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여성과 법률

여성과 법률

  • 김신규
  • |
  • 박영사
  • |
  • 2019-03-04 출간
  • |
  • 483페이지
  • |
  • 169 X 244 X 30 mm /886g
  • |
  • ISBN 9791130333861
판매가

24,000원

즉시할인가

23,76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3,76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머리말

저자가 대학에서 ‘여성과 법률’과목을 교양강좌로 개설하여 강의한 지도 어언 15년의 세월이 흘렀다. 새천년인 2000년 초반에 처음 강좌를 개설할 때에는 수강생들에게 민주시민사회의 건전한 구성원으로서 여성의 역할과 지위에 대한 주체적인 자각의식을 일깨워주고, 잔존해있는 우리 사회의 가부장적 성차별적 관념이나 낡은 제도들을 적나라하게 노정하여 혁파함으로써 남녀 대학생들에게 양성평등의 문화, 모든 사람이 동등하게 존엄한 존재로서 존중되는 선진문화국가로 나아가는 마중물 역할을 하고, 나아가 우리 헌법이 함유하고 있는 헌법적 가치질서에 부합되지 않은 고루한 낡은 인식과 제도 개혁의 필요성을 시민사회의 구성원들에게 일깨우고 북돋아줌으로써 인간존엄의 가치에 대한 실천적 결실을 얻기 위함이었다. 

 이런 의도 하에 진행된 저자의 교양강의를 그동안 많은 대학생들이 수강함으로써 이 교과목의 현실적 필요성이 증대되었을 뿐만 아니라 여성과 관련된 생활법률이, 결국 남성들에게도 인간의 존엄성을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되고 화목한 가정을 영위하기 위한 굳건한 토대가 된다는 점에서 많은 남학생들이 수강하는 현실을 보면서 필자로서는 여간 뿌듯한 마음을 가지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시간의 화살은 그동안 쉼 없이 흘러, 저자의 물방울같은 미세한 노력만으로 성평등의 도도한 물결이 만들어진 것은 결코 아니지만, 이러한 쉼 없는 변화의 작은 물방울들이 모여 우리 사회의 반민주적이고 일방적인 고루한 가부장적 가정질서와 위계적인 사회질서는 대화와 설득이라는 민주적인 합의절차로 변모되었을 뿐만 아니라 헌법적 가치질서에 부합되도록 호주제 폐지 등 관련 법제도에도 커다란 실천적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 책은 저자가 그동안 대학 교양과목으로서 개설하였던 “여성과 법률”이라는 강좌의 중요한 내용, 즉 여성으로서 필요한 생활법률 내지 여성과 밀접하게 관련된 주요한 법률 내용을 소개함으로써 우리 사회의 성평등의 문제에 대한 인식제고와 인간존엄의 선진제도와 문화형성에 기여할 목적으로 저술되었다. 이 책을 읽거나 수강하는 모든 대학생들이 성평등에 기초한 민주적인 가정이나 건전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행복한 문화복지국가의 일원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대학 교양강의의 특성을 고려하여 저자는 책의 지면을 최대한 줄이고 생활법률과 관련된 최근 법령과 판례를 소개하려 했지만, 생활법률분야의 잦은 법령개정과 2018년 하반기에는 저자가 대학의 교무처장 보직을 맡게 되다보니 차일피일 원고가 미루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2019년 신학기가 가까워오고 출판사의 독촉도 받다보니 비록 미진한 부분이 있지만 추후에 보정하기로 하면서 출간하게 되었다. 이 점을 고려하여 일상생활과 밀접한 민사와 형사를 비롯한 각종 생활법령과 판례 중 미쳐 독자에게 소개하지 못한 부분은 점차 보정하기로 한다.

