷하게 알려진 내용에서 일반적 결론을 끌어내 는 것이 오히려 안전할 수도 있다. 결국 고대 불교에 대해 역사적으로 확실하게 접근하려면, 니까야와 아가마의 시대층을 구분하지 않을 수 없다. 니까야와 관련해서는 본서의 제1장~제7장까지 이러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따라서 본서는 불교의 기원에 관한 역사적 연구와 관련하여 유기적으로 연결된 그룹을 이루도록 제작했다. 주로 불교의 제도적 측면보다는 교리적 측면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루는 주제는 상당 부분 문학적이고 종교·철학적 성격이지만, 논의에 대해서는 역사적인 성격을 띠게 될 것이다.

◆ 세존학술총서 간행 취지와 목적

한국불교학은 90년대 이후 장족의 발전을 하였다. 가치 있는 학술서도 적지 않게 저술·출판되었다. 그러나 근래 많은 학자들은 한 주제를 가지고 오랜 탐구 끝에 그 결과물을 내기보다는 단편 논문에 집중하여, 전작이 거의 나오지 않고 있다. 더러 한두 권이 나오고 있는 것을 본다면 대부분 현직 학자들보다는 재야 학자들의 저서이다. 반면 외국의 불교학술서들을 본다면 놀라운 연구서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그것은 학문에만 집중할 수 있는 풍토와 환경이 조성되어 있고, 학자 자신도 탐구나 연구에 몰입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해 보고자 외국의 뛰어난 학문적 성과물들을 국내에 제공하여 후학들의 학문탐구에 일조가 되어 보자는 입장에서 이런 해외 우수 학술서들을 번역· 출판하게 되었다.
이러한 학술서들을 번역·간행할 수 있었던 것은 오로지 박찬호 거사의 기부, 희사정신에 의한 것이다. 한국의 불자들은 법당이나 불상 등 외형적인 불사에 주로 보시를 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과 대만의 불자들은 불서 간행에 많은 희사를 한다.
이 결과는 한편으로는 한국 신도들의 편협된 보시 관행과 관련이 있는데, 이런 보시 관행은 한국의 승가가 신도들에게 요구해 온 보시의 전형이다. 유형물에 대한 보시의 의미를 넘어, 법보시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기게 해 준, 박찬호 거사의 통찰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 박거사의 대승적 보시가 장차 한국불교 신도들에게, 붓다의 가르침대로 행하는 보시바라밀로 자리 잡게 될 때 한국불교는 비로소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인연이 도래할 것이다.
(책 앞과 뒤에 나오는 간행사 참고)


목차


간행사 요약 … 3
일러두기 … 14
네 번째 개정판 서문 … 15
서문 … 20
역자의 말 … 24

제1부 초기불교의 근원 연구 … 27

제1장 불교의 경전과 연대기 … 29
경장(Sutta Pi?ka, 經藏) 29 / 논장(Abhidharma Pi?a, 論藏)과 다른 판본 29
율장(Vinaya Pi?a, 律藏)과 다른 판본 31 / 경전, 니까야의 연대 39

제2장 니까야의 시대구분: 문제와 방법 … 48
문제 48 / 율장에 담긴 이야기 49 / 경장에 대한 올덴베르그의 입장 50
경장에 대한 리스 데이비즈와 로우의 입장 50 / 경장과 다른 연구자들 54
시대구분 기준 58 / 형이상학적 목적과 형식의 경향 59 / 산문과 운문 84

제3장 『숫따니빠따』, 『이띠웃따까』, 『우다나』의 시대구분 … 87
『숫따니빠따(Sn.)』와 한역 아함 87 / 산문과 게송 88
오래된 「앗타까왁가(Atthakavagga)」와 「빠라야나왁가(Parayanavagga)」 89
『숫따니빠따』의 시대구분 92 / 주요 「앗타까왁가」 94
「앗타까왁가」의 나머지 97 / 「앗타까왁가」에 대한 결론 97
「빠라야나왁가」 97 / 「빠라야나왁가」에 대한 결론 99
『마하왁가(Mahavagga)』 100 / 『마하왁가』에 대한 결론 102 / 나머지 102
『이띠웃따까(Itivuttaka)』 107 / 의심의 여지 없이 진본인 4장(Nip?) 108
3장(章, nip?a) 110 / 1~2장(章, nip?) 111 / 결론 114
『우다나(Ud?a)』 114 / 결론 120

제4장 『디가니까야(D?ha Nik?a)』에서 초기와 후기 … 121
『장아함경(D?gh?ama)』과 『디가니까야』 121
『장아함경』과 『디가니까야』 경전의 순서 123
첫 번째 왁가(Vagga, 品) 126 / 경전의 초기 특징 128 / 경전의 두 부분 129
몇 가지 후기 특징 131 / 두 번째 왁가(Vagga, 品) 141 / 프르질루스키의 결론 146
경전 16에 대한 분석 149 / 이후 경전에 대한 분석 155
세 번째 왁가(Vagga, 品) 160 / 결론 165

