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대승불교

대승불교

  • 폴윌리엄스
  • |
  • 민족사
  • |
  • 2019-02-25 출간
  • |
  • 699페이지
  • |
  • 160 X 230 X 45 mm /988g
  • |
  • ISBN 9791189269203
판매가

48,000원

즉시할인가

43,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3,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세존학술총서 4번째 책.
『대승불교』
Mah?y?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폴 윌리엄스 지음 / 조환기 옮김

대승불교의 교리적 사상적 토대와 성립에 대한
종합적 연구서!

이 책의 저자 폴 윌리엄스는 대승불교 연구자로서는 가장 권위 있는 서양학자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서 대승불교의 교리와 사상의 성립에 대한 연구서다. 동시에 대승불교의 기원에 대한 연구서이기도 하다.
인도에서 기원한 대승불교는 티베트과 동아시아에 불교의 일반적인 형태가 되어 아시아에 널리 퍼져 있다. 지난 25년 동안 대승불교에 대한 서양의 관심은 학문적으로 많은 연구 성과를 생산했고, 티베트 불교와 선불교에 이끌린 서양인들의 관심을 반영하였다. 폴 윌리엄스의 『대승불교』는 그 분야의 기본 안내서로 널리 여겨질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교육과 연구를 위해 이용되고, 유럽과 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 번역되었다. 이 책은 대승불교의 교리적 다양성과 풍부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불교학을 더욱 연구해 나갈 학생들이 풍부한 참고 문헌과 광범위한 주석들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중요한 학파를 연구하는 이들에게 윌리엄스의 이 책은 이상적인 동반자가 될 것이다.
이 책은 대승불교의 핵심 사상이라고 할 수 있는 반야(반야부 경전), 중관, 유식, 여래장사상, 화엄사상, 법화사상, 불신관, 그리고 대승불교의 성립과 기원에 대한 연구서다. 특징은 대승불교 각 사상적 토대, 바탕, 성립에 초점을 두었고, 중국, 티베트, 네팔에 대한 연구도 포함하고 있다.
이 책은 『대승불교』는 대승불교 전체의 교리적 지평을 만들기 위해 종합적인 책이다. 대승불교의 사상과 이 분야에 대한 최근의 학문적인 성과들도 많이 소개하고 있다. 지난 25년 동안 대승불교에 대한 서양의 관심은 학문적으로 많은 연구 성과를 이루었다.
에드워드 콘즈 (Edward Conze)와 에티엥 라모트(?tienne Lamotte) 같은 이전의 학자들이 이 벅찬 임무를 시작했는데, 이 책은 그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그들의 연구를 뛰어넘었다고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연구를 위한 하나의 이정표 역할을 할 수 있는 책이다.

폴 윌리엄스의 『대승불교』는 널리 세계적으로 연구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주석을 많이 달아 더 자세한 내용을 추가했고, 본문의 논쟁을 더욱 상세하게 다루고 있으며, 이 주제에 대해 심도 있는 단계로 나아가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안내와 참고 문헌들을 제공하였다. 이 주제(대승불교)에 대한 합리적이고 개괄적인 소개와 함께 연구를 더 진행하고자 하는 탐구자들에게 중요한 참고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세존학술총서 간행 취지와 목적

한국불교학은 90년대 이후 장족의 발전을 하였다. 가치 있는 학술서도 적지 않게 저술·출판되었다. 그러나 근래 많은 학자들은 한 주제를 가지고 오랜 탐구 끝에 그 결과물을 내기보다는 단편 논문에 집중하여, 전작이 거의 나오지 않고 있다. 더러 한두 권이 나오고 있는 것을 본다면 대부분 현직 학자들보다는 재야 학자들의 저서이다. 반면 외국의 불교학술서들을 본다면 놀라운 연구서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그것은 학문에만 집중할 수 있는 풍토와 환경이 조성되어 있고, 학자 자신도 탐구나 연구에 몰입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해 보고자 외국의 뛰어난 학문적 성과물들을 국내에 제공하여 후학들의 학문탐구에 일조가 되어 보자는 입장에서 이런 해외 우수 학술서들을 번역· 출판하게 되었다.
이러한 학술서들을 번역·간행할 수 있었던 것은 오로지 박찬호 거사의 기부, 희사정신에 의한 것이다. 한국의 불자들은 법당이나 불상 등 외형적인 불사에 주로 보시를 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과 대만의 불자들은 불서 간행에 많은 희사를 한다.
이 결과는 한편으로는 한국 신도들의 편협된 보시 관행과 관련이 있는데, 이런 보시 관행은 한국의 승가가 신도들에게 요구해 온 보시의 전형이다. 유형물에 대한 보시의 의미를 넘어, 법보시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기게 해 준, 박찬호 거사의 통찰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 박거사의 대승적 보시가 장차 한국불교 신도들에게, 붓다의 가르침대로 행하는 보시바라밀로 자리 잡게 될 때 한국불교는 비로소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인연이 도래할 것이다.
(책 앞과 뒷 간행사 참고)