 끝으로 이 책을 출간하는데 있어서 도움을 준 여러분에게 고마움을 전하고 싶다. 먼저 목포대학교와 경찰교육원에서의 바쁜 강의 일정에도 불구하고 원고보정을 도와준 저자의 제자인 김재한 법학박사에게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학문적으로 일취월장하기를 기원한다. 다음으로는 연초의 촌음이 아까운 출판사 사정에도 불구하고 본서의 편집과 교정을 위해 애써주신 박영사 김선민 부장님과 이영조 차장님을 비롯한 출판사 임직원 여러분께도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아무쪼록 이 책이 교양인으로서 여성을 이해하거나 여성과 관련된 생활법률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혀 실생활에 도움이 되고, 나아가 성평등의 문화가 확산되어 제도로 정착되길 기대해본다.

 

 

2019년 1월 국립목포대학교 청계캠퍼스 무우재(無愚齋)에서 

중암(中巖) 김 신 규 

목차

제1장  법에 관한 일반론  /  1

제1절  사회생활과 사회규범 3

제2절  법의 개념 2

 1. 법의 특징 2

 2. 법 개념의 다양성 4

 

제3절  법의 이념 5

 1. 정의 5

 2. 합목적성 6

 3. 법적 안정성 7

 4. 법이념 상호간의 관계 8

 

 

제2장  여성인권과 여성운동  /  11

제1절  19세기 여성운동의 구체화와 전개과정 11

 1. 참정권과 교육기회의 균등 11

 2. 노동시장에서의 평등권 확보 11

 3. 고정관념과 문화적 편견 12

 4. 출산과 성(Sexuality)문제의 분화 12

 

제2절  여성운동의 흐름 13

 1. 제1기 운동(참정권 획득과 교육기회균등) 13

 2. 제2기 여성운동(사회주의적 운동) 14

 3. 제3기 여성운동(여성운동의 르네상스) 14

 4. 제4기 여성운동(환경운동과 생명운동) 15

 5. 한국에서의 여성운동의 전개 16

 6. 여성운동의 미래적 과제 19

 

 

제3장  헌법과 성평등  /  21

제1절  헌법의 개념과 기본이념 21

 1. 개념 21

 2. 특징 21

 3. 헌법의 기본이념과 체계 22

 

제2절  헌법상 여성의 지위 22

 1. 헌법상 여성 특유의 기본권 22

 2. 헌법상 평등조항 23

 

제3절  성평등의 기초로서의 평등권 26

 1. 평등사상의 형성과 전개 26

 2. 평등권의 의의 27

 3. 평등권의 실현 29

 

 

제4장  가족법 생활관계  /  35

제1절  친족관계 36

Ⅰ. 친족 36

1. 친족의 의의 36

2. 친족의 범위 37

3. 촌수 38

Ⅱ. 가족법의 법원(法源) 45

1. 가족관계등록법의 개념과 특징 46

2. 가족관계등록부의 내용 46

제2절  혼 인 48

Ⅰ. 약혼 48

1. 약혼의 성립요건 48

2. 약혼의 강제이행금지와 약혼 해제사유 49

3. 약혼해제절차와 손해배상 등 49

Ⅱ. 혼인 51

1. 혼인의 의의와 성립요건 51

2. 혼인의 무효와 취소 52

3. 혼인의 효과 57

Ⅲ. 이혼 59

1. 이혼제도 59

2. 협의이혼 61

3. 재판상 이혼 63

4. 이혼의 효과 65

Ⅳ. 사실혼 67

1. 사실혼의 의의 67

2. 사실상혼인관계존부확인청구 68

3. 사실혼의 보호 68

4. 사실혼의 효과 68

5. 사실혼의 해소 69

 

제3절  부모와 자 70

Ⅰ. 친생자 70

1. 혼인 중의 출생자 70

2. 혼인 외의 출생자 71

Ⅱ. 인공수정자 72

1. 인공수정의 의의 72

2. 인공수정의 종류 73

3. 인공수정자의 법적 지위 73

Ⅲ. 양자 74

1. 입양 75

2. 친양자제도 78

 