제5장 『맛지마니까야(Majjhima Nik?a)』의 초기와 후기 … 167
『맛지마니까야』의 경전 분류와 순서 167 / 후대의 것으로 보이는 세 번째 빤나사 168
초기/후기/복합/불분명으로 경전 분류 169
⒜ 초기 170 / 다른 전기(傳記) 경전 두 가지 177
⒝ 후기 183 / ⒞ 복합 201 / ⒟ 불분명 218

제6장 『상윳따니까야(Sa?utta Nik?a)』의 초기와 후기 … 245
『잡아함(Sa?ukt?ama, 雜阿含)』과 『상윳따니까야』 245
「사가타왁가(Sag?ha vagga)」의 특징 246 / 「데와따상윳따(Devatasa?utta)」 247
「사가타왁가」의 나머지 부분 253 / 『상윳따니까야』의 나머지 왁가 262
「니다나상윳따(Nid?asa?utta) 266 / 「니다나왁가」의 다른 상윳따 276
「칸다왁가(Khandhavagga)」 279 / 「칸다왁가」의 나머지 상윳따 283
「살라야따나왁가(Sa??atanavagga)」 285 / 「살라야따나왁가」의 나머지 상윳따 293
「마하왁가(Mah?agga)」 297

제7장 『앙굿따라니까야(A?uttara Nik?a)』의 초기와 후기 … 306
『증일아함』과 『앙굿따라니까야』 306 / 진본인지 의심스러운 열한 번째 니빠따 307
여섯 번째 니빠따 이후를 구성하는 새로운 동향 307
‘유명무실한’ 일부 그룹 생략 308 / 『증일아함』에서 ‘생략’과 숫자로 나타낸 체계 310
『앙굿따라니까야』의 시대층을 구분하는 어려움 310 / 특별한 종류의 일부 경전 310
『앙굿따라니까야』 일부 경전의 시대층에 대한 고찰 311 / 결론 325

제2부 불교의 역사적·문화적 배경 연구 … 327

제8장 베다의 배경 연구 … 329
베다 문명 이전 시대의 중요성 329 / 베다 시대의 무니와 슈라마나 336
베다 사회의 진화 340 / 신과 인간 344 / 추상적 [개념의] 신(神) 증가 349
유일신교와 범신론 경향 350 / 종말론 352 / 의례와 그 발달 353
희생제의 특성 353 / 희생제의 종류 354 / 희생제의 철학 357
윤리와 삶의 가치 358 / 신들 사이의 변화 359 / 상징주의: 비디야, 우빠사나 360
브라흐마나: 종말론과 윤회론의 기원 361 / 우파니샤드 사상 366
카르만 교리와 제사장의 세계: 도덕적 변혁 367
즈냐나(J??a, 智)와 카르만(Karman, 業) 368 / 카르만과 신 369
불멸 370 / 자기 지식[앎]의 증가 371 / 브라흐만(Brahman) 377
최고선(最高善) 379 / 위짜라(Vic?a, 伺) 381 / 요가(Yoga) 382
요가의 기원 384 / 상키야의 기원 386 / 최종 견해 391

제9장 붓다 시대의 종교적 조건 … 392
사회적 존재와 사회적 의식 392 / 붓다 시대의 사회적 변화 393
브라흐마나와 그 종교 397 / 대중적인 종교 399 / 금욕주의의 발생 403
[불교 이전이 아닌] 네 가지 아슈라마 이론 404
‘네 번째 아슈라마’를 강력히 반대하던 브라흐마나 407
『다르마 수트라』의 네 가지 아슈라마 최초 형태 408
베다 울타리에 금욕주의 등장 409
기원전 6세기 금욕적이고 지적(知的)인 운동의 기원 410
브라흐마나와 비(非)브라흐마나의 금욕주의 411
은둔 수행자와 탁발 수행자 412 / 거주지 420
우안거(雨安居)와 우포사타(布薩) 420 / 지적(知的) 동요 421
시간의 철학 421 / 스바바와바다 422 / 니야티바다 423 / 야드르차바다 423
사상적 동요의 원인: 추정 424 / 아크리야바다 425 / 막칼리 고살라 426
상사라위숫디 426 / 아지바카의 도덕성 429 / 아크리야바다의 또 다른 다양성 431
상키야 또는 바이셰시카 433 / 까싸빠, 깟짜야나와 사상적 동요 433
‘회피론자’ 아닌 불가지론 434 / 유물론(唯物論) 435
「브라흐마잘라 숫따」 436 / 니간타(자이나교) 437 / 초기 자이나교 신앙의 개요 440
깜마 이론 444 / 가티(Gati, 運命) 449 / 마하비라의 금욕주의 451
결론 452 / 후대에 발달된 일부에 대한 기록 453

제10장 붓다의 생애 … 455
출처 455 / 관점 456 / 출생 457 / 사끼야 457
가족 459 / 어린 시절 459
『아비니슈크라마나(Abhini?rama?, 佛本{行集經)』 460
고귀한 탐구 (Ariyapariyesan?) 464 / 빠다나(Padh?a, 努力) 465
깨달음 466 / 마라와의 논쟁 407 / 붓다의 첫 번째 설법 469
삼보디 이후의 사건들 470 / 브라흐마의 간청 470
바나라스에서 472 / 위나야의 이야기 472 / 붓다의 교리 전파 473
다른 집단 476 / 불교와 다양한 사회 계급 478
붓다의 성격 479 / 삶과 가르침 481