목차


간행사 요약 … 3
추천의 글 … 7
저자 서문 … 16
역자 서문 … 19
일러두기 … 22

제1장 서론 … 23
1. 불교 - 교리의 다양성과 계율의 통일성 … 23
2. 인도의 배경 … 38
3. 변화를 촉진시킨 요소들 … 48
4. 아비달마 … 53
5. 대중부와 출세간부 … 58
6. 대승의 기원과 재가신자 … 65
7. 대승 이전의 대승 - 『아지타세나경』 … 78
8. 대승의 기원들에 대해서 - 다른 경전들을 통해 … 83
9. 대승경전들의 당위성 … 103

제2장 지혜의 완성(반야부 경전) … 115
1. 대승경전에 관하여 … 115
2. 반야부 경전의 기원과 발달 … 120
3. 지혜(반야)와 지혜의 완성 … 125
4. 무아설(無我說) … 130
5. 보살 … 138

제3장 중관 … 156
1. 용수와 제바 … 156
2. 인도에서 중관학파의 발전 … 161
3. 공과 자성 - 양립할 수 없는 대립 … 168
4. 중관파의 방법론 … 175
5. 중관파의 3가지 비판 … 179
1) 인연에 대하여 … 179
2) 자아에 대하여 … 182
3) 열반에 대하여 … 183
6. 두 가지 진리[二諦] … 187
7. 선정과 공(空) … 195
8. 중국과 동아시아의 중관파 … 198
12 대승불교

제4장 유식 … 203
1. 배경 … 203
2. 유식학자들과 논서들 … 208
3. 삼성설(三性說, trisvabh?va) … 213
4. 마음 … 223
5. 알라야식, 의식과 아말라식 … 233
6. 유식파의 계속되는 논쟁 … 242

제5장 여래장사상 … 249
1. 여래장 계통의 경전들 … 251
2. 『보성론』의 여래장사상 … 264
3. 티베트의 타공(他空)과 자공(自空)의 논쟁 … 270
4. 『대승기신론』과 동아시아의 여래장사상 … 278
5. 도원의 불성이론 … 287
6. 현대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 태국불교에서 비판불교와 무아설에 대한 논쟁 … 293
6-1. 비판불교 … 293
6-2. 현대 태국불교의 무아설 … 301

제6장 화엄사상 … 311
1. 중국불교 … 311
2. 『화엄경』 … 319
3. 중국의 화엄종 … 330
4. 화엄사상 - 법장의 「금사자장」 … 337
5. 화엄 수행의 몇 가지 측면에 대한 연구 … 344
6. 불교예술에서의 『화엄경』과 비로자나불 … 346

제7장 『법화경』과 그 영향 … 351
1. 『법화경』과 그 영향 … 351
2. 천태(Tiantai, Tendai) 사상 … 385
3. 일련(日蓮)과 일련정종(日蓮正宗) … 392

제8장 불신관(佛身觀) … 409
1. 대승에 대한 서론 … 409
2. 불신(佛身)과 공의 철학 … 416
3. 유식학파의 체계적인 발달 … 422
4. 불신관에 대한 게룩파의 견해 … 428
5. 마지막 관점 : 무여열반과 붓다의 수명 … 433

제9장 보살도 … 437
1. 티베트에 도달한 불교 … 437
2. 8세기의 논쟁들 … 445
3. 자비와 보리심 … 451
4. 보살지와 바라밀들 … 463

제10장 믿음과 헌신: 붓다와 보살 숭배 … 481
1. 염불 … 481
2. 반주삼매와 혜원 … 487
3. 불국토의 관념 … 494
4. 보살들 … 501
4-1. 미륵 … 501
4-2. 관세음보살 … 509
4-3. 타라(T?r?)보살 … 520
4-4. 문수사리보살 … 524
4-5. 지장보살 … 531
5. 붓다들 … 536
5-1. 아촉불 … 536
5-2. 약사여래 … 544
5-3. 아미타불 … 551
6. 중국에서의 아미타불 정토 … 565
7. 법연(法然, H?nen) … 589
8. 친란(親鸞, Shinran) … 603

·참고 문헌 … 617
·찾아보기 … 667
·간행사 전문 … 691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