제4절  친권과 후견 및 부양 80

Ⅰ. 친권 80

1. 친권자와 친권자의 지정 및 행사 80

2. 친권의 내용 81

3. 친권상실의 선고 82

Ⅱ. 후견(後見) 82

1. 미성년후견인 83

2. 성년후견인 83

3. 후견인의 수와 자격 84

4. 후견계약 84

Ⅲ. 부양 85

1. 부양의무와 생활능력 85

2. 부양의 순위 85

3. 부양의 정도와 방법 85

4. 부양관계의 변경 또는 취소 85

 

제5절  상속관계 86

Ⅰ. 상속 86

Ⅱ. 상속인 86

1. 상속인의 범위 86

2. 법정재산상속의 순위 87

3. 대습상속 87

4. 상속결격 88

Ⅲ. 상속분 89

1. 상속분의 개념 및 종류 89

2. 특별수익자의 상속분 91

Ⅳ. 분묘 등 제사용 재산의 특별승계 91

Ⅴ. 상속재산의 분할 92

1. 유언에 의한 분할방법의 지정 또는 분할금지 92

2. 협의에 의한 분할 92

3. 상속재산의 평가와 경매 92

Ⅵ. 상속의 승인과 포기 92

1. 상속의 승인 92

2. 상속의 포기와 상속승인, 포기의 취소금지 93

3. 상속의 승인, 포기의 기간 93

Ⅶ. 기여분 95

1. 기여의 내용과 범위 95

2. 기여분의 결정방법 96

3. 기여분인정의 효과 96

Ⅷ. 재산의 분리 96

Ⅸ. 상속인의 부존재 97

Ⅹ. 특별연고자에 대한 재산분여 97

 

제6절  유언 및 유류분 98

Ⅰ. 유언 98

1. 유언(遺言)의 의의 98

2. 유언의 방식 98

3. 유언의 효력 101

4. 유언의 집행 102

5. 유언의 철회 및 유언집행자의 유언취소청구 102

Ⅱ. 유류분 103

1. 유류분제도의 의의 103

2. 유류분 권리자와 유류분 103

3. 유류분의 산정 103

 

 

제5장  재산관련 생활관계  /  105

제1절  민사일반 105

Ⅰ. 민법의 기본원리 105

1. 근대민법의 기본원리 105

2. 근대민법의 기본원리의 현대적 변용(變容) 107

Ⅱ. 권리의 주체 108

1. 권리능력 109

2. 권리능력자 109

3. 자연인 109

4. 법인 118

Ⅲ. 물건, 권리의 객체 118

1. 물건의 의의 120

2. 물건의 종류 120

Ⅳ. 법률행위 120

1. 법률행위의 의의와 요건 121

2. 법률행위의 종류 121

Ⅴ. 의사표시 122

1. 의사와 표시의 불일치 122

2. 하자있는 의사표시 125

Ⅵ. 대 리 126

1. 대리의 의의 126

2. 대리의 종류 127

3. 무권대리(無權代理) 127

4. 대리권의 범위 129

5.  법률행위의 무효와 취소 129

Ⅶ. 시 효 130

1. 시효의 의의 130

2. 시효의 종류 131

 

제2절  물 권 133

Ⅰ. 물권의 의의 133

Ⅱ. 물권의 특색 133

1. 물권은 물건에 대한 배타적인 지배권이다 133

2. 물권은 물권자가 물건을 직접적으로 지배하는 권리이다 133

3. 물권의 객체는 특정된 독립의 물건이어야 한다 133

Ⅲ. 물권의 종류 134

1. 점유권 134

2. 소유권 135

3. 용익물권 136

4. 담보물권 137

Ⅳ. 물권변동 139

1. 물권변동의 의의 139

2. 물권행위 139

3. 공시의 원칙과 공신의 원칙 140

4. 등기와 인도 141

5. 농작물 등에 대한 명인방법에 의한 소유권 취득 141

 