제3부 초기불교 교리 연구 … 483

제11장 괴로움과 그 기원 … 485
아리야삿짜니(Ariyasacc?i, 고귀한 진리) 485 / 의학과의 관련성 486
아비다르마에 따른 내용 487 / 둑카(苦), 붓다의 가르침에서의 위치 488
리스 데이비즈 여사의 회의론 489 / 근거가 충분치 않음 489
니까야에서의 둑카 490 / 둑카의 본질 491 / 둑카의 기원 494
연기(Pa?ccasamupp?a)의 해석 495 / 연기의 진위 501
연기의 두 가지 측면 501 / 연기의 일반적 원리: 그 발견과 의의 502
연기의 신비로운 면 504 / 유한한 독립존재를 부정하는 연기 505
중도(中道)로서의 연기 508 / 연기와 흐름 513
연기와 브라흐마노우파니샤드의 배경 514 / 붓다의 독창성 515
연기에 대한 개념의 발달 516 / 연기: 응용 형식 518
깜마(業)와 둑카 518/ 기능적이며 비실재적인 깜마 520
대중적인 깜마 이론 형태 522 / 상사라(Sa??a, 輪廻)의 유래 522
연기, 정형구 증가 523 / 세 가지 단계 524 / 빳짜야(緣): 관계의 의미 526
다양한 니다나(因緣) 527 / 12 니다나에 대한 결론 531

제12장 니르바나(Nirv??, 涅槃) … 534
니르바나에 관한 논란과 역사적 관점 534 / 니르바나에 대한 해석 ─ (Ⅰ) 고대 535
불교의 니르바나 개념: ‘산따(Santa, 寂靜)’와 ‘아삼스크르타’ 543
니르바나에 대한 해석 ─ (Ⅱ) 현대 544 / 결론 549
소빠디와 니루빠디 549 / 붓다와 아라한 550 / 보디(Bodhi, 覺) 551
윗자 552 / 위뭇띠(Vimutti, 解脫) 552 / 삼보디와 직관적 앎 553
빤냐 554 / 연기와 삼보디 556 / 삼보디 557
니르바나와 경험 558 / 담마와 그 중요성 문제 559
담마에 대한 해석 559 / 담마의 두 가지 의미 564 / 삼보디와 담마 566
닙바나와 연기 566 / 닙바나의 본성: 초월적 실재로서의 닙바나 567
연기와 닙바나의 관계에 대한 바루아의 견해 570
닙바나와 상사라 571 / 목표로서의 닙바나 572 / 정적(靜寂)의 본성 573
해방(해탈) 575 / 앗따(Atta, 自我) 문제 576 / 현대적 해석 577
마디야미카(M?hyamika, 中觀派) 관점 579 / 니까야 자료의 역사적 분석 580
뿌리사 585 / 뿌리사뿍갈라와 뿍갈라 586 / 뿍갈라와다 587
뿍갈라와다의 기원 589 / 윤회의 주체로서 윈냐나 590
초월적 개념으로서 윈냐나와 실증적 개념으로서 윈냐나의 양 측면 591
니까야에서 윈냐나 개념의 세 단계 593 / 칸다 이론의 늦음 594
안앗따 이론 596 / 붓다의 침묵 603 / 결론 607

제13장 니르바나(Nirv??, 涅槃)에 이르는 길 … 609
길(道)과 진리 609 / 불교의 길(道)과 우파니샤드 610
실라, 사마디, 프라즈냐 612 / 길(道)이 아닌 것 613 / 앗탕기꼬 막고 615
믿음(信) 621 / ‘마음챙김’ 624 / 이띠빠다 627 / 보디빡키야 담마: 결론 628
윤리적 문화 629 / 연민(慈悲) 630 / 브라흐마위하라(Brahmavih?a, 梵住) 630
집중과 명상 632 / 고대 불교에서 선정(禪定)의 중요성 632
선정의 목적 634 / 네 가지 선정 636 / 선정의 특징 639
자나(禪定), 아루빠(無色界), 니르바나 640 / 사마타(止)와 위빠사나(觀) 642
정신적 성장[聖人]의 단계 644

제14장 선행 종교와 경쟁관계에서 초기불교 … 646
불교와 자이나교 646 / 불교와 상키야(S??ya, 數論) 653
불교와 요가 658 / 불교와 베다 전통 661 / 결론 663

제15장 니까야 이후 불교의 발전 동향 … 665
분열의 기원 665 / 규율의 상태 667 / 교리에 대해 668
부파 668 / 주요 문제 673 / 발달 계보 674

부록 1 초기 자이나 자료 _ 677
2 빠알리의 발상지에 대해 _ 685
3 마이트라야니야 우파니샤드 _ 687

·약어 및 참고문헌 … 690
·찾아보기 … 708
·증보 … 729
·간행사 전문 … 732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