제3절  채권 142

Ⅰ. 채권의 의의 142

Ⅱ. 채권의 목적 143

Ⅲ. 채권의 효력 143

1. 채무불이행의 지체책임과 강제이행의 청구 143

2. 채무불이행과 손해배상책임과 손해배상범위 144

Ⅳ. 다수 당사자 사이의 채권관계 144

1. 채권의 양도와 채무의 인수  145

2. 변제목적물의 공탁과 채무면제 145

3. 경개와 혼동 145

4. 채권이 발생하는 당사자 사이의 전형적인 계약 146

Ⅴ. 불법행위 147

1.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 147

2. 생명침해로 인한 위자료(慰藉料) 147

3. 미성년자, 심신상실자의 책임능력 148

4. 특수한 지위에 있는 자의 책임 148

Ⅵ.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151

1. 전화권유판매업자의 통화내용보존의무 151

2. 방문판매 또는 전화권유판매방법의 재화 등 구매계약의 청약철회 152

3.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소비자기본법],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기본법]에 따른 법적 규제 155

4. 할부거래에 관한 법률 156

5. 보험업법에 따른 보험계약 159

6. 소비자기본법 159

 

제4절  금전 및 부동산거래 162

Ⅰ. 금전거래 162

1. 금전거래시 유의사항 162

2. 보증 168

3. 공탁제도 174

4. 내용증명 175

5. 지급명령 175

6. 소액심판 176

Ⅱ. 부동산 거래 177

1. 부동산 거래와 등기제도 177

2. 주택임대차보호제도 181

3.「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의 내용 191

 

 

제6장  여성과 관련된 법률  /  197

제1절  유엔여성차별철폐협약 197

Ⅰ. 여성차별철폐에 관한 국제협약의 추진을 위한 합의내용 197

Ⅱ. 협약의 주요내용 198

1. 협약의 전문내용 198

2. 협약의 주요내용 200

 

제2절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204

Ⅰ. 머리말 204

Ⅱ. 목적 및 정의 205

1. ‘차별’의 개념 205

2. ‘직장내 성희롱’ 등의 개념 205

3. 남녀고용평등의 실현을 위한 각종 시책 및 기본계획의 수립 206

Ⅲ. 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보장 및 대우 등 206

1. 남녀의 평등한 기회보장 및 대우 206

2. 직장내 성희롱의 금지 및 예방 206

3. 여성의 직업능력개발 및 고용촉진 208

4. 적극적 고용개선 조치시행계획의 수립, 제출 209

Ⅳ. 모성보호 및 일․가정의 양립 지원 210

1. 출산전후(出産前後) 휴가에 대한 지원 210

2. 육아휴직 및 근로시간 단축 등 210

3. 보육지원 등 213

Ⅴ. 분쟁의 예방과 해결, 보칙 및 벌칙 214

1. 분쟁의 예방과 해결 214

2. 보칙 및 벌칙 215

Ⅵ. 각국의 입법례 217

1. 스웨덴 217

2. 프랑스 217

3. 영국 217

4. 미국 218

5. 일본 218

 

제3절  근로기준법 219

Ⅰ. 머리말 219

Ⅱ. 근로기준법의 적용범위 221

1. 임금과 평균임금 221

2. 공민권 행사의 보장 221

3. 근로기준법의 적용 범위 221

4. 근로계약 221

5. 임금 223

6. 근로시간 224

7. 휴식 226

8. 여성과 소년 227

9. 직장 내 괴롭힘의 금지 및 발생 시의 조치 229

10. 재해보상 230

11. 취업규칙 231

제4절  모자보건법 232

Ⅰ. 머리말 232

Ⅱ.  모자보건법의 주요내용 235

1. “임산부․모성․영유아” 등에 대한 정의 235

2.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등 236

3. 인공임신중절수술의 허용한계와 인공임신중절의 예방사업 등 238

Ⅲ.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각국의 동향 240

1. 낙태 자유화 문제 240

2. 낙태죄에 대한 외국의 동향 241

3. 입법론적 문제 243

 

제5절  한부모가족지원법 245

Ⅰ. 머리말 245

Ⅱ. 한부모가족지원법의 주요내용 245

1. 국가 등의 책임과 한부모가족의 권리 등 245

2. 한부모가족 등의 개념 246

3. 지원대상자의 범위와 특례 247

4. 복지의 내용과 실시 247

4. 한부모가족복지시설 등 250

5. 비용 252

6. 보칙 253

 

제6절  아동복지법 254

Ⅰ. 머리말 254

Ⅱ. 아동복지법의 내용 255

1. 아동 등의 개념 256

2. 기본이념 257

3. 국가․지방자치단체와 보호자 등의 책무 및 어린이날 257

4. 아동복지정책의 수립 및 시행 등 258

5. 아동에 대한 보호서비스 260

6. 아동학대의 예방 및 방지 263

7. 아동에 대한 지원서비스 268

8. 아동복지전담기관 및 아동복지시설 269

9. 아동학대예방사업의 과제와 개선방안 272

 

제7절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273

Ⅰ. 총칙 274

Ⅱ. 아동학대범죄의 처벌에 관한 특례 276

1. 이동학대범죄에 대한 가중처벌 276

2. 형벌과 수강명령 등의 병과(제8조) 276

3. 친권상실청구 등 277

Ⅲ. 아동학대범죄의 처리절차에 관한 특례 278

1. 아동학대범죄 신고절차 278

2. 아동보호사건 283

3. 피해아동보호명령 289

 

제8절  여성기업지원에 관한 법률 294

Ⅰ. 머리말 294

Ⅱ. 주요내용 296

1. 목적 및 정의규정 296

2. 국가 및 지자체의 책임 296

3. 여성기업활동 촉진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과 차별관행시정요청 및 실태 조사 296

4. 균형성장촉진위원회의 설치  297

5. 여성의 창업지원 특례 297

6. 공공기관의 우선 구매 298

7. 각종지원  298

8. 한국여성경제인연합회의 설립 등과 업무 298

9. 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의 설치 등 299

10. 벌칙 299

 

제9절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299

Ⅰ. 머리말 299

Ⅱ. 가정폭력방지를 위한 국가 등의 책무 300

1. 국가와 자치단체의 책무 300

2. 재원확보 및 담당기구설치와 담당공무원 배치의무 301

3. 가정폭력 실태조사 및 가정폭력 예방교육의 실시 301

4. 아동의 취학지원 및 피해자에 대한 불이익처분의 금지 302

5. 긴급전화센터의 설치․운영 및 가정폭력 추방 주간 303

Ⅲ. 가정폭력 관련 상담소 및 가정폭력 피해자보호시설의 설치․운영및 업무의 범위 303

1. 가정폭력관련상담소의 설치  303

2. 상담소의 업무 303

3.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의 설치 및 업무범위 304

4. 보호시설 304

5. 피해자 의사의 존중의무 및 수시기관의 협조 306

6. 홍보영상물의 제작․배포 등 307

7. 사법경찰관리의 현장출동 307

8. 비밀엄수의 의무 307

9. 치료보호 308

 

제10절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309

Ⅰ. 머리말 309

Ⅱ. 가정폭력의 개념 등 310

1. ‘가정폭력’의 정의 310

2. ‘가정구성원’의 범위 310

3. 가정폭력행위자와 피해자의 범위 311

4. 기타 정의 311

Ⅲ. 가정보호사건 311

1. 신고와 사법경찰관리의 응급조치 311

2. 검사의 임시조치의 청구와 판사의 임시조치 312

3. 고소 등의 특례 314

4. 조사․심리절차 및 불처분 결정 315

5. 보호처분의 결정 및 기타 불복절차(항고와 재항고) 317

6. 민사처리의 특례(배상명령신청 등) 319

7. 벌 칙 320

 

제11절  성관련범죄에 대한 이해  321

Ⅰ. 머리글 321

Ⅱ. 형법상 성관련범죄 323

1. 강간죄․유사강간 및 강제추행죄 323

2. 준강간죄와 준강제추행죄 325

3. 13세 미만의 미성년자에 대한 의제강간․강제추행죄 326

4. 강간 등 상해․치상․살인․치사죄 및 강도강간 326

5. 미성년자․심신미약자에 대한 간음․추행죄 327

6. 업무상위력 등에 의한 간음죄, 피구금자 간음죄 328

7. 약취․유인의 죄 329

8. 음행매개죄 330

9. 음란물죄와 공연음란죄 331

10. 기타 경범죄처벌법위반죄 333

Ⅲ.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333

1. 머리말 333

2. 총 칙 336

3.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절차에 관한 특례 337

4. 신상정보 등록 등 349

Ⅳ. 성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354

1. 총칙 355

2. 피해자 보호․지원 시설 등의 설치․운영 359

3. 보칙 363

Ⅴ. 특정 범죄자에 대한 보호관찰 및 전자장치 부착 등에 관한 법률 364

1. 총칙 365

2. 전자장치 부착명령의 청구 367

3. 부착명령의 판결 등 368

4. 전자장치 피부착자의 준수사항 369

5. 피부착자의 의무 370

6. 부착기간의 연장 등 370

7. 형 집행 종료 후의 보호관찰 370

8. 가석방 및 가종료 등과 전자장치 부착 371

9. 형의 집행유예와 부착명령 372

10. 벌칙 372

Ⅵ.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약물치료에 관한 법률 372

1. 성도착증 환자 등의 정의(定義) 373

2. 약물치료명령의 청구 및 판결 374

3. 치료명령의 집행 375

4. 수형자․가종료자 등에 대한 치료명령 376

 

제12절 ‘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및‘성매매 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378

Ⅰ. 머리말 378

Ⅱ. 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 379

1. 총칙 379

2. 성매매피해자 등의 보호 381

3. 보호사건 383

Ⅲ. 성매매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385

1. 목적 및 용어정의 385

2. 성매매 실태조사 및 예방교육 385

3. 성매매피해자 등 지원시설 386

4. 양벌규정 389

 

제13절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390

1. 제정경위와 입법목적 390

2. 아동․청소년과 아동․청소년대상 성범죄 등에 대한 정의 391

3.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의무와 책임 및 홍보 393

4. 아동․청소년대상 성범죄의 처벌과 절차에 관한 특례 394

5. 아동․청소년대상 성범죄의 신고․응급조치와 지원 404

6. 아동․청소년의 선도보호 등 405

7. 성범죄로 유죄판결이 확정된 자의 신상정보 공개와 취업제한 등 409

 

 

제7장  형사법 생활관계  /  419

제1절  여성범죄 일반론 419

1. 여성범죄의 개념 419

2. 여성범죄에 대한 이론 419

3. 우리나라 여성범죄의 현황 422

4. 여성범죄의 원인과 특징 424

5. 여성범죄에 대한 대책 426

 

제2절  시민생활과 범죄 427

Ⅰ. 형법의 개념 및 기초관념 427

1. 형법의 개념 427

2. 죄형법정주의 427

Ⅱ. 형법의 적용범위 428

1. 시간적 적용범위 428

2. 장소적 적용범위 428

3. 인적 적용범위 429

Ⅲ. 행위주체 429

Ⅳ. 행위론 430

Ⅴ. 구성요건론 430

Ⅵ. 위법성 432

1. 정당행위 432

2. 정당방위 433

3. 긴급피난 434

4. 자구행위 435

5. 피해자의 승낙에 의한 행위 436

Ⅶ. 책 임 437

Ⅷ. 죄수론 438

Ⅸ . 형벌론 439

Ⅹ. 개별범죄 442

1. 개인적 법익에 대한 죄 442

2. 사회적 법익에 대한 죄 464

3. 국가적 법익에 대한 죄 